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국왕 유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영조
- 조선국 정성왕후 서씨 유제문
- 고명
연구성과물(16)
사전(8)
- 광운지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왕보)’를 만들어 왕지(王旨)‧교서(敎書) 등에 썼고, 태종 때에는 명나라로부터 ‘朝鮮國王之印(조선국왕지인)’을 받아 명나라에 보내는 문서에 사용하였다. 어보는 용도와 시대에 따라 다양하였다. 사대문서(事大文書)에는 ‘조선국왕지인’‧‘조선왕보’, 교서와 교...
- 국왕행보(國王行寶)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왕행보 국왕행보 國王行寶 국새(國璽), 어보(御寶) 행보(行寶) 국왕신보(國王信寶), 시명지보(施命之寶),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 교육 출판출판/인장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세종 성인근 책봉(...상위어국새(國璽), 어보(御寶) | 동의어행보(行寶) | 관련어국왕신보(國王信寶), 시명지보(施命之寶),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
- 남양전씨종중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며, 1416년의 왕지에는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이 찍혀 있다. 그러나 뒤의 교지에는 ‘시명지보(施命之寶)’를 찍었다. 1565년의 유서 1통은 전화(田華)가 맏아들 경업(敬業)에게 봉사조(奉祀條)로 전답과 노비를 내려주는 내용이다. 이렇듯 한 가문의 종...연계항목남양전씨종중문서(南陽田氏宗中文書)
- 보인소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와 인이 닳았으므로 무위소(武衛所)와 호조가 그 개주ㆍ개조ㆍ수보를 거행하라는 왕명이 실려 있다. 도설과 함께 실린 보인의 종류는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ㆍ대조선국주상지보(大朝鮮國主上之寶)ㆍ조선왕보(朝鮮王寶)ㆍ위정이덕(爲政以德)ㆍ소신지보(昭信之寶)ㆍ시명지보(施...
- 소신지보(昭信之寶)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국왕’이라 새긴 보문이 격에 맞지 않음이 지적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세종대부터 중원의 제도를 모방하여 국새를 대체할 국왕행보(國王行寶)와 국왕신보(國王信寶)를 제작하여 국왕 문서에 사용함으로써 조선의 국왕 문서용 어보의 전통이 시작되었다. 세종은 기존에...상위어국새(國璽), 보인(寶印), 새보(璽寶), 어보(御寶) | 동의어소신보(昭信寶) | 관련어과거지인(科擧之印), 국왕신보(國王信寶), 국왕행보(國王行寶), 선사지기(宣賜之記), 시명지보(施命之寶), 유서지보(諭書之寶)
고서·고문서(8)
- 戊戌辨誣奏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奉天王正朔,何爲又從日本康正ㆍ寬正ㆍ文明等年號大書之,小字分書永樂ㆍ宣德ㆍ景泰ㆍ成化紀年于日本紀年之下,則是尊奉日本,加于天朝遠甚。而書于僭稱太祖ㆍ世祖ㆍ烈聖ㆍ聖上,敢與天朝稱祖尊上等,彼二百餘年恭順之義謂何?而皇上試以此責問朝鮮,彼君臣將何說之辭?今朝鮮國王姓諱㬥虐,臣民沈湎酒色,乃敢誘倭入犯,愚...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日本考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經史門2_征建州衛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僅以身免, 士卒多被殺掠, 方議討罪. 秋八月, 遼東都事移咨云: ‘建州三衛, 累犯邊境, 將以九月二十七日, 擣其巢穴. 已經奏請, 勅朝鮮國王, 絶其歸路.’ 於是以中樞知事魚有沼爲左廂大將, 同知事南怡爲右廂大將, 鎭北將軍康純爲西征主將, 右參贊尹弼商爲宣慰使, 指授諸軍方略. 丙戌康...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七]論史門四_建州衛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고본(가)에는 ‘川’으로 되어 있다.三衛, 累犯邊境, 將以九月二十七日, 擣其巢穴. 已經奏請, 勅朝鮮國王, 絶其歸路.’ 於是以中樞知事魚有沼爲左廂大將軍, 同知事南怡爲右廂大將 將: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將’ 뒤에 ‘軍’이 있다., 鎭北將軍康純爲西征 西征: 규장각본ㆍ성호...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韓民越界開墾滋事案(한인들이 국경을 넘어 개간하고 소란을 피운 案件) [중국 「外交檔案」 근현대 한중관계 자료의 수집·해제·탈초·정본화 및 DB화 | 전남대학교]卑職再四思維擬以吉墾民嗣後韓員槪不准其給示越境派錢擾害庶可以固結人心而維持大局 5면 若往據情照會竊恐韓員未知省悟而轉起猜嫌除據情稟請北洋大臣鑒核可否咨請朝鮮國王轉飭沿江各府使一體遵照外理合稟請核奪祇遵等情據此査韓民越境墾荒該府使旣不設法撫綏仍復剝取財利殊屬不知大體除稟批示外爲此合咨貴大臣請煩査核...문서명韓民越界開墾滋事案(한인들이 국경을 넘어 개간하고 소란을 피운 案件) | 자료생산總理各國事務衙門 | 관련인물袁世凱
- 무제 ‘어와 드려보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제 난말이 조선국왕 니아모난국운이 불와 왜난이 직금나서연 직힌젹 일조의 젼복이복원복망 황제젼에 하갓흔 덕을입어쟝슈나 쥬옴시면 져난이를 소멸고완명을 보존고 국운을 갑온후지에 도라가니 선왕을 뵈오리다황제듯고 난마리 너의나라 이변난이국운 아이로...가사유형영사가류 | 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시대해방이전
주제어사전(2)
-
조선국왕 유서 / 朝鮮國王 諭書 [정치·법제]
청 옹정제가 조선 국왕에 책봉된 영조에게 보낸 두루마리 문서. 이 문서는 한자와 만주자로 씌어 있다. 왕세제를 국왕으로, 부인 서씨를 왕비로 책봉하니 고명과 예물을 받으라는 내용이다.
-
조선국왕 책봉고명 / 朝鮮國王 冊封誥命 [정치·법제]
청 옹정제가 왕세제를 조선 국왕으로 책봉한 두루마리 문서. 이 문서는 한자와 만주어로 씌어 있다. 1724년 밀창군 이직(李樴)이 주청사로 파견되어 영조 즉위를 알리고 고명을 청하자 이듬해에 태감 호양보(胡良輔)가 고명, 유서, 예물(단자 포함)을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