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음악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2)
- 신영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너무 통속적인 노랑목이었고 체계가 없었다. 1933년 명창 전도성(全道成)에게 소리를 배워 비로소 소리의 법도를 터득하였다. 1938년 동일창극단(東一唱劇團)에 입단하여 창극활동을 시작하였고, 1940년 조선음악단(朝鮮音樂團)에 입단하여 이동백(李東...
- 김득수(金得洙)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달성관의 소리선생으로 2년간, 19세-20세 무렵에 울산권번의 판소리 사범으로 1년간, 20세-21세 무렵에 경주권번의 판소리 사범으로 2년간 있었다. 25-26세에 조선성악연구회에 입회했으며, 30대에 조선음악단의 후신인 아성창극단을 인수해 운영했다. 이후 우리국악단...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신문·잡지(2)
- 조선신문_1947_0131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출연 31일부터 1주일 간 대중극장 쏘련영화 『향도』 31일-2월 1일 호화찬란한 쏘련음악□□콘첼트 『쏘베트군대송가』 2일-5일 문화극장 극장신생공연 김사량 작 『더벙이와 배뱅이』 29일-2월 1일 조선음악단 공연 2일-6일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131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조선급만주_1936_33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安倍能成 68 朝鮮音樂斷想 李大山 70 最近朝鮮の演劇界 徐恒錫 72 朝鮮映畵噂話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6
주제어사전(1)
-
조선음악단 / 朝鮮音樂團 [예술·체육/현대음악]
1940년 국창 이동백이 명인명창 창극인 50여 명을 이끌고 조직한 창극단. 그 당시 총독부 경무국은 창극단을 탄압하려는 술책으로 창극인에 대한 자격심사를 실시하여 기예증을 발급하였다. 그러나 조선음악단이 기예증 소지자로 조선음악단을 조직하자 다시 경무국은 시연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