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선불교유신론”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論(韓基斗, 創作과 批評 11-1, 1976.3.) 萬海의 새 佛敎運動(金煐泰, 釋林 16, 釋林會, 1979)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3년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이 불교의 개혁‧부흥을 위하여 쓴 책.
    정의1913년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이 불교의 개혁‧부흥을 위하여 쓴 책.[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oseon Bulgyo yusillon | MR표기Chosŏn Pulgyo yusillo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염불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러나 염불의 참뜻을 망각하고 부처의 명호만을 부르는 것으로 정토왕생을 염원하는 염불당이 많이 생김에 따라, 한용운(韓龍雲)은 그의 『』에서 참다운 염불을 위해서는 염불당을 없애야만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였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이 염불당을 따로이...
  • 시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왕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내세관과 조화를 이루면서 독특한 신앙형태의 한 전형으로 이어져 온 것이다. 이에 대해서 한용운(韓龍雲)은 명부전 등의 무용론과 철폐론을 강력히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는 『()』에서 시왕에 대한 사상이 결코 불교 고유의...
  • 한용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며, 특히 한문으로 된 불경을 우리말로 옮기는 일, 즉 불교의 대중화 작업에 주력하였다. 1910년에는 불교의 유신을 주장하는 논저 ≪≫을 저술하였다. 1914년 ≪불교대전 佛敎大典≫과 함께 청나라 승려 내림(來琳)의 증보본에 의거하여...
    이칭별칭 만해(萬海), 만해(卍海)

기초학문(3)

  • 〉을 통해 본 만해의 근대불교 인식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선이, 게재일 : 2009
    30274 이선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비교한국학회 2009 〈〉을 통해 본 만해의 근대불교 인식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한국근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교단개혁 - 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재영, 게재일 : 2009
    23834 서재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선학회 2009 한국근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교단개혁 - 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 - 한용운의 불교적 사회진화론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류승주, 게재일 : 2009
    23661 류승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원불교사상연구원 2009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 - 한용운의 불교적 사회진화론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불교]

    근대의 승려인 한용운이 쓴 책. 한용운의 대표적 저술 중의 하나이다. 1909년부터 집필을 시작하여 1910년 백담사에서 탈고하였고, 1913년 회동서관에서 간행하였다. 한용운은 조선의 불교가 부흥하기 위해서는 과감하게 쇄신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일본의 불교계와 문물을

  • 선원곡 / 禪園曲 [문학/고전시가]

    의 선원에서 선사에게 직접 받아 소개한 작품이다. 학명선사(1867~1929)는 1920년대에 내장사에 내장선원(內藏禪院)을 세우고 노동과 참선수행을 함께 하는 혁신적 선 부흥운동을 펼친 인물이다. 이는 한용운이 『』(1913)에서 제기했던 불교 혁신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