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연극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35)
- 조선연극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고 원각사(圓覺社) 창립시기를 1909년이라 하여 뒤에 수정되는 등 고증에 미비한 점이 있으나 대중연극까지 포함하여 신연극 이후의 모든 것을 망라한 것이 특색이다. 조선연극사 1933년 간행된 김재철의 한국연극통사서....
- 김재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alization에 대하여」ㆍ「조선어화(朝鮮語化)의 조선어(朝鮮語)」가 있고, 저서로는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 외에 민요ㆍ소설ㆍ김삿갓 등의 연구를 묶어 출간한 『노정잡고(蘆汀雜稿)』가 있다. 『조선연극사』는 우리나라 연극사연구의 선구적 업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이칭별칭 노정(蘆汀)
- 원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데 절대적인 기여를 한 초창기의 본격적 무대미술가였다. 토월회 때 만든 주요작품은 <춘향전>‧<산송장>‧<농 속에 든 새> 등 60여 편 이상이며, 토월회가 활동을 정지하자 극단 조선연극사(朝鮮硏劇舍)에서 무대미술부를 담당하였다. 1920‧1930년대...
- 지두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929년 스스로 조선연극사(朝鮮硏劇舍)라는 극단을 조직하였다. 최초의 본격적인 동인제 극단을 발족시킨 그는 배우 변기종(卞基鍾)을 대표로 앉히고 자신은 전무로서 뒷바라지만 하였다. 그의 원대한 이념은 연극운동을 통한 민족의 독립이었지만 당장의 목표는 연극전용극장...
- 김소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밀려오는 연극계의 새로운 물결은 취성좌의 유지를 어렵게 만들었다. 창립된 지 11년 만인 1929년에 취성좌 단원들의 대부분이 새로 창립된 조선연극사(朝鮮硏劇舍)로 가버림으로써 이 극단은 해체되고 말았다. 그뒤, 삼천가극단(三川歌劇團)을 이끌던 권삼천(權三川)과...
신문·잡지(1)
- 문학과예술_1993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58 조선연극사와의 비교에서 본 중국조선족의 근대연극 김운일 61 조선민요음악의 계승과 발전을 두고 강철호 66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3
주제어사전(6)
-
조선연극사 / 朝鮮演劇史 [예술·체육/연극]
조선어문학회의 조선어문학총서 31집으로 1933년 5월에 총 230면으로 간행된 노정 김재철의 유저. 김태준의 서, 목차, 본문, 경론, 부록의 순으로 되어 있다. <조선연극사>는 연극학 제1세대의 결정으로서, 수백년동안 전해 내려오던 한국 연극의 윤곽을 잡아놓았고
-
조선연극사 / 朝鮮演劇舍 [예술·체육/연극]
취성좌가 해체되고 그 후신으로 1929년 12월 창단한 극단. 지두한을 중심으로 이경환, 강홍식, 천한수, 권일청 등 당시 대중연극의 스타급인 30여 명의 단원과, 밴드부 30여 명, 그리고 연구생까지 합쳐 90여 명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상업극단이었다. 1933년에 전
-
연극학 / 演劇學 [예술·체육/연극]
연극에 관련된 여러 요소·행위·현상을 학문적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 우리 나라 연극에 관한 통사적 연구는 1939년에 발간된 김재철의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가 그 효시이다. 관련 학회로서는 한국연극학회 등이 있으며, 대학의 일부 어문학과(특히 국문학과) 및 연극
-
지두한 / 池斗漢 [예술·체육/연극]
함흥에서 예림회(藝林會)라는 극단을 발족시켰다. 그러나 지방의 아마추어극단이 제대로 될 리가 없었다. 그는 상경하여 김소랑(金小浪)과 함께 취성좌(聚星座)라는 극단을 운영하다가 극단이 제대로 안 되자 1929년 스스로 조선연극사(朝鮮硏劇舍)라는 극단을 조직하였다. 최초
-
김소랑 / 金小浪 [예술·체육/연극]
창립된 지 11년 만인 1929년에 취성좌 단원들의 대부분이 새로 창립된 조선연극사(朝鮮硏劇舍)로 가버림으로써 이 극단은 해체되고 말았다. 그뒤, 삼천가극단(三川歌劇團)을 이끌던 권삼천(權三川)과 삼천가극단의 주간이 되었으나 삼천가극단도 흥행에 실패하고 흐지부지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