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극우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변기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과 함께 민립극단(民立劇團)을 창설하여 활약하였으며, 1926년 10월에는 이경환(李敬煥)‧복혜숙(卜惠淑)‧최성해 등 신파극의 인기배우들을 결집하여 조선극우회(朝鮮劇友會)를 창설하였다. 이 극단은 호남‧서울‧원산 등지의 공연을 끝내고, 북만주까지 가려고 함...
- 복혜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22년에는 극단 토월회(土月會)에 입단하였으며, 그 뒤에는 조선극우회ㆍ중앙무대로 옮겨 무대에 섰다. 만년에는 배우극장(俳優劇場)에 입단하여 연기생활을 계속하였다. 최초로 영화에 출연한 것은 이규설(李圭卨) 감독의 「농중조(龐中鳥)」(1926)이었으며, 그...이칭별칭마리(馬利)
- 신파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단(民衆劇團, 대표 尹白南), 1926년의 조선극우회(朝鮮劇友會)‧민립극단(民立劇團, 대표 卞基鍾), 1927년의 산유화회(山有花會), 1928년의 화조회(火鳥會), 1929년의 조선연극사(朝鮮硏劇舍, 대표 金小浪), 1918년에 창단되어 활동을 계속했던 취성좌 등이...
- 방송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른바 강력한 ‘자기동일시(identification)’와 ‘정화감(catharsis)’을 느낄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일 것이다. (1) 광복 이전 최초의 방송극은 1925년 체신국 시험방송 당시 조선극우회(朝鮮劇友會)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극대사 낭독식의...
주제어사전(1)
-
조선극우회 / 朝鮮劇友會 [예술·체육/연극]
민중극단이 해산되자 1926년 10월에 변기종이 그 단원들을 규합하여, 신파극계와 토월회 출신들을 합류하여 조직한 극단. 변기종을 주축으로 김파영, 이석구, 손용모 등이 참여했다. <생명의 관>, <신 칼멘>, <사의 광휘>, <기갈>, <파혼>, <새벽 종소리>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