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석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0)
사전(23)
- 조석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상(國喪) 중 빈전(殯殿)에 아침저녁으로 음식과 술을 올리는 의식. 전(奠)은 상을 당하여 시신을 매장할 때까지 망자에게 올리는 제사이다. 전에는 매일 아침과 저녁에 올리는 조석전 외에도 습전(襲奠), 소렴전(小斂奠), 대렴전(大斂奠) 등과 같이 상례 절차 때에 거...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申氏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539 申氏 인물 廬墓三年, 親行祭祀, 朝夕奠, 旌復 宋瑛, 我成廟 D_04_01_22 대동운부군옥 4권 1장 2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1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雨雪不廢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0_D_0059 雨雪不廢 의례(기타) 居母廬, 朝夕奠 金德崇 孝子 D_15_01_64 대동운부군옥 15권 1장 6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1장 6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조석곡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상(國喪)에서 연제(練祭) 때까지 아침저녁으로 빈소에 나아가 곡을 하며 애도하는 의식. 발인 전에는 빈소에서 조석전(朝夕奠)과 같이 조석곡(朝夕哭)을 행하지만 반우(返虞)한 이후에는 전의(奠儀) 없이 조석곡을 행하다 연제(練祭) 때에 그만둔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화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가화(假花)를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조화공. 三司手本內朝夕奠造果熟手八名式餠匠二名麪匠一名牀花匠一名大祭則熟手十三名餠匠二名麪匠一名牀花匠一名等赴役日數相考逐朔三時料布, (빈전1649/090ㄴ02~04)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67)
- 旣窆,無朝夕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980 喪儀節要 卷二 ITKC_MP_0597A_0980_050_0460 旣窆,無朝夕奠。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권차명喪儀節要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朝夕奠主喪者不當窮奠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st_00053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三 喪禮_朝夕哭奠 朝夕奠主喪者不當窮奠 朝夕奠主喪者不當窮奠 이익(李瀷, 1681~1763) 答秉休 DRAC_3:1:7:6Q 謹按, 虞祭以前, 主人不親奠者, 嫌於忘哀也. 若然, 則雖期以下若妻若子之喪, 而其...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改葬設奠如朝夕奠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sl_00046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四 喪禮_改葬 改葬設奠如朝夕奠 改葬設奠如朝夕奠 이익(李瀷, 1681~1763) DRAC_4:1:4:10Q 《備要》“改葬設奠柩前”條, 有擧哀再拜、酹酒再拜. 若一依喪奠, 則似當如朝夕哭之例 例: 《星湖全集》에...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黃海道 庄土文績_제50책 : 黃海道長淵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211. 乾隆二十一年丙子十二月二十九日金朝碩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5435 奎 19303 黃海道 庄土文績 제50책 : 黃海道長淵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50-211 211. 乾隆二十一年丙子十二月二十九日金朝碩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37.4x64.5 한지, 관인 무, 수결, 일부 탈락 1장...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奠于柩西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st_00118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三 喪禮_朝祖 奠于柩西 奠于柩西 이익(李瀷, 1681~1763) 奠于柩西 DRAC_3:1:15:2 古者, 殯宮朝夕奠, 設于室中東面, 故朝祖亦云“如初”. 至《家禮》, 殯所設奠南面, 則不可謂如初. 《附註》...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3)
-
조석전 / 朝夕奠 [생활/주생활]
국상 중 빈전에 아침저녁으로 음식과 술을 올리는 의식. 전은 상을 당하여 시신을 매장할 때까지 망자에게 올리는 제사이다. 전에는 매일 아침과 저녁에 올리는 조석전외에도 습전, 소렴전, 대렴전 등과 같이 상례 절차 때에 거행하는 별전이 있다. 조선시대 초에는 국상에서
-
조석곡 / 朝夕哭 [생활/주생활]
국상에서 연제때까지 아침저녁으로 빈소에 나아가 곡을 하며 애도하는 의식. 발인 전에는 빈소에서 조석전과 같이 조석곡을 행하지만 반우한 이후에는 전의 없이 조석곡을 행하다 연제 때에 그만둔다.
-
제전 / 祭奠 [생활/주생활]
는 조석전과 습전, 소렴전, 대렴전, 견전 등과 같이 특정한 절차 때에 올리는 전으로 구분된다. 제의 시작인 우제는 신주를 모시고 거행하는 제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