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선어사전” 에 대한 검색결과 2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1)

사전(3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문세영(文世榮)이 펴낸 국어사전. [내용] A5판. 총 1,690면. 1938년 간행회(刊行會)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지은이말슴’ 3면, ‘일러두기’ 5면, 본문 1,634면, 권말에 ‘한문글자 음찾기’ 26면, ‘...
  • 조선어학회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어연구회가 창립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편찬회가 조직되었다. 이로써 민족의 숙원이며, 문화민족의 공탑이요 민족정신의 수호인 사전을 만들기 위한 일이 시작되어, 사전 편찬의 바탕이 되는 「한글맞춤법통일안」‧「표준어사정(標準語査定)」‧「외래어표기」...
  • 이우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밀리에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자금을 조달하였다. 1926년 서울에서 시대일보사(時代日報社), 1927년 중외일보사(中外日報社)를 설립, 사장으로 일하면서 민족의식고취에 노력하였다. 1929년 10월 조선어연구회의 편찬회에 가입하여 재정을 지원하였다. 조선...
    이칭별칭 남저(南樗)
  • 문세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준말 사정위원, 1936년 그 수정위원을 지냈다. 1938년 7월 최초의 뜻풀이(주석)국어사전인 약 10만 어휘의 『()』을 이윤재(李允宰)의 지도와 한징(韓澄) 등의 도움으로 편찬하였다. 이를 기리는 뜻으로 당시 『동아일보』(1938.7.13...
    이칭별칭 청람(靑嵐)
  • 올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말과 같이 20세기 초에 이루어진 것 같다. 19세기 말까지의 문헌에서는 이 말을 찾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문세영(文世榮)의 『』(1938)에는 ‘올캐(올케)’로 수록되어 있고, ‘오라범댁’과 같은 말이라는 해설이다. 한글학회의 『큰사전』(1957) 이후의...
    이칭별칭오라범댁

고서·고문서(224)

  •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總督府 編 朝鮮總督府 서울 1920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어 [...
    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조선총독부 朝鮮印刷株式會社 發賣 경성 1928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어...
    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문세영 文世榮 刊行會 경성 1940 修正增補版 언어사전; 국어...
    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문세영 文世榮 永昌書館 서울 1949 修正增補版 언어사전; 국어사전;
    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조선총독부 亞細亞文化社 서울 1975 영인본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
    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신문·잡지(7)

기타자료(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임소상 리극로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
    부터 1915년까지 유격대 대오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이후에는 1929년까지 다시 교직에 있었다. 1929년부터 1932년까지 편찬위원회 위원장으로 복무하였다. 1930년에 조선어연구회를 조직하였다. 1942년 반전운동에 참가한 혐의로 일본 당국에 의해 체포...
    키워드리극로, 무임소상 | 대표주제어리극로 | 발신자레베데프

주제어사전(12)

  • / [언어/언어/문자]

    문세영(文世榮)이 펴낸 국어사전. 1938년 간행회(刊行會)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지은이말슴’ 3면, ‘일러두기’ 5면, 본문 1,634면, 권말에 ‘한문글자 음찾기’ 26면, ‘이두(吏讀) 찾기’ 22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문은 4단으로

  • 문세영 / 文世榮 [언어/언어/문자]

    최초의 뜻풀이(주석)국어사전인 약 10만 어휘의 『()』을 이윤재(李允宰)의 지도와 한징(韓澄) 등의 도움으로 편찬하였다. 이를 기리는 뜻으로 당시 『동아일보』(1938.7.13.) 사설은 “이제야 조선말로 주석한 조선말의 사전을 조선사람의 손으로 처

  • 임혁규 / 林爀奎 [역사/근대사]

    ), 이인(李仁) 등과 함께 () 편찬위원회를 조직하였다. 1만 3천원의 자금을 조성하고 활약하던 중, 1942년 10월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 사건이 일어났으며, 다음해인 1943년 3월에 백낙준(白樂濬), 곽상훈(郭尙勳) 등과 함께 체포되었다. 체

  • 이극로 / 李克魯 [언어/언어/문자]

    경상남도 의령 출신. 호는 고루. 국어학자·정치인. 1920년 중국 상해 동제대학(同濟大學) 예과를 마치고 1927년 독일 베를린대학 철학부를 졸업하였다. 1929년 『』(뒷날 조선어학회의 조선말큰사전)편찬 집행위원, 1930년 한글맞춤법 제정위원, 1935

  • 이윤재 / 李允宰 [교육/교육]

    항일기의 독립투사·국어학자·사학가(1888∼1943). 한글맞춤법 제정에 참여하였으며, 편찬 등 한글 보급을 통한 민족운동을 하였다. 조선어학회 《우리말 사전》 편찬위원을 맡았고, 진단학회로 국사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사하였다. 저서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