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선성악연구회” 에 대한 검색결과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

사전(64)

  • 이동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극과 판소리를 공연하였다. 1933년 송만갑ㆍ정정렬(丁貞烈) 등과 함께 를 조직하여 판소리 교육에 힘쓰는 한편, 창극정립에도 노력을 경주하였다. 1939년에 부민관에서 은퇴공연을 하자, 열화와 같은 요청으로 두 달 동안이나 전국과 만주,...
    이칭별칭이종기(李鍾琦)|동백(東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東洋劇場)에서 공연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에 힘입어 창극단은 대구‧부산‧진주‧광주‧전주‧함흥‧평양‧마산‧충무‧여수‧목포‧대전‧청진‧사리원‧개성 등지의 전국 주요 도시를 순회공연하며 성황을 이루었다. 그 해 가을에는 동양극장에서 정...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3년 전통 성악의 발전과 후진 양성을 위해 조직된 단체.
    정의1933년 전통 성악의 발전과 후진 양성을 위해 조직된 단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oseon Seongak Yeon-guhoe | MR표기Chosŏn Sŏngak Yŏn’gu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판소리일반용어 자 () ()는 1934년에 결성되어 1940년까지 존속했던 판소리․기악 중심의 전문 전통음악 단체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1934년 5월 창립 당시의 명칭은 조선음악연구회였으나, 같은 해 9월에 ...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정정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자들이 그에게 「춘향가」를 배우게 되었다. 1933년 송만갑(宋萬甲)ㆍ이동백(李東伯)ㆍ김창룡(金昌龍) 등과 함께 ()를 조직하여 교육과 판소리 공연에 힘썼다. 특히 창극공연에 힘써 그에 의해 편극되어 무대에 올려진 1935...

구술자료(7)

  • 김득수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진도 출신 음악인들에 대한 증언, 와 조선음악무용연구소 증언이 녹음된 대담이다. . 2) 음질 상 김득수 채두인 김행언 조선음악무용연구소 판소리 1988-07-14 국립국악원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득수
  • 김득수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김득수 대담조사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A-023 1726 미상 대담조사자료 1) 김득수(金得洙)의 음악활동과 , 6‧25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득수
  • 전남 권마성 조사(박학주 대담)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박학주(朴學周)가 예전에 전라남도에서 보았던 여러 가지 춤과 본인의 학습과정에 대해서 설명한 자료이다. 2) 음질 중 권마성 박학주 검무 살풀이 기타 미상 미ㅏㅅㅇ 28:36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학주
  • 정광수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자료이다. . 2) 음질 상 정광수 이동백 김창룡 김득수 한승호 김창환 강장원 박종기 임유앵 장판개 정경태 임방울 염계달 박유전 김봉학 배희근 정응민 정재근 이날치 군목 삼고초려 우조 계면조 청우조 엄우조 호령조 적성가 남창 지름시조 강산제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광수
  • 정광수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한 얘기가 녹음된 자료이다. 2) 음질 상 정광수 이동백 김창룡 김득수 한승호 김창환 강장원 박종기 임유앵 장판개 정경태 임방울 염계달 박유전 김봉학 배희근 정응민 정재근 이날치 김명환 군목 삼고초려 우조 계면조 청우조 엄우조 호령조 적성가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광수

주제어사전(5)

  • / [예술·체육/연극]

    찬극과 판소리 대가인 정정렬이 국창 송만갑, 이동백 등과 함께 1933년 재경 창악인, 창극인, 기악인 등 남녀 명인명창 중견급을 총망라하여 서울 종로구 관훈동 4번지에서 조직한 창극인 단체. 이 단체는 회원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자신들의 기예를 연마하며 창극의 정립

  • 강태홍 / 姜太弘 [예술·체육/국악]

    서 때때로 서울에 올라와서 협률사(協律社) ()에 참여하여 연주활동을 하고 축음기로 가야금산조 및 가야금병창을 취입하였다. 그때 박차경(朴且更)·최금란(崔錦蘭) 등 제자를 길렀다. 40대 후반에는 부산에서 살며 원옥화(元玉花)·김춘지(金春枝)·

  • 창극좌 / 唱劇座 [예술·체육/연극]

    1936년 2월 직속으로 조직되어, 본격적인 창극운동을 전개한 극단. 단원들은 오태석, 조상선, 정남희 등 남녀 중견급 창극인들이었다. 총지위는 이동백, 기획은 김용구가 담당했다. 1936년 4월 창립 공연으로 정정렬 편극인 <흥보전>을 서울 서대문에

  • 흥보전 / 興甫傳 [예술·체육/연극]

    1936년 4월 직속으로 창극좌가 조직되어 창립공연으로 상연한 정정렬 편극의 작품. 창극으로서의 <흥보전>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서울 서대문에 있던 공양극장에서 첫선을 보였는데 관중의 갈채를 받았는데, 오태석의 공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오태석은 흥보로

  • 춘향전 / 春香傳 [예술·체육/연극]

    나누어 상연하였고, 이러한 형식의 <춘향전>은 30여 년간 계속되었다. 1935년 봄 시절에 정정렬이 <춘향전>을 편극할 때 시대감각에 알맞도록 윤색하고 대사를 많이 삽입하여 대본을 만들기도 하였다. <춘향전>의 인기가 전국적으로 대단하자 창극좌, 화랑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