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선사” 에 대한 검색결과 4,7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71)

사전(2,228)

  • 보림사보창성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부도. [개설] 보물 제157호인 이 탑은 신라 구산선문(九山禪門) 중의 하나인 보림사를 개창한 보 체징(體澄 ; 804~880)의...
    연계항목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가치, 조선의 범위, 의 기별(期別)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태고(太古), 상세(上世), 중세(中世), 근세(近世), 최근(最近)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태고는 조선족의 신흥시대(朝鮮族의 新興時代)‧이성조탄강시대(二聖祖誕降時代...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일제강점기 편수회(編修會)에서 편찬한 우리 나라 역사서. [개설] 고대로부터 1894년(고종 31) 6월 27일까지의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다. 연월일의 연대순으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사실을 요약하거나 건명식(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후세의 군자를 기다린다고 적고 있다. 「인용서류목록」에 의하면 실록, 보감, 열성지장, 선원보략 등 국가의 공식기록 외에도 『국조편년』‧『대동기년』‧『본조기사』‧『연려실기술』‧『율곡경연일기』‧『해동명신록』‧『해동명장전』‧『약파만록』‧『신임제오』‧『대동야승』...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재일교포 부인층 사이에 신앙되고 있는 한국 무속과 불교가 혼합되어 있는 사원들을 총칭하여 일컫는 말. [개설] 라는 말은 일반사회에 정착된 말이 아니라 일부 일본의 저널리스트, 또는 재일한국인을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일...

단행본(8)

논문(11)

고서·고문서(1,585)

구술자료(4)

  • 람 들볶은 일본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이야기에 이어 바로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0. 2. 20(토) | 조사장소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자일4리 804-24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김금봉
  • 자들은 붕알을 까분다고. [조사자 : 붕알을 까부린다고?] 그른 말을 유포를 시키고 그랬는디. 그란데 인자 그때 일 반 유지들을 이릏게 모아놓고 이릏게 인자 일본놈들이 람들 그 동향을 살펴볼라고 벨거를 다 하제. 그란디 선친께서 그런 얘기를 하드라고. 회천면 유지
    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4년 7월 12일(2차)
  • 나 들고, 징들고 두드리고 우리 람 악기라요. 악기 우리 거. [조사자 : 총도 없이 그냥 그것 만 들고.] 어 악긴데. 그거를 이제 저짝에 여 저 여 천다 말이여. 쳐마, 우리가 요 앞에 고찌 이래 배치가 돼 있으마 여기 주력 부대가 있는 줄 알았거든. 그래가지
    조사지역경북 상주 | 조사일2012년 6월 9일
  • “아, 이 사람 양민이다.” 보증하니까 왔 지. 그러니까 전쟁에서 두루 이렇게 무슨 짓 이렇게 특별히 이렇게 인민군 한다고. 뭐 그 다 인민 군대가 람 ? 군대 뽑아 가서 간건데 붙들러가 뭐 어떻게 한다.(웃음) [조사자1: 그러면 그 저 대로변 지나가던 인민군은
    조사지역인천 | 조사일2012년 6월 15일

기초학문(37)

  • 일제하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신, 게재일 : 2008
    36632 장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일제하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申報〉를 통해 본 1880년대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성남, 게재일 : 2006
    48425 김성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申報〉를 통해 본 1880년대의 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일본 동방협회의 정 조사활동과 조선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혜주, 게재일 : 2012
    44292 최혜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2 일본 동방협회의 정 조사활동과 조선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개항 이후 일본인의 정 조사와 안내서 간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혜주, 게재일 : 2012
    58911 최혜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개항 이후 일본인의 정 조사와 안내서 간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북제 승의 습선법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7
    20080 한국연구재단 보조사상연구원 2017 북제 승의 습선법에 대한 분석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712)

  • 민세안재홍전집 : 아아 그러나 그대는 람이다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018 1924 5 20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아아 그러나 그대는 람이다 신문 시대일보 2면1단 사설 사회 직접자료 5권 朝鮮人, 람 A19240520시대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웨將軍朝鮮人會見頻繁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540 1947 8 31 1 1 웨將軍朝鮮人會見頻繁 左右系網羅面接코 實態聽取 신문 조선일보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웨데마이어, 朝鮮問題, 情 A19470831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現在朝鮮敎育 問題를論함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78 1935 3 15 1 1 安在鴻 안재홍 現在朝鮮敎育 問題를論함 잡지 신동아 41호,5권 3호 시평 사회 직접자료 선집외 朝鮮敎育, 朝鮮語, B19350315신동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嗚呼‧丹齋를哭함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062 1936 2 27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嗚呼‧丹齋를哭함 신문 조선일보 8면 1단 기고문 정치 직접자료 4권 丹齋申采浩, 硏究 A19360227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朝鮮硏究의衝動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695 1931 6 13 1 1 安在鴻 안재홍 朝鮮硏究의衝動 縱橫으로뒤지는新舊朝鮮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조간 사설 문화 직접자료 7권 朝鮮硏究, 現代朝鮮, A19310613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52)

  •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_1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 유학의 논쟁 한국 유학의 논쟁 ‘조선의 유교 문명’ 을 읽는 입문 강좌로,유학적맥락에서발생한 의 주요 논점들을 정치, 종교, 학술, 의학, 경제,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_1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 유학의 논쟁 한국 유학의 논쟁 ‘조선의 유교 문명’ 을 읽는 입문 강좌로,유학적맥락에서발생한 의 주요 논점들을 정치, 종교, 학술, 의학, 경제,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_1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 유학의 논쟁 한국 유학의 논쟁 ‘조선의 유교 문명’ 을 읽는 입문 강좌로,유학적맥락에서발생한 의 주요 논점들을 정치, 종교, 학술, 의학, 경제,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_1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 유학의 논쟁 한국 유학의 논쟁 ‘조선의 유교 문명’ 을 읽는 입문 강좌로,유학적맥락에서발생한 의 주요 논점들을 정치, 종교, 학술, 의학, 경제,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_1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https://swb.skku.edu/kphilo/index.do) 한국 유학의 논쟁 한국 유학의 논쟁 ‘조선의 유교 문명’ 을 읽는 입문 강좌로,유학적맥락에서발생한 의 주요 논점들을 정치, 종교, 학술, 의학, 경제,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연구결과보고서(2)

기타자료(32)

  • 신라의 보가 당의 평로사를 따라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의 보가 당의 평로사를 따라 귀국하다 교류담당 840년(庚申/신라 문성왕 2/발해 이진 11 咸和 11/唐 開成 5/日本 承和 7) 신라 신...
    대표표제어신라의 보조선사가 당의 평로사를 따라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0년(庚申/신라 문성왕 2/발해 이진 11 咸和 11/唐 開成 5/日本 承和 7)
  • 양주화;梁柱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2497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16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2) 사학과;c. 1931년 3월 졸업(7명);(ㄱ) 학 전공 양주화;梁柱華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계갑;李繼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2499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16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2) 사학과;d. 1932년 3월 졸업(7명);(ㄱ) 학 전공 이계갑;李繼甲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주형;李周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2500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16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2) 사학과;d. 1932년 3월 졸업(7명);(ㄱ) 학 전공 이주형;李周衡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홍렬;柳洪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2507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17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2) 사학과;g. 1935년 3월 졸업(10명);(ㄱ) 학 전공 유홍렬;柳洪烈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5)

주제어사전(45)

  • / 大 [역사/근대사]

    에 제작되어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체재는 국한문혼용을 택하고 있으며, 장절을 나누어 기술하는 근대적인 서술체재를 확립하고 있다. 각 시기별 서술에 앞서 총설(總說) 항목을 두어 의 가치, 조선의 범위, 의 기별(期別)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본문에서

  • / [언론·출판]

    편수회가 펴낸 우리나라 고대로부터 조선시대까지의 편년체 역사. 1932년부터 1938년에 걸쳐 간행되었다. 총목록, 총색인, 본문 35책의 총 37책으로 구성, 본문은 2만 4,111쪽, 도판 395매, 각 사항에 연월일을 붙여 연대순으로 배열, 거기에 건명이나

  • 회당 / 會黨 [역사/근대사]

    규식의 상해 자택인 프랑스 조계 애인리에 두고 회당을 조직하였다. 임시정부의 상해시대 이후는 소멸되었다.

  • 편수회 / 編修會 [교육]

    일제가 식민지통치에 활용할 목적으로 조선역사를 편찬하기 위해 설치한 한국사 연구기관. 일제는 1922년 역사교육을 통해 일본민족의 우위성을 입증하고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말살하고자 편찬위원회를 설치했다가, 1925년 편수회로 확대개편했다. 회장, 고문, 위원

  • 병합기념진첩 / 倂合記念眞帖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조선총독부 편, 사진판본, 신반도사, 불분권 1책(84장).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 후에 만든 사진첩으로 보인다. 일본황제, 이완용 등의 인물과 조선의 풍경 등을 담은 사진첩과 그림첩이다. 19세기 말엽 이후의 사진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