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선책략” 에 대한 검색결과 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6)

사전(64)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주일청구공사관(駐日淸國公使館)의 참찬관(參贊官 : 공사비서관)이었던 황준헌이 1876년 문호개방 이후 조선이 당면한 대외적 현안 중의 하나가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대비하는 것이라는 견해를 기록한 글로서, 원래 제목은 ‘사의(私擬)’이다. 1876년 강화...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개항기 한국이 당면한 국제적 지위를 논하고 그 대외책을 시사한 외교의견서. [개설] 원명은 『사의(私擬)』. 1책. [편찬/발간 경위] 1880년(고종 17) 일본에 파견된 수신사(修信使) 김홍집(金弘集, 초...
    이칭별칭사의조선책략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淸)국인 황준헌(黃遵憲, 1848-1905)이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대비하기 위해 조선, 일본, 청국 등 동양 3국의 외교정책에 대해 서술한 책.
    정의청(淸)국인 황준헌(黃遵憲, 1848-1905)이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대비하기 위해 조선, 일본, 청국 등 동양 3국의 외교정책에 대해 서술한 책.[두산백과] | 문광부표기Joseon chaengnyak | MR표기Chosŏn ch’aengny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의(私擬) 결일본(結日本), 김홍집(金弘集), 『만국공법(萬國公法)』, 수신사(修信使), 양무운동(洋務運動), 연미국(聯美國), 『이언(易言)』, 정관응(鄭觀應), 친중국(親中國), 하여장(...
    동의어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 | 관련어결일본(結日本), 김홍집(金弘集), 『만국공법(萬國公法)』, 수신사(修信使), 양무운동(洋務運動), 연미국(聯美國), 『이언(易言)』, 정관응(鄭觀應), 친중국(親中國), 하여장(何如璋), 황준헌(黃遵憲)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969 문헌 () 청국의 외교관 황준헌(黃遵憲)이 쓴 외교정략서. 1800년 7월 15일부터 8월 3일 인천항 개항 및 공사관 설치의 철회와 부산항에서의 관세징수 교섭 등 외교문제를 논의하기 위...
    유형분류문헌

고서·고문서(10)

  • 李太王實錄資料 17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봉조하 이유원의 상소에 대해 내린 批答에 관한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248)에서 채록하였다. 본문에는 이유원의 상소를 요약한 내용과 고종의 비답 내용이 실려 있다. 주요 내용은 황준헌의 『』에 대한 대응 방침에 관한 것이다. 정욱재 2016. 10....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0. 1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10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소하니, 고종(이태왕)이 비답을 내린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246)에서 채록하였다. 상소 내용을 대략 요약하자면, 곽기락은 日本과 交好할 것 黃遵憲의 은 받아들일 것 國家의 危險存亡之秋에 當하여 空理空論을 일삼지 말 것 儒疏의 弊를 禁하고 그 疏首를 嚴懲할...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11.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조선의 대서구 문호개방을 둘러싼 개화세력과 위정척사 세력의 갈등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고종,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 의복, 김홍집, , 이최응, 이재긍, 독살설, 이동인, 아사노, 사절단, 수신사, 조사시찰단
    대표표제어조선의 대서구 문호개방을 둘러싼 개화세력과 위정척사 세력의 갈등에 관한 건 | 발신자Brandt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 1925년 이용구(李容九) 간통(簡通)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기는 1880년(고종 17)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김홍집이 고종에게 황준헌의 『』이라는 소책자를 바친 것이었다. 이 책은 고종과 고위층 관리에게 미국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켜 1882년(고종 19)에 제물포에서 한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조...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조선과 조약 체결을 위한 슈펠트의 조선행 계획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청국, 중재, , 일본신문, 개화파, 척사파, 관세, 개항장, 거류지, 이탈,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 파크스(H. S. Parkes), 해운업, 중계무역, 무역, 조약수정협상, 우호관계 일본 신문들에서 발췌한 조선 관련 단신들 훈령 No.3(188...
    대표표제어조선과 조약 체결을 위한 슈펠트의 조선행 계획 | 발신자Eisendecher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기초학문(1)

  • 황준헌의 에 나타난 조선자강책과 '지역'의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4385 한국연구재단 동양고전학회 2010 황준헌의 에 나타난 조선자강책과 '지역'의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정치]

    청국 외교관 황준헌이 조선의 대외정책 방향에 관해서 논한 글. 황준헌이 저술한 <>의 내용은 당시 청국 지배계급 내부의 공통적인 견해였다고 볼 수 있다. 주요내용은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대비하기 위해 조선은 중국과 전통적 우호를 다지고, 일본과 국교를 발전시키며

  • 신섭 / 申㰔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우국지사. 1880년(고종 17) 제2차 수신사 김홍집이《사의》을 가지고 고종에게 바쳤다. 이에 신섭은 신사척왜상소문의 공통된 《》의 사학성의 지적과 사교(서학)의 배척을 강조하고 《》을 만이지역(일본)에 가서 가져와

  • 홍재학 / 洪在鶴 [종교·철학/유학]

    1848년(헌종 14)∼1881년(고종 18). 조선 말기의 애국지사. 본관은 남양. 1880년 김홍집이 <>을 고종에게 올려 이에 대한 찬반론이 대두하게 되었다. 당시 조정은 개화정책을 강화하기 위하여 《》의 복사본을 전국유생에게 배포하였다. 이러한

  • 신사유람단 / 紳士遊覽團 [역사/근대사]

    1881년 4월 10일부터 약 4개월에 걸쳐 일본에 파견되었던 문물시찰단. 1876년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체결 후, 두 차례에 걸쳐 일본에 수신사를 파견하였다. 2차 수신사로 파견된 김홍집은 황준헌의 <>을 갖고 왔는데, 이것은 초기 개화운동의 시발이 되었다.

  • 황재현 / 黃載顯 [종교·철학/유학]

    1848년(헌종 14)∼1903년. 조선 말기의 무인. 1878년 무과에 급제, 선전관에 임명되어 관계에 진출하였다. 1881년 김홍집이《》을 들여온 것이 발단이 되어 전국이 척사상소로 비등할 때, 영남유생 이만손의 만인소에 이어 충청도 대표로 홍시중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