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운도”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6)

  • 월하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98년 종현손 병희(秉禧)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병희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영모각(永慕閣)에 있다.
  • 연해(沿海)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해 연해 沿海 안철손(安哲孫), 조선(漕船), 조운제(漕運制) 문화예술/미술 개념용어 조선시대 조선시대 정은주 [정의] 조선전기 안철손(安哲孫)이 제작한 조운(漕運) 관...
    관련어안철손(安哲孫), 조선(漕船), 조운제(漕運制)
  • 조운(漕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지하는 데 큰 비용이 들었을 뿐 아니라 조졸을 확보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관선 조운뿐 아니라 사선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국가의 운영 체제가 심각하게 파괴되자 관선 조운제는 복구되지 못하고, 사선 조운이 그 공백을 메우기 시작...
    상위어운송(運送) | 하위어관선 조운(官船漕運), 사선 조운(私船漕運) | 관련어육운(陸運), 수운(水運), 조창(漕倉), 조졸(漕卒), 경강상인(京江商人), 수운판관(水運判官), 해운판관(海運判官)
  • 조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고 있어 조운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성종 때 들어와 지방 행정기구의 개혁‧정비가 본격적으로 착수되면서 지방호족에 대한 통제가 강화됨에 따라 포에 대한 왕조의 통제력이 강화되면서 포가 관장하던 점차 국가가 장악하게 되었다. 한편, 북계(北界)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커졌는데,[그림 21]은 저판의 길이 57척, 적재용량 1,000석인 조선 후기의 조선이다. 조선은 전형적인 한선구조의 평저선형이고,[그림 12]와 같은 군선의 하체에 비하면 길이에 대한 너비와 높이의 비가 매우 크다. 조선 전기에는 군선에 의한 아주 활발하였는...
    이칭별칭선박

고서·고문서(7)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陳朝鮮殘破之甚, 供億之難, 自請奉勑以歸, 今月念間當到, 都督亦陞都督同知’ 云。 且聞諸漢人則中原, 盜賊蜂起南京, 兵部尙書范景文、御史, 與紅眉賊通謀造叛, 爲舍人所告就禽。 蓋紅眉賊起兵河南, 據守汴梁, 兵馬甚盛, 天朝大摠兵等往討之, 皆被殺云。”
    출처전거仁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 第十五統統首崔震崙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戶 全太守故代妻金姓年參拾捌丙寅本鷄林父成鳳祖命桂曾祖通政士尙外祖金自男本金海率 女召史年玖乙未等庚子戶口相准 第五新戶 巡營巫軍牢金龍大年肆拾陸戊午本慶州父元柱二祖不知率人女召史年參拾肆庚 午等庚子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783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八亭子里
  • 유금강록(遊金剛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니 한 번 보고도 오랜 친구 같이 기뻤다. 그의 형 () () : 1718-1796. 자는 성제(聖際), 호는 월하(月下), 본관은 한양이다. 아우 조진도가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조부가 복관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삭과의 명이 내려지자, 향리의 자제들을...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안경점(安景漸)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權思浩, 金龍燦, 李穦, 李承延, 柳道源, 李師靖, 金崇黙, 柳一春, 李萬運, 柳景 春, 李顯靖, 金宗泌, 權?, 趙錫喆, 權文度, 趙進 道, , 金顯運, 張趾馨, 李敏儉, 金韓東, 姜世晉, 姜杭, 柳範休, 趙虎然, 權斗揆, 姜必 岳, 張胤宗, 崔光璧, 金夢華,...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718년(숙종 44)∼1796년(정조 20).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조군, 조부는 조덕린. 부친 조희당의 5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조준도와 동생 조술도·조진도·조근도가 있다. 부인은 이륜의 딸이다. 과거 공부를 포기하고 자신의 수양을 닦기 위한 공부에 전

  • 조술도 / 趙述道 [종교·철학/유학]

    1729년(영조 5)∼1803년(순조 3).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조군, 조부는 조덕린이다. 부친 조희당의 5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으로 조준도··조근도·조진도가 있다. 부인은 김주우의 딸이다. 이상정과 김낙행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운교문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