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67)
사전(634)
- 구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李穗生)의 딸이다. 작은아버지인 군수 수복(壽福)에게 입양되었다. 조식(曺植)의 문인이다. [생애] 1552년(명종 7)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558년에는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承文院權知)로 있다가 1567년 정언(正言)이...이칭별칭 시중(時仲)
- 조언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69(예종 1)∼1526(중종 2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형지(亨之). 영동정(令同正) 은(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진사 안습(安習)이고, 아버지는 봉사 영(永)이며, 어머니는 집의 조익(趙翊)...이칭별칭 형지(亨之)
- 조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숨고르기. 휴식하며 몸조리함. 族從病狀値寒益苦 而公擾近煩 調息無暇 殊悶殊悶, 김병시(金炳始), 44-222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조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식욕이 없음. 宗末注夏阻食 比益.頓 而憂惱熏心 悶憐悶憐, 이계선(李啓善), 42-6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조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人物志 燃藜室記述 淸選考 南冥集 寒岡集 南冥集解題(최석기, 경상대 남명학연구소) 南冥 曺植과 南冥學派(李樹健, 영남대 민족문화논총 2‧3합집, 198...이칭별칭 건중(楗仲), 건중(健中)| 남명(南冥)| 문정(文貞)
고서·고문서(1,141)
- 지평(持平) 조식(趙湜) 계(啓)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조식환(曺植煥)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영광 입석 영월신씨
- 문정공 조식 치제문(文貞公曺植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문서-기타-서화류
- 1865년 조식영(趙植榮)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65년 4월 16일, 조식영이 외숙모 장례 참석 문제로 외숙인 이원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외숙모의 장사를 마친 뒤의 상대쪽 부자와 이관희의 안부를 묻고 있다. 이어서 자신 가족의 근황을 전하고 부고를 듣고 바로 달려가야 했으나 과거를 앞두고 있어 가지 못했고 장사...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계축년 척종(戚從) 조식(祖植)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구술자료(4)
- 조식선생과 상사구렁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앞에 ‘정인홍’전설을 구술할 때에 남명 선생이 벽장에 구렁이를 두었다는 말이 나와서 앞 설화를 마치고 그 연유를 물었더니 이렇게 이야기했다.*조사일시1982-01-17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제보자왕정효
- 지리산 빨치산 토벌대 이야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손성환 할아버지는 의용경찰대의 일원으로 빨치산‧인민군 연합군을 상대로 전투에 참여한 분으로 이곳 산청군 시천이 고향이다. 조도상 할아버지는 남명 조식의 후손으로 부산교통 사장을 역임한 바 있다. 그는 한국전쟁 시 3연대 정보부대에 민간인 군무원으로 참전했었고 의용대조사지역경남 산청 | 조사일2013년 1월 20일
- 빨치산과 6.25에 대한 어린 시절의 기억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덕산서... [조사자1 : 그 덕산이 저기 조식 선생 사당이죠?] 예. 사당 예예. 조식 선생. 거기서 여... 대평이란 데 다니면 간정이란 데로 좀 지나고 안에. 그리 피난을 왔는데, 그 당시 지리산 토벌 작전을 한다고 피난을 와서 보니 까 피난 와가지고 우리가 한,조사지역경남 진주 | 조사일2013년 7월 31일
- 보고 들은 전쟁을 전하다(2)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을 수도 있는 상황인데] 실상 그른 양반들이 정치를 해야 돼. 요새 정치인들 애옥질 이 나올라 해서 솔직히 그라믄 안되지 사람이. 정치한 사람들 지조헌 것이 생명인디. [조사자 : 우 리 조선역사를 갖고 얘기를 하면 남명 조식선생이 지조를 가지고 한 것처럼 우리 본강선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4년 7월 12일(2차)
기초학문(7)
- 남명 조식:한국의 사상가 10人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오이환, 게재일 : 200300347 오이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남명학연구원 2003 남명 조식:한국의 사상가 10人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남명조식의 현실적 사회개혁론 - 경.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미림, 게재일 : 201353754 이미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남명조식의 현실적 사회개혁론 - 경.의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학문목적 한국어교육에서 개조식 문체 쓰기 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희정, 게재일 : 201562424 서희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5 학문목적 한국어교육에서 개조식 문체 쓰기 교육을 위한 제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5
- 南冥 曺植의 사회변혁론 : 「戊辰封事」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8316 한국연구재단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0 南冥 曺植의 사회변혁론 : 「戊辰封事」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0
- 16세기 士林派 作家들의 事物觀과 文學精神 硏究-林薰‧李滉‧曺植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8560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16세기 士林派 作家들의 事物觀과 文學精神 硏究-林薰‧李滉‧曺植의 경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65)
- 中澤彌之助(彌助食堂)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中澤彌之助(彌助食堂) 서울 中澤彌之助 彌助食堂 岡崎町 92 요리_음식점 - 식당 및 주문 배달 - 16.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中澤彌之助(彌助食堂)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식당 및 주문 배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日艦偵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거월십팔일에 십륙척으로 조식 일본슌양함과 수뢰구츅함이 바롯구 근쳐로 뎡탐다고 륜돈신문에 발포얏다더라게재일1905년 5월 23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황해로동신문_1947_0622_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과적으로 시행하여야할 것이다. 이앙은 조기에 완필하는 것이 높은 수확을 었는다고 하나 그것도 소작을 한다면 최고 생산률을 내이지 못하는 것이니 이앙을 할 때에는 반듯이 정(수식)을 시행함으로서 평단 75―80주를 지방실적에 따라 산간지대에는 밀식으로 할 것인데 이정조식...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622_3 | 책임주필이영작
- 쏘베트신보_1953_0903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나 더 많이 파종되었다. 정조식 및 협조식으로 파종함으로써 면적은 3배나 장성되었다. 한전에 대한 추파 면적이 작년도 보다 2배를 릉가하고 있다. 공화국의 12개 구역들이 추파를 끝마치였다. 젊은 기관사들이 우수하게 로력하였다. 이그린쓰크 농기―뜨락또르 지정소의 꼴...대표표제어쏘베트신보_1953_0903_02 | 책임주필야·이·까둘린
- 문학과예술_1997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앙금에 비 친 사색의 여적 구인환 50 조선음악창작에서의 조식전개를 두고 신호 52 머저리짓을 하고 싶다는 사람들...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7
기타자료(16)
- (한국교육의 맥) 남명 조식과 덕천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교육의 맥) 남명 조식과 덕천서원 (한국교육의 맥) 남명 조식과 덕천서원 (한국교육의 맥) 南冥 曺植과 德川書院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 교육...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순목 | 사료철명교육월보
- 장구령이 발해객에게 회사할 조서를 작성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64 詔令 詔策 唐賜渤海詔息兵詔) 【원문】 始 說知集賢院 嘗薦九齡可備顧問 說卒 天子思其言 召爲秘書少監集賢院學士知院事 會賜渤海詔 而書命無足爲者 乃召九齡爲之 被詔輒成 遷工部侍郞知制誥 (『新唐書』 126 列傳 51 張九齡) 이 기사에는 연대 표기가 없으나, 張九齡이 秘書監...대표표제어장구령이 발해객에게 회사할 조서를 작성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6년(丙子/ 신라 성덕왕 35/ 발해 무왕 仁安18/ 당 현종 開元24/ 일본 聖武 天平8)
- 장구령이 발해에게 회사할 조서를 작성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海』 64 詔令 詔策 唐賜渤海詔息兵詔) 【원문】 始 說知集賢院 嘗薦九齡可備顧問 說卒 天子思其言 召爲秘書少監集賢院學士知院事 會賜渤海詔 而書命無足爲者 乃召九齡爲之 被詔輒成 遷工部侍郞知制誥 (『新唐書』 126 列傳 51 張九齡) 이 기사에는 연대 표기가 없으나, 張九齡이...대표표제어장구령이 발해에게 회사할 조서를 작성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36년(丙子/신라 성덕왕 35/발해 무왕 仁安 18/唐 玄宗 開元 24/日本 聖武天皇 天平 8)
- 33.1. Construction request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nited States Army 숙명여자대학교 Muk-tong의 leaders 학교에 설치할 교실과 실습실, 훈련장 등에 관련한 내용을 담은 전보임. 총 50여개의 퀸셋식 건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5개의 목조식 건물과 10개의...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L.S Waters Lt Col AGC Adjutant General | 수신자Commanding General Eighth United States Army
- Daily report of UNTCOK activities, Tuesday, 30 March : 비망록 / John Weckerling Brigadier General U. S. A. 발신, 1948.03.30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rling John R. Hodge 숙명여자대학교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TCOK) 활동 일일보고임. 선거의 연기와 관련한 하지(R. Hodge) 장군의 서한이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TCOK) 조식 시간에 배포됨. 반응은 호의적...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John Weckerling | 수신자John R. Hodge
주제어사전(55)
-
조식 / 曹植 [종교·철학/유학]
1501-1572. 조선 중기의 유학자. 여러 번 관직에 천거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학문과 강학에만 힘썼다. 주자학의 입장에서 도가와 불가를 비판하였다. 노자는 인간에게 내재한 도덕을 문화적 소산으로 보는 잘못을 범했으며, 불가는 형이상학만 있고 형이하학은 없어 일용
-
금동투조식리 / 金銅透彫飾履 [예술·체육/공예]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 1870∼1964)가 수집한 한국 문화재 가운데 일부이다. 금동투조식리는 앞과 뒤, 바닥 등 3매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얇은 동판에 도금하여 만들었다. 앞판은 발의 끝부분을 감싸고 뒤판은 발꿈치 부분에 해당하며, 발의 좌우측 중심에서
-
남명조식설화 / 南冥曺植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전기의 학자 남명 조식(南冥曺植)에 관한 인물 설화. 남명 조식과 관련된 설화는 탁월한 학문이 신불의 도움에 의한 자각이라고 하는 점, 상사뱀 유형처럼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는 점도 각별하다. 남명이 실천의 학문을 강조하고, 자각의 학문을 내세운 것 역시 이러한
-
서산일락가 / 西山日落歌 [문학/고전시가]
1567년(명종 22)김응정(金應鼎)이 지은 시조. 1773년(영조 49)에 간행된 『해암문집(懈菴文集)』에 실려 전한다. 이 시조가 조식의 작품으로 기록되어 전승된 경우도 위의 두 가지 사례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만약, 『해암문집』과 「김해암가곡집서」가 발굴되
-
민암부 / 民巖賦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조식(曺植)이 지은 부(賦). 모두 61구 421자.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반항적인 백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풍자성이 짙은 문학작품이다. 『남명집』 제1권에 실려 있다. 조식은 「민암부」에서 당시 전제군주체제에서는 임금에게 무조건 순종하는 것을 충(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