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연극문화협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조선연극문화협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42년 7월 26일 예능의 일원화를 기하고 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조선연극협회(1940)와 조선연예협회(1941)를 통합하여 발족시킨 친일연극 단체.정의1942년 7월 26일 예능의 일원화를 기하고 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조선연극협회(1940)와 조선연예협회(1941)를 통합하여 발족시킨 친일연극 단체.[한국현대문학대사전] | 문광부표기Joseon Yeon-geuk Munhwa Hyeophoe | MR표기Chosŏn Yŏn’gŭk Munhwa Hyŏp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서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면서 극작에 전념하였다. 1935년 동양극장 설립과 함께 전속극작가로 활약하였는데, 이 때가 전성기였다. 일제 말엽에는 친일어용단체였던 조선연극문화협회(朝鮮演劇文化協會) 초대이사장을, 1949년에는 한국무대예술원 원장을 역임하였고, 6‧25전쟁 동안에는 서울특...이칭별칭 고범(孤帆)
- 원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발발하자 부산으로 피난하여 신협(新協)‧국립극단의 몇몇 작품의 무대장치를 하였다. 걸개그림 같은 배경화에 머물러 있던 우리 나라 무대장치를 리얼하면서도 입체적으로 끌어올린 장본인이다. 1942년부터 개최된 조선연극문화협회 주최 연극경연대회에서 제1회 무대장치상을...
- 박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리랑고개>를 연출하였다. 1930년 단막희곡인 <절도병환자>를 시작으로 하여 희극을 많이 발표하였는데, 특히 동양극장의 연출가 겸 전속작가로 활약할 때가 전성기였다. 민족항일기 말기에는 조선연극문화협회 이사를 지냈고, 한때 연극계를 떠나 중국을 방랑...이칭별칭 우석(愚石)
- 조영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주관하고 조선연극문화협회가 주최하는 소위 국민연극 제3회 경연대회에 참가 작품으로 조명암은 <현해탄 泫海灘>이라는 희곡을 썼고, 극단 신생극단(新生劇團)이 동양극장(東洋劇場)에서 공연하였다. 1946년 1월 1일 동양극장이 신정공연작품으로 김백희...이칭별칭 명암(鳴巖)
주제어사전(2)
-
조선연극문화협회 / 朝鮮演劇文化協會 [예술·체육/연극]
일제 말 예능의 일원화를 기하고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서 조선연극협회와 조선연예협회를 통합 발족시킨 단체. 1942년 7월 26일 발족한 이 단체의 회장에는 신도요, 이사에 서항석 외 몇 명, 상임평의원에 유치진 외 몇 명이 임명되었다. 1944년 4월 '연극 연예 흥행
-
임승복 / 林勝福 [예술·체육/연극]
작가동호회의 간사를 지냈다. 또한 1941년 지원병 소재의 극본 〈동백꽃 피는 마을〉을 집필하였다. 1942년 조선연극문화협회 이사가 되었으며, 1944년 일어극을 보급한 공로로 조선군보도부장상을 수상하였다. 일제 강점기 때 〈상아탑에서〉·〈새벽길〉 등을 집필하여 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