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어사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1)
사전(39)
- 조선어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문세영(文世榮)이 펴낸 국어사전. [내용] A5판. 총 1,690면. 1938년 조선어사전간행회(朝鮮語辭典刊行會)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지은이말슴’ 3면, ‘일러두기’ 5면, 본문 1,634면, 권말에 ‘한문글자 음찾기’ 26면, ‘...
- 조선어학회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어연구회가 창립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조선어사전편찬회가 조직되었다. 이로써 민족의 숙원이며, 문화민족의 공탑이요 민족정신의 수호인 사전을 만들기 위한 일이 시작되어, 사전 편찬의 바탕이 되는 「한글맞춤법통일안」‧「표준어사정(標準語査定)」‧「외래어표기」...
- 이우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비밀리에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자금을 조달하였다. 1926년 서울에서 시대일보사(時代日報社), 1927년 중외일보사(中外日報社)를 설립, 사장으로 일하면서 민족의식고취에 노력하였다. 1929년 10월 조선어연구회의 조선어사전편찬회에 가입하여 재정을 지원하였다. 조선...이칭별칭 남저(南樗)
- 문세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준말 사정위원, 1936년 그 수정위원을 지냈다. 1938년 7월 최초의 뜻풀이(주석)국어사전인 약 10만 어휘의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을 이윤재(李允宰)의 지도와 한징(韓澄) 등의 도움으로 편찬하였다. 이를 기리는 뜻으로 당시 『동아일보』(1938.7.13...이칭별칭 청람(靑嵐)
- 올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말과 같이 20세기 초에 이루어진 것 같다. 19세기 말까지의 문헌에서는 이 말을 찾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문세영(文世榮)의 『조선어사전』(1938)에는 ‘올캐(올케)’로 수록되어 있고, ‘오라범댁’과 같은 말이라는 해설이다. 한글학회의 『큰사전』(1957) 이후의...이칭별칭오라범댁
고서·고문서(224)
- 朝鮮語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語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語辭典 朝鮮總督府 編 朝鮮總督府 서울 1920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어 [...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朝鮮語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語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語辭典 조선총독부 朝鮮印刷株式會社 發賣 경성 1928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어...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朝鮮語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語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語辭典 문세영 文世榮 朝鮮語辭典刊行會 경성 1940 修正增補版 언어사전; 국어...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朝鮮語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語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語辭典 문세영 文世榮 永昌書館 서울 1949 修正增補版 언어사전; 국어사전;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朝鮮語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語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語辭典 조선총독부 亞細亞文化社 서울 1975 영인본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대표표제어朝鮮語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신문·잡지(7)
- 민세안재홍전집 : 朝語辭典完成論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096 1936 5 15 1 1 安在鴻 안재홍 朝語辭典完成論 篤志有力者에게 寄하는 書 잡지 한글 33호,4권 5호 8~9쪽 논설 사회 직접자료 선집외 朝鮮語事典編纂 B19360515한글01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박문_1938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조선어사전의 연대기 방종현 20 광고1 23 pdf 파일명 내 페이지 틀림 '22'를 '23'으로 수정 필요. 22-P3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음 광고3쪽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8
- 조선_1920_06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關稅制度開正に就て 林關稅課長 58 國民思想の將來 椎尾辨匡 67 <朝鮮語辭典>の完成 74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0
- 학등_1934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소 채필근 4 고려태조의 훈요십조 김윤경 9 조선어사전 편찬에 대하여 이극노 1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 조선공론_1921_09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朝鮮語辭典の發刊に就て 小田幹治郞 125 元山港客年の經濟槪況 笠 松生 131 文化政治の實績 蒲生大夢 1...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1
기타자료(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임소상 리극로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부터 1915년까지 유격대 대오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이후에는 1929년까지 다시 교직에 있었다. 1929년부터 1932년까지 조선어사전 편찬위원회 위원장으로 복무하였다. 1930년에 조선어연구회를 조직하였다. 1942년 반전운동에 참가한 혐의로 일본 당국에 의해 체포...키워드리극로, 무임소상 | 대표주제어리극로 | 발신자레베데프
주제어사전(12)
-
조선어사전 / 朝鮮語辭典 [언어/언어/문자]
문세영(文世榮)이 펴낸 국어사전. 1938년 조선어사전간행회(朝鮮語辭典刊行會)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지은이말슴’ 3면, ‘일러두기’ 5면, 본문 1,634면, 권말에 ‘한문글자 음찾기’ 26면, ‘이두(吏讀) 찾기’ 22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문은 4단으로
-
문세영 / 文世榮 [언어/언어/문자]
최초의 뜻풀이(주석)국어사전인 약 10만 어휘의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을 이윤재(李允宰)의 지도와 한징(韓澄) 등의 도움으로 편찬하였다. 이를 기리는 뜻으로 당시 『동아일보』(1938.7.13.) 사설은 “이제야 조선말로 주석한 조선말의 사전을 조선사람의 손으로 처
-
임혁규 / 林爀奎 [역사/근대사]
), 이인(李仁) 등과 함께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 편찬위원회를 조직하였다. 1만 3천원의 자금을 조성하고 활약하던 중, 1942년 10월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 사건이 일어났으며, 다음해인 1943년 3월에 백낙준(白樂濬), 곽상훈(郭尙勳) 등과 함께 체포되었다. 체
-
이극로 / 李克魯 [언어/언어/문자]
경상남도 의령 출신. 호는 고루. 국어학자·정치인. 1920년 중국 상해 동제대학(同濟大學) 예과를 마치고 1927년 독일 베를린대학 철학부를 졸업하였다. 1929년 『조선어사전』(뒷날 조선어학회의 조선말큰사전)편찬 집행위원, 1930년 한글맞춤법 제정위원, 1935
-
이윤재 / 李允宰 [교육/교육]
항일기의 독립투사·국어학자·사학가(1888∼1943). 한글맞춤법 제정에 참여하였으며, 조선어사전 편찬 등 한글 보급을 통한 민족운동을 하였다. 조선어학회 《우리말 사전》 편찬위원을 맡았고, 진단학회로 국사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사하였다. 저서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