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어학연구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6)
- 조선어학연구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는 중론이 있어, 참석인사 20여명의 결의로 ‘조선어학연구회’(가칭)의 창립준비위원 및 규칙기초위원을 선정하였다. 이해 12월 5일 창립준비위원회를 개최하여 의정 토의를 거쳐, 12월 10일 창립총회를 열어 규칙을 통과시키고 간사장에 이긍종(李肯鍾), 간사에...
- 정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34년에 창간되었던 조선어학연구회(朝鮮語學硏究會)의 기관지. [내용] 1941년에 제37호 발행으로 폐간되었다. 국어학사상 국어학 연구의 근대화 과정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문헌이다. 일제강점기하에서 193...
- 조선어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박승빈(朴勝彬)의 대표적인 문법저술. [내용] A5판. 394면. 1935년 조선어학연구회(朝鮮語學硏究會)에서 발행하였다. 1925년에 집필하기 시작하여 8년 만에 탈고하여 출간한 책으로 저자의 문법이론이 집약된 결정판이다. 내용...
- 수식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사어에 대하여는 ‘한정어’라 하여 그 용법을 축소시키는 일도 있다. 『우리말본』(최현배, 정음문화사, 1971) 『새고등문법』(이희승, 일조각, 1957) 『조선어학(朝鮮語學)』(박승빈, 조선어학연구회, 1935)이칭별칭꾸밈감|꾸밈말
- 유응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학과를 졸업하였다. 귀국한 뒤에는 조선어학연구회의 기관지 『정음(正音)』에 몇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이어 혜화전문학교(惠化專門 學校)와 경성제국대학 예과 강사를 지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언어학과 교수가 되었다. 6‧25 때 북한으로 가서...
신문·잡지(2)
- 신동아_1935_05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조선어학회의 공개장에 대하야-조선어학회 이갑 36 조선어학회의 공개장에 대하야-조선어학연구회 박승빈 41 희랍의...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5
- 신동아_1936_06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년계획>조선아동 예술연구협회, 97. 조선어학연구회의 신년계획, 김인식, 98. 장로회 총회 농촌부의 신 계획사업과 기 실현성, 박학전, 100. 조선각도 풍속개관 (20 송석하 10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6
주제어사전(4)
-
조선어학연구회 / 朝鮮語學硏究會 [교육/교육]
1931년 국어학의 연구와 한글맞춤법의 정리를 목적으로 박승빈이 조직한 학술단체. 이 회는 기관지 ≪정음≫을 꾸준히 속간하여, 1941년 4월 26일자 제37호로 폐간되기까지 약10년 동안 국어연구와 연구기반의 조성에 이바지하였다. 그리고 출간되지는 않았지만 일제 초기
-
정음 / 正音 [언어/언어/문자]
1934년에 창간되었던 조선어학연구회(朝鮮語學硏究會)의 기관지. 1941년에 제37호 발행으로 폐간되었다. 국어학사상 국어학 연구의 근대화 과정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문헌이다. 일제강점기하에서 1930년대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의 기관지 ≪한글
-
조선어학 / 朝鮮語學 [언어/언어/문자]
박승빈(朴勝彬)의 대표적인 문법저술. 1935년 조선어학연구회(朝鮮語學硏究會)에서 발행하였다. 1925년에 집필하기 시작하여 8년 만에 탈고하여 출간한 책으로 저자의 문법이론이 집약된 결정판이다. 내용은 크게 나누어 서론·음리급기사법(音理及記寫法)·문법의 3편으로
-
간이조선어문법 / 簡易朝鮮語文法 [언어/언어/문자]
1937년 박승빈(朴勝彬, 1880∼1943)이 펴낸 국어 문법책. 『간이조선어문법(簡易朝鮮語文法)』은 어음(語音)의 법칙과 문법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한 문법책이다. 1937년 조선어학연구회에서 활동하던 박승빈이 중등학생과 기타 조선어를 깨우치는 사람을 위하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