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9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34)
사전(47)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주석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북한을 대표하고, 통치하는 국가 수반으로, 김일성(金日成, 1912-1994)을 지칭.정의북한을 대표하고, 통치하는 국가 수반으로, 김일성(金日成, 1912-1994)을 지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oseon Minjujuui Inmin Gonghwaguk Juseok | MR표기Chosŏn Minjujuŭi Inmin Konghwaguk Chusŏ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천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0월 재일본조선인연맹 명예의장으로 추대되었고, 고문으로 취임하였다. 1947년 2월 일본공산당 중앙위원 겸 정치국원으로 선출되었다. 1948년 10월 재일본조선인연맹 제5차대회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축하를 위한 조국경축사절단장으로 선출되었다. 1949년...이칭별칭김학의(金鶴儀)
- 국방위원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9년 북한 헌법에 의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령도자”이며 “전반적 무력의 최고사령관”이다. 국방위원장의 중임은 『로동신문』 2009년 4월 11일 사설에 의하면 “나라의 정치, 군사, 경제적 력량의 총체를 통솔 지휘하여 방위력을 비롯한 전반적 국력을 강화하는...
- 정무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 최고주권기관의 행정적 집행기관. [개설] 정무원은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에 규정되었던 국가주권의 최고집행기관인 내각이 197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제정 이후 개칭된 것이다. 정무원은 19...
- 북조선인민회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설 이전에 북한에서 입법권을 행사한 최고주권기관. [개설] 북조선인민회의는 1947년 2월에 창설되었다. 회의는 3개월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개최되었으며, 휴회기간에는 북조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대신하였다. 최고인...
논문(4)
- 1950년대 북한과 불가리아 문화교류의 단면 [동유럽의 한국학 정착과 확산을 위한 교육·연구 통합시스템 구축 | Sofia University]저자 : 원종숙 | 게재정보 : 교육문화연구유형논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시의 광공업인프라연구 [University of Vienna | Universitaet Wien]저자 : Rainer Dormels(Universitaet Wien) | 게재정보 : Kukje-koryŏ-hakho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Studies. Che 16 ho. 2014. 15권, 게재일 : 2014.07This article deals with the facilities of the cities, especially with industrial plants. In the present research, five sources that list North Korean...유형논문
- 1957~1958년 우랄마쉬플란트 제품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수출할 때의 문제점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저자 : VALENTIN V. KHRENOV | 게재정보 : The Journal of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Russia
- 1962년부터 1965년까지 남우랄 소브나르코즈 산업 기업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수출 활동에 대한 문제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저자 : Khrenov V.V. | 게재정보 : The Journal of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Russia
고서·고문서(27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성명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성명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한) 기타(신문) 북한의 당 기관지인 『로동신문』: 1945년 11월 16987일 창간 ...대표표제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성명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비무장지대, 포격, 발사, 포탄, 도발
- <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한) 기타(신문) 북한의 당 기관지인 『로동...대표표제어<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미제국주의자, 대형정찰기, 침입, 적대적정탐행위, 군사적도발
- <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한) 기타(신문) 북한의 당 기관지인 『로동...대표표제어<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미제국주의자, 대형정찰기, 침입, 적대적정탐행위, 군사적도발
- <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한) 기타(신문) 북한의 당 기관지인 『로동...대표표제어<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미제국주의자, 대형정찰기, 침입, 적대적정탐행위, 군사적도발
- <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대한민국(남북한) 로동신문사(북한) 기타(신문) 북한의 당 기관지인 『로동...대표표제어<성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을 발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성명)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미제국주의자, 대형정찰기, 침입, 적대적정탐행위, 군사적도발
신문·잡지(4,545)
- 민세안재홍전집 : 統一方案과善政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842 1949 3 16 1 1 統一方案과善政 신문 동아일보 1면 1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統一方案, 南北統一, 韓國統一, 韓委第二分科委員會, 白樂濬, 金若水,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UN韓國委員團 A19...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개성신문_1952_0608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년 6월 8일 56 김명호 개성시 개성신문사 김두봉 강량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608_01 | 날짜1952년 6월 8일 | 책임주필김명호
- 황해일보_1953_070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김원선 황해일보사 평양시 최용건, 김두봉, 강량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민족보위상 최용건 동지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부수상으로 임명함에 관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3_0707_01 | 책임주필김원선
- 조선인민보_1950_091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73 서울시 태평로1가 32 조선인민보사 김두봉 강량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민족보위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912_01
- 조선인민보_1950_091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73 서울시 태평로1가 32 조선인민보사 김두봉 강량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조국의...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912_01
기타자료(67)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수상 홍명희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수상 홍명희 평정서 정치 문서 현대 북한 타이핑 홍명희, 동아일보, 시대일보, 신간회, 부수상 레베데프 ...키워드홍명희, 동아일보, 시대일보, 신간회, 부수상 | 대표주제어홍명희 | 발신자레베데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재정상 최창익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재정상 최창익 평정서 정치 문서 현대 북한 타이핑 최창익, 재정상 레베데프 러시아연방...키워드최창익, 재정상 | 대표주제어최창익 | 발신자레베데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농림상 박문규 펑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н Гю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농림상 박문규 펑정서 정치 문서 현대 북한 타이핑 박문규, 농림상 레베데프 러...키워드박문규, 농림상 | 대표주제어박문규 | 발신자레베데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농림상 허성택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농림상 허성택 평정서 정치 문서 현대 북한 타이핑 허성택, 농림상 레베데프 러시아연방 국방성중앙문서보...키워드허성택, 농림상 | 대표주제어허성택 | 발신자레베데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무상 박일우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Ир У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무상 박일우 평정서 정치 문서 현대 북한 타이핑 박일우, 내무상 레베데프 러...키워드박일우, 내무상 | 대표주제어박일우 | 발신자레베데프
주제어사전(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정치·법제/정치]
1948년 9월 9일 북한에 수립된 사회주의국가의 정식 명칭.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자, 한반도에는 38도선을 경계로 남북에 각 미.소 양군이 진주하게 되었다.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선포했다. 수상 김일성, 부수상 박헌영, 김책,
-
조선말규범집<1> / [언어/언어/문자]
1966년에 북한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에서 낸 어문 규정집. 『조선말 규범집』은 1966년 6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에서 낸 북한의 어문 규정집으로, 사회과학원 출판사에서 간행한 것이다. 이 규범집은 김일성이 1966년 5월 4일에 북한
-
조선말규범집<2> / [언어/언어/문자]
2010년에 북한 국어사정위원회에서 낸 어문 규정집. 『조선말 규범집』(2010)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에서 전체 84쪽으로 펴낸 어문 규정집이다. 이 규범집은 본래 1966년에 같은 명칭으로 처음 나왔으며 이후 1987년에 개정되어 나왔고, 2010년
-
조선말띄여쓰기규범 / [언어/언어/문자]
2000년에 북한 국어사정위원회에서 제정하여 발표한 우리글 띄어쓰기 규정.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에서 2000년에 제정하여 발표한 우리글 띄어쓰기 규정이다. 총칙과 9개 항, 전체 12쪽으로 간단히 구성되어 있는데, 책자의 체계는
-
음악무용서사시 / 音樂舞踊敍事詩 [예술·체육/무용]
음악과 무용을 기본으로 하여 거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서사시적 화폭에 담아내는 대규모의 종합예술형식. 195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0주년을 기념하여 음악무용서사시 「영광스러운 우리 조국」이 처음 공연되어 인민상 계관작품으로 선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피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