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선국간행이정약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4)
- 조선국간행이정약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3년(고종 20) 6월 조선 내에서의 일본인 여행허용지역을 확장하기 위하여 조선과 일본 간에 체결된 조약. [내용] 조선국 전권외무독판 민영목(閔泳穆)과 일본 전권공사 다케조에(竹添進一郎) 사이에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일본인은 이...
- 조선국한행리정약조(朝鮮國閒行里程約條)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국한행리정약조 조선국한행리정약조 朝鮮國閒行里程約條 개항(開港), 도로(道路), 부산(釜山), 상권(商權), 원산(元山), 인천(仁川), 통상(通商) 정치외교/외교사안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정...관련어개항(開港), 도로(道路), 부산(釜山), 상권(商權), 원산(元山), 인천(仁川), 통상(通商)
- 민영목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1월 일본과 부산구설해저전선조관(釜山口設海底電線條款)을 체결하였고, 6월 전권대신으로서 조일통상장정(朝日通商章程) 및 해관세칙(海關細則) ‧ 일본인어채범죄조규(日本人漁採犯罪條規) ‧ 조선국한항리정약조(朝鮮國閒行里程約條) 등을 조인하였다. 이어서 8월에는 인천항 일본조계...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민영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독수호조약(朝獨修好條約)을 조인하였다. 또한, 그 해 1월 일본과 부산구설해저전선조관(釜山口設海底電線條款)을 체결하였고, 6월 조일통상장정(朝日通商章程) 및 해관세칙(海關細則)‧일본인어채범죄조규(日本人漁採犯罪條規)‧조선국간행리정약조(朝鮮國間行里程約條) 등을 조인하였다...이칭별칭 원경(遠卿)| 천식(泉食)| 문충(文忠)
고서·고문서(1)
- 강화도(江華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993 B014993 강화도 江華島 도서 인천광역시 高宗實錄 二十年(1878) 六月 고종실록_12006022_007 ○議訂朝鮮國閒行里程約條。 閒行里程約條: 第一條, 兩國政府, 據【朝鮮曆壬午年七月十七日, 日本曆明治十五年八月三十一日。】 各全權大臣議定之續約第一款旨趣,출처전거高宗實錄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조선국간행이정약조 / 朝鮮國間行里程約條 [역사/근대사]
1883년 6월 조선 내에서의 일본인 여행허용지역을 확장하기 위하여 조선과 일본 간에 체결된 조약. 조선국 전권외무독판 민영목과 일본 전권공사 다케조에 사이에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일본인은 이전보다 두 배나 넓은 지역을 여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 조약은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