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영수호통상조약”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3)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19세기 중반 이후, 청국과 일본에 주재하는 영국 외교관들은 러시아의 남하정책과 상업적 이익을 획득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선과 조약 체결을 주장하였다. 1854년 동해안을 탐사한 러시아 함대가 영흥만을 포트 라자레프(Port Lazareff)라 명명한 사실이 알려지자, ...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그 결과 1883년 11월 26일 전문 13조의 「」과 부속통상장정 및 세칙장정, 선후속약(善後續約)의 조인을 보았고, 1884년 4월 28일에 비준을 교환하였다. [내용] 이 조약의 중요 내용은 조미조약의 체제를 모방했으나...
  • 조영통상조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3년 11월 26일(음력 10월 27일) 조선과 영국 사이에 체결된 양국간의 우호‧왕래‧통상에 관한 조약문. [내용]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책.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9호. 조약의 원래 명칭은 (...
  • 위력사(韋力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력사 위력사 韋力士 조지 윌레스(George Ommanney Willes) 제1차 (), 제1차 중영전쟁(中英戰爭), 크림전쟁[The Crimean War] 정치외교/외교사안 인물 영국/중국/...
    동의어조지 윌레스(George Ommanney Willes) | 관련어제1차 조영수호통상조약(朝英修好通商條約), 제1차 중영전쟁(中英戰爭), 크림전쟁[The Crimean War]
  • 조법조약(朝法條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교 포교의 문제가 걸려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1884년 갑신정변을 거치면서 조선과 러시아가 수호통상조약을 맺고 청일 간에 텐진조약[天津條約]이 체결되자 프랑스도 조선 정부와 국교를 맺으려고 하였다. 조약 내용은 을 모방하였다. 은 불평등...
    관련어개항(開港), 관리조계사무신동공사(管理租界事務紳董公司), 법국(法國), 영사관(領事館), 조계지(租界地), 지방 세과 장정(地方稅課章程), 통상장정(通商章程), 특간전권대신(特簡全權大臣), 프랑스, 해관(海關)

고서·고문서(1)

  • 조독수호통상조약과 타 체약국의 수호통상조약 내 거중조정 조항에 대한 독일 외무부의 메모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다고 함. 거중조정, 중재 조독수호통상조약, 조미수호통상조약, , 조이수호통상조약, 조일수호조규, 조러수호통상조약
    대표표제어조독수호통상조약과 타 체약국의 수호통상조약 내 거중조정 조항에 대한 독일 외무부의 메모 | 발신자베를린외무부 | 수신자베를린외무부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베를린

기타자료(1)

  • 47-2. 별첨 2―대한제국 내의 외국인 조계(租界)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자수호조약, 조일무역규칙, 조계, 조미수호통상조약, 제물포조약, 조청 상민수륙뮤역장정, 조청교역장정, , 조독수호통상조약, 조러수호통상조약, 조러육로통상조약, 한강선적규칙 프랑스어 2_CFD47-2.pdf (탈초)2_CFD47-2.pdf ...
    집필자미상(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로 추정) | 작성연도미상 | 작성월일미상 | 발신자미상(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로 추정) | 수신자미상(루비에,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 으로 추정)

연구과제(1)

  • 한국 근대 국제법 전문용어 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유바다 | 고려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외교]

    1883년 조선과 영국이 체결한 조약. 조선과 영국정부는 1883년 11월 26일에 새로운 조영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은 조영 양국 정부가 1884년 5월 1일(음력 4월 7일)조선에서 비준서를 교환함으로써 정식으로 효력을 발휘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