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석곡”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4)
사전(27)
- 조석곡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상(國喪) 중 빈소에 나아가 아침저녁으로 곡을 하며 음식을 올리는 의식. 부모의 상을 당하여 빈소가 마련되면 아침저녁으로 혼백을 모시고 조석으로 곡을 하였는데 이때에 올리는 전을 조석곡전이라 하였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조석곡전급상식의朝夕哭奠及上食儀」라는 의주...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석곡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상(國喪)에서 연제(練祭) 때까지 아침저녁으로 빈소에 나아가 곡을 하며 애도하는 의식. 발인 전에는 빈소에서 조석전(朝夕奠)과 같이 조석곡(朝夕哭)을 행하지만 반우(返虞)한 이후에는 전의(奠儀) 없이 조석곡을 행하다 연제(練祭) 때에 그만둔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석곡전급상식의(朝夕哭奠及上食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석곡전급상식의 조석곡전급상식의 朝夕哭奠及上食儀 국장(國葬) 반교서(頒敎書), 성빈(成殯) 왕실왕실의례/흉례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 박현숙 성빈(成殯) 후 빈전혼전도감(殯殿魂殿都監) 빈...상위어국장(國葬) | 관련어반교서(頒敎書), 성빈(成殯)
- 鄭氏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954 鄭氏 인물 文學, 神主, 朝夕哭祭, 竹林 文忠公夢周, 趙之瑞, 燕山 D_17_02_27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與妻飮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4_D_0125 與妻飮訣 사 詣獄, 婢子, 祠堂, 不脫冠帶, 自刃, 祖父, 神主, 籍沒, 朝夕哭祭 燕山甲子 柳司藝誠源, 成三問, 趙之瑞, 鄭誠謹 本傳, 稡言 D_19_05_16 대동운부군옥 19권 5장 1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5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77)
- 朝夕哭說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st_00047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三 喪禮_朝夕哭奠 朝夕哭說 朝夕哭說 이익(李瀷, 1681~1763) 朝夕哭奠說 DRAC_3:1:7:1 《喪禮備要》以“朝夕哭”與“奠”爲別項事, 朝則哭先於奠, 夕則奠先於哭, 以《家禮》“每日”以下二十三字屬朝...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朝夕哭位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st_00054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三 喪禮_朝夕哭奠 朝夕哭位 朝夕哭位 이익(李瀷, 1681~1763) 答秉休問目 DRAC_3:1:7:7Q 《士喪禮》“朝夕哭”云: “婦人卽位于堂, 南上, 丈夫卽位于門外, 西面, 北上.” 栗谷謂“旣殯之後,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朝夕哭有拜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st_00050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三 喪禮_朝夕哭奠 朝夕哭有拜 朝夕哭有拜 이익(李瀷, 1681~1763) 答 DRAC_3:1:7:3A 朝夕哭, 何可無拜? 以朱子所謂“孝子欲拜, 須待起而衣服飮食”之義推之, 其有拜, 無疑. 至小祥無哭之後,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朝夕哭奠 上食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上食朝奠 HCFR_4:7:1 “朝夕哭奠”, 非兩項事, 故旣以“朝夕哭奠”爲目. 又以朝奠夕奠爲綱, 不復著朝哭夕哭也. 按, 《旣夕禮》云: “猶朝夕哭, 不奠.” 《疏》云: “反哭至殯宮, 猶朝夕哭如前, 不奠.” 《士喪禮》, 以“朝夕哭, 不辟子卯”一句包下哭奠節次, 可以見矣....서명가례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旣殯 二 【朝夕哭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780 喪禮四箋 卷二 ITKC_MP_0597A_0780_020_0020 旣殯 二 【朝夕哭奠】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권차명喪禮四箋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3)
-
조석곡 / 朝夕哭 [생활/주생활]
국상에서 연제때까지 아침저녁으로 빈소에 나아가 곡을 하며 애도하는 의식. 발인 전에는 빈소에서 조석전과 같이 조석곡을 행하지만 반우한 이후에는 전의 없이 조석곡을 행하다 연제 때에 그만둔다.
-
졸곡 / 卒哭 [종교·철학/유학]
에는 조석곡을 한다. 문헌상 졸곡 기록은 <예기> <곡례> <잡기>에 있다.
-
가례 / 家禮 [종교·철학/유학]
조석곡(朝夕哭)·조부(弔賻)·분상(奔喪)에 관한 것 등이다.권5는 장례(葬禮)로 치장(治葬)·천구(遷柩)·견전(遣奠)·발인(發靷)·성분(成墳)·반곡(反哭)·우제(虞祭)·졸곡(卒哭)·부제(祔祭)에 관한 것, 권6은 소상(小祥)·대상(大祥)·담제(禫祭)에 관한 것, 권7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