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물산공진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16)
- 조선물산공진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념한다는 명분으로 조선물산공진회를 개최하여 전국의 농민들까지 강제동원하며 관람하게 하였다. [내용] 이 박람회에 출품된 품목들은 한국에서 생산된 물품 뿐만 아니라 일본의 생산품으로서 한국민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품목과 외국의 수입품 중에서 판로 확장이...
- 조선물산공진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15년 9월 1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일제가 일부 건물을 훼손하거나 수축하여 경복궁에서 전국의 물품을 수집‧전시한 대대적인 박람회.정의1915년 9월 1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일제가 일부 건물을 훼손하거나 수축하여 경복궁에서 전국의 물품을 수집‧전시한 대대적인 박람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oseon Mulsan Gongjinhoe | MR표기Chosŏn Mulsan Kongjin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금강산보승회(金剛山保勝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금강산보승회 금강산보승회 金剛山保勝會 금강산(金剛山), 국립공원(國立公園), 함흥본궁(咸興本宮),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협찬회(協贊會),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문화종교/불교 집단 기구 대한민국 일제강점기 ...관련어금강산(金剛山), 국립공원(國立公園), 함흥본궁(咸興本宮),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협찬회(協贊會),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 가축품평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15년에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라는 이름으로 한우품평회를 개최한 기록이 ≪조선농회보≫에 기록되어 있으며, 1921년 9월에전라남도 곡성에서 제1회 곡성군 송아지품평회가 석곡우시장(石谷牛市場)에서 열렸는데 27마리가 출품되어 8마리가 입선된 기록이 ≪조선지축산...
- 협선당(協善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5년의 조선물산공진회 개최를 위해 경복궁 전각들이 철거될 때 사정전 서행각에서 용신당 일부와 숭현문 등이 사라졌다. 1993년에 행각 보수공사를 통해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형태] 「북궐도형(北闕圖形)」과 현황을 살펴보면, 서행각의 북쪽 5칸인...상위어경복궁(景福宮) | 관련어사정전(思政殿)
논문(1)
-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의 관광적 성격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 동국대학교]저자 : 조성운 | 게재정보 : 서울과역사
고서·고문서(44)
- 조선물산공진회인천협찬회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6237 P-SDK-06237-P-E-02-02 P-SDK-06237-P-E-02-02-1 P-SDK-06237-P-E-02-02-2 조선물산공진회인천협찬회 단풍과 직박구리, 수족관 그림이 인쇄된 엽서 인천 협찬회 기념 회엽서 봉투 있음. 2...자료명조선물산공진회인천협찬회 | 발행처仁川協賛會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조선물산공진회 기념회엽서의 봉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739 P-SDK-00739-P-D-03-00 P-SDK-00739-P-D-03-00-1 P-SDK-00739-P-D-03-00-2 조선물산공진회 기념회엽서의 봉투 朝鮮物産共進會記念會葉書 시정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기념 회엽서 봉투 봉투 있...자료명조선물산공진회 기념회엽서의 봉투 | 발행처始政五年記念 朝鮮物産共進京城協贊會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시정 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기념 회엽서의 봉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766 P-SDK-00766-P-M-03-00 P-SDK-00766-P-M-03-00-1 P-SDK-00766-P-M-03-00-2 시정 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기념 회엽서의 봉투 시정5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기념 회엽서 봉투 있음. 3매 세...자료명시정 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기념 회엽서의 봉투 | 발행처京城廣橋妓生組合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개성 명소 회엽서의 봉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진그림엽서 始政五年記念 朝鮮物産共進開城協贊會 미상 미상 시정5년을 기념하여 개최된 조선물산공진회를 기념하여 조선물산공진회 개성협찬회에서 개성의 명소를 소개하기 위하여 발행한 엽서의 봉투. 경성, 조선물산공진회, 시정5년, 경복궁, 개성, 명소, 개성...자료명개성 명소 회엽서의 봉투 | 발행처始政五年記念 朝鮮物産共進開城協贊會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초대 조선총독과 공진회 사무총장과 협찬회장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740 P-SDK-00740-P-D-03-01 P-SDK-00740-P-D-03-01-1 P-SDK-00740-P-D-03-01-2 초대 조선총독과 공진회 사무총장과 협찬회장 시정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기념 회엽서 봉투 봉투 있음. 3매 세트....자료명초대 조선총독과 공진회 사무총장과 협찬회장 | 발행처始政五年記念 朝鮮物産共進京城協贊會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기초학문(1)
- 일제강점기 박람회의 개최와 경복궁의 위상변동 -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와 1929년 조선박람회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제정, 게재일 : 201418054 김제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학연구소 2014 일제강점기 박람회의 개최와 경복궁의 위상변동 -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와 1929년 조선박람회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2)
- 始政五年記念 朝鮮物産共進會 (시정5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始政五年記念 朝鮮物産共進會 | 기사명_한글시정5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 게재일19150904 | 게재판석 | 게재면06 | 게재단2-3
- 始政五年記念 朝鮮物産共進會 (시정5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始政五年記念 朝鮮物産共進會 | 기사명_한글시정5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 부제_원문總督內覽-各館陳列濟 | 부제_한글총독내람-각관 진열 모두 | 게재일19150905 | 게재판석 | 게재면06 | 게재단5-6
- 美術館-朝鮮物産共進會 (미술관-조선물산공진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초기 미술관 역사를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중요작품명_원문美術館-朝鮮物産共進會 | 게재일19150908 | 게재판석 | 게재면05 | 게재단3-4
- 審世館 =朝鮮物産共進會= (심세관=조선물산공진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공진회 일반기사명_원문審世館 =朝鮮物産共進會= | 기사명_한글심세관=조선물산공진회= | 게재일19150913 | 게재판석 | 게재면05 | 게재단3-4
- (上)參考館 (下)第二號館=朝鮮物産共進會 ((위)참고관 (아래) 제2호관=조선물산공진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공진회 일반작품명_원문(上)參考館 (下)第二號館=朝鮮物産共進會 | 게재일19150909 | 게재판석 | 게재면05 | 게재단3-5
연구과제(2)
-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성운 | 동국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한국 근대미술 시각이미지 총서: 경성, 시각문화 표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문정희 | 한국미술연구소 | 2014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
-
조선물산공진회 / 朝鮮物産共進會 [역사/근대사]
명분으로 조선물산공진회를 개최하여 전국의 농민들까지 강제동원하며 관람하게 하였다. 일제는 병합 후의 조선의 진보를 전시하고 과시함으로써 이른바 일선융화를 강조하고 일선동화를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수단으로서 조선물산공진회를 열었다.
-
청구시초 / 靑丘詩抄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총집류(總集類) 조선총독부편, 금속활자본(壬辰字), 조선총독부, 1915, 불분권 1책(32장). 청구는 조선의 별칭으로 단군조선부터 고려이전까지의 시가(詩歌) 170여 수를 뽑아 엮은 책이다.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의 거행으로 총독부에서
-
가축품평회 / 家畜品評會 [경제·산업/산업]
우수한 체형의 가축을 선발하여 시상함으로서 농가의 가축사육의욕을 높이고 가축의 질을 개량하기 위한 사업. 1915년에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라는 이름으로 한우품평회를 개최한 기록이 『조선농회보』에 기록되어 있으며, 1921년 9월에전라남도 곡성에서 제1회 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