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선장” 에 대한 검색결과 1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2)

사전(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사하여 왔다. 현재 하남시청 공원에 전시된 황포 돛배와 경기도 박물관에 전시된 마상이배는 이들이 복원, 제작한 것이다. 『경기문화재대관(京畿文化財大觀)』 / 김용운
  • 안도형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금의 종로구 인의동) 동쪽에 장용영(壯勇營)이 그려져 있는 점 등으로 볼 때 18세기 말경에 편찬된 지도로 추정된다. 지도 상단에 ‘安圖形(안도형)’이라 가로로 쓰여 있으나 뒤에 기입해 넣은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지도 방위와 달리 지도의 위쪽이 남...
    이칭별칭조선장안도형(朝鮮長安圖形)
  • 근대신어 : 려법(勵法)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0062 려법 자항 勵法 譬컨대航海獎勵法과勵法等이是오 비유컨대 항해장려법과 려법 등이 이것이오. 朴承 희(釒熹)/ 朱定均 最新經濟學 普文社 1908 181 법, 함선...
    출전最新經濟學[普文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법, 함선 [사회생활] 교통수단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소환장()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0284 소환장 사항 發送을無効로看做고 발송한 소환장을 무효로 간주하고 石鎭衡 平時國際公法 미상 1907추정 332 법, 행정
    출전平時國際公法[미상] | 계통분류 [정치경제] 법, 행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조선소()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0046 조선소 자항 其南岸의은亦世界中의名高處라 그 남안(南岸)의 조선소는 또한 세계 중의 이름 높은 곳이라. 兪吉濬 西遊見聞 交詢社 1895 517 함선 교통수단 ...
    출전西遊見聞[交詢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함선 [사회생활] 교통수단 [과학지식] 공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50)

  • 기박보집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기박보집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오상현(五常县) 두가향 광명촌 2 2 기박보집, 꼭, 부쳐주기, 바라는바...
    대표표제어조선장기박보집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좋아합니다 방 남자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图们市) 민족비닐공장 2 2 좋아합니다, 중국기협회, 장기주심, 전번,
    대표표제어좋아합니다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감사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오상현(五常县) 두가향 광명촌 2 2 감사, 기박보집, 부탁, 미안, 선생님, 건...
    대표표제어감사 | 성씨
  • 3881 P-SDK-03881-P-E-08-05 P-SDK-03881-P-E-08-05-1 P-SDK-03881-P-E-08-05-2 조선 장진 호숫가 우차 津湖畔牛車 장진호 주변에서 귀가 덮인 모자를 쓰고 눈내린 길을 소달구지를 끌고 가는...
    자료명조선 장진 호숫가 우차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세월, 봄철, 생각, 옛노래, 만사, 시간, 중지, 노래, 음악, 몇가지, 감상, 첫째, 민족, 언어, 리용, 인민, 친근, 인생, 생활미, 가사언어, 음악언어, 특점, 음악화, 류창, 서정성, 가곡, 가사전달,
    대표표제어여름철 | 성씨

신문·잡지(25)

  • 민세안재홍전집 : 한성일보 사장 안재홍이 A. V. Arnold 소장에게 보낸 영문 서한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395 1946 10 31 1 1 안재홍 안재홍 한성일보 사장 안재홍이 A. V. Arnold 소장에게 보낸 영문 서한 문서류 미상 공문 정치 직접자료 8권 Arnold, 아놀드, 況, 過渡政府 D194...
    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대각국사문집 외집(大覺國師文集 外集)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早稲田大学図書館 ヘ16 02558 전체 제공 五味均平旧蔵 欠損あり 早稲田大学図書館古典籍総合データベース
    대표표제어대각국사문집 외집(大覺國師文集 外集) 2 | 대표서명大覺國師文集 外集 | 한글서명대각국사문집 외집 | 서지형태형태서지
  • 1950년 7월 16일 168 한성(韓星) 원산시 중앙리 37 강원로동신문사 경남, 평양, 지리산, 함양, 면, 대남리, 밀양군, 청도면, 루곡리, 거창, 고제면, 개명리, 부산, 수정동 리승만 인민유격대, 조선중앙통신, 인민군 ...
    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50_0716_02 | 날짜1950년 7월 16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소설문단발전을 념두에 두고 림원춘, 장정일, 최홍일, 김정호 62 한생을 인물형상창조에 림선옥 67 기사 45쪽으로 이어짐 수정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0
  • 교통신 편즙인 124 각국선교의 통신 마로덕 134 로교 각 노회와 회장서기의 씨명주소 145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2

기타자료(4)

  • 가야가 왜에 사신을 보내어 조와 표를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柁 每歲必朝 則遣使以軍 將軍等至自新羅 卽新羅亦侵任那 (󰡔日本書紀󰡕 22 推古紀)
    대표표제어가야가 왜에 사신을 보내어 조와 표를 올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00년(庚申/신라 진평왕 22 建福 17/고구려 영양왕 11/백제 법왕 2, 무왕 1/隋 開皇 20/倭 推古 8)
  • 신라·가야가 왜에 사신을 보내어 세공(歲貢)을 약속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相攻 且不乾船柁 每歲必朝 則遣使以軍 將軍等至自新羅 卽新羅亦侵任那 (󰡔日本書紀󰡕 22 推古紀)
    대표표제어신라·가야가 왜에 사신을 보내어 세공(歲貢)을 약속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00년(庚申/신라 진평왕 22 建福 17/고구려 영양왕 11/백제 법왕 2, 무왕 1/隋 開皇 20/倭 推古 8)
  • 亦有畏乎 自今以後 不有相攻 且不乾船柁 每歲必朝 則遣使以軍 將軍等至自新羅 卽新羅亦侵任那 (『日本書紀』 22 推古紀)
    대표표제어가야가 왜에 사신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00년(庚申/신라 진평왕 22 建福 17/고구려 영양왕 11/백제 법왕 2, 무왕 1/隋 文帝 開皇 20/倭 推古天皇 8)
  • 신라·가야가 왜에 사신을 보내어 세공(歲貢)을 약속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迦羅阿羅羅六城 以請服 時將軍共議曰 新羅知罪服之 强擊不可 則奏上 爰天皇更遣難波吉師神於新羅 復遣難波吉士木蓮子於任那 竝檢校事狀 爰新羅任那 二國遣使貢調 仍奏表之曰 天上有神 地有天皇 除是二神 何亦有畏乎 自今以後 不有相攻 且不乾船柁 每歲必朝 則遣使以軍 將軍等至自新羅 卽新羅亦...
    대표표제어신라·가야가 왜에 사신을 보내어 세공(歲貢)을 약속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00년(庚申/신라 진평왕 22 建福 17/고구려 영양왕 11/백제 법왕 2, 무왕 1/隋 開皇 20/倭 推古 8)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661년(현종 2)∼1726년(영조 2). 조선 후기 유학자. 조희익의 후손이다. 이현일의 문인으로서 퇴계의 학맥을 이었으며, 모여 이명윤과 교유, 정규양·정만양·정석달 등과는 편지로 학문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창주서원에 조상치·조한보·조한영과 함께 배향되었다. 문

  • 기독교보 / 基督敎報 [언론·출판/언론/방송]

    1936년 11월 21일에 국한문을 혼용하여 9단으로 종서 편집하여 발행한 로회 기관지로 주간지. 내용으로는 설교, 논문, 문예, 성경연구, 통신, 잡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창천서원 / 滄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었던 서원. 창건연대는 미상이다. 조선시대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득룡(李得龍)·이덕린(李德麟)·손응현(孫應晛)·조상치(曺尙治)·조한보(曺漢輔)·조한영(曺漢英)·()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

  • 정석림 / 鄭碩臨 [종교·철학/유학]

    1669년(현종 10)∼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유학자. . 부친 정시우의 5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정석현·정석함·정석겸·정석승이 있고, 서제 정석철이 있다. 권해를 찾아가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정만양··정규양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다. 문집은

  • 조광국 / 曺光國 [종교·철학/유학]

    1691년(숙종 17) ∼1758년(영조 34).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부는 조진창, 조부는 조효량, 아버지는 이다. 외조부는 곽태재, 처부는 박중영이다. 효성이 지극하여 어버이가 병이 들자 병간호에 조금도 게으르지 않았다. 이러한 효행으로 판서 김상성의 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