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수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
고서·고문서(1)
- 골포(骨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327 B026327 골포 骨浦 군사교통 高麗史 권79 志33 食貨2 漕運 成宗十一年 定漕船輸京價 運五石價一石通潮浦[前號末潮浦泗州通陽倉在焉]螺浦[前號骨浦合浦縣石頭倉在焉] 運六石價一石波平浦[前號夫沙浦樂安郡]潮陽浦[前號沙飛浦昇平郡海龍倉 ...출처전거高麗史 권79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조선수경 / 朝鮮水經 [언론·출판]
저자 정약용(1762-1836). 필사본. 3권 1책(결질). <대동수경>의 후사본으로 책의 이름을 <조선수경>이라 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된 필사본 <대동수경>의 제3책 권10부터 권12까지에 해당하는 부분을 필사한 것이다. 그러나 이 필사본에서는 <조선수경
-
대동수경 / 大東水經 [지리/인문지리]
1814년 정약용이 우리나라 주요 하천에 관하여 기록한 지리서. 권1∼6은 녹수(淥水, 압록강), 권6∼7은 만수(滿水, 두만강), 권8은 살수(薩水, 청천강), 권9∼11은 패수(浿水, 대동강), 권12는 저수(瀦水, 예성강), 권13은 대수(帶水, 임진강) 등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