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상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15)
- 조상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단종의 장릉(莊陵)에 배향되고, ‘노산조부제학조상치의 묘(魯山朝副提學曺尙治之墓)’라 새긴 묘비를 세워 세조의 신하가 아님을 밝혀 충의를 기렸다. 그의 시문은 임종시에 모두 소각되었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이칭별칭 자경(子景)| 충정(忠貞)|정재(靜齋)|단고(丹皐)
- 조상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세조의 왕위 찬탈 뒤 예조참판에 임명되나, 이를 사양하고외부와의 모든 접촉을 끊고 지낸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曹尙治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889 曹尙治 인물 壯元, 集賢殿副提學, 受禪, 稱疾, 上疏, 乞致仕, 禮參, 賜餞, 杜門, 謝客, 登第, 禮議, 親老 我世宗, 世宗朝 昌寧, 都門, 永川 子景, 丹臯, 光廟, 魯山, 變隆 D_13_04_98 대동운부군옥...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9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조상치(曺尙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상치 조상치 曺尙治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세종~세조 최양규 이범직 2008 자경(子景) 정재(靜齋), 단고(丹皐) 충정...
- 이안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간하다가 경산으로 귀양가게 되었다. 1419년(세종 1) 영천의 서파리(西坡里)에 퇴거하여 유방선(柳方善), 부제학 조상치(曺尙治), 사간 최원도(崔元道) 등과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고 시를 읊으며 후진을 가르쳤다. 유방선이 그를 칭찬하여 필법은 장욱(張旭)...이칭별칭 이립(而立)| 서파(西坡)
고서·고문서(9)
- 대부도(大阜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容德爲五衛將, 崔孝涵·崔允岳爲昌德將, 金基榮爲慶熙將, 李啓善爲訓鍊僉正, 南周元爲文兼, 朴泓錫爲守門將, 李敬植爲南道參奉, 李宗甲爲濬源殿守門將, 李允用爲全羅兵使, 趙相植爲黃沿海防衙門水師別將兼大阜島鎭水軍僉節制使南陽監牧官單趙存億。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昭陵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版樓前下馬昭陵諸王則於立獅子處下馬官民則於樹紅樁處下馬一福陵·昭陵除清明.中元.歲暮照常致祭外每歲十月朔.冬至.亦各致祭一次其祭品十月朔.用酒果供香燭冬至.用牛羊豕獻酒果上飯上羹供香燭焚帛讀祝文一祀圜丘方澤先期三日遣公侯伯一員視牲二日遣禮部堂官看牲一太廟歲暮祭大月於二十九日小月於二十八日其清明祭各官...출처전거『淸實錄』 世祖章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鷄林玉笛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Link?DCI=ITKC_MP_0597A_0120_020_0030_2014_002_XML 002 慶州有玉笛一,新羅舊物也。他人吹之不能聲,唯慶之工得聲之。然且有一工能之,則他工不能聲,其人死而後,有代而聲之者出焉。國朝嘗徵此笛與能聲此笛者,在途吹弄,其聲嘐亮,至鳥嶺之北,笛忽啞,旣...권차명文集 卷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跋神德紀蹟碑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問,而陳其一二焉,今其碑已古跡矣。遂裝爲帖,泣書其顚末。 又谷山北八十里,有馳馬谷ㆍ太祖城等古跡。鄕人傳言:“太祖嘗馳馬習劍于此谷也。” 然谷在岢嵐山之絶頂,於此馳馬,恐不合理。或云:“山形如裙,方言裙曰馳馬,故名之。” 然谷有泉井一眼,曰水刺泉,則聖祖於此山駐蹕,可知也。於是上又欲立碑,碑旣具,以...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神德王后康氏谷山本宮形止啓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大王自永興往來松京之時,到此溪渴甚,時后適在溪邊汲水。太祖索水,后㪺水泛楊葉進之。太祖怒之,后曰:‘恐急飮中傷也。’ 太祖奇其言,遂有舟梁之儀。” 又谷山北八十里岢嵐山之南,有馳道數里在山頂,土人名之曰馳馬谷。其北有太祖城,故老傳爲太祖嘗馳馬此山,以習騎射。臣謹案,神德王后本籍谷山,國舅卽象山府院君...권차명文集 卷十 | 문체公車類|疏箚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4)
-
조상치 / 曺尙治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계룡의 후손, 수 증손, 할아버지는 익청, 아버지는 신충, 어머니는 최중연의 딸이다.1419년(세종 1) 증광문과에 을과장원으로 급제하여 사재감주부가 되었다. 1424년 좌정언에 임명되고 집현전에서 유숙하였으며, 세종·문종·단종 3대를
-
구은 / 九隱 [역사/조선시대사]
1455년(세조 1) 단종(端宗)이 왕위를 양보하자 자취를 감춘 9명의 은자(隱者). 구은에 해당되는 인물은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정재(靜齋) 조상치(曺尙治), 둔수(遯叟) 박도(朴渡), 박제(朴濟), 탁영재(濯纓齋) 박규손(朴奎孫), 운와(雲窩) 박효손
-
창천서원 / 滄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었던 서원. 창건연대는 미상이다. 조선시대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득룡(李得龍)·이덕린(李德麟)·손응현(孫應晛)·조상치(曺尙治)·조한보(曺漢輔)·조한영(曺漢英)·조선장(曺善長)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
-
조선장 / 曺善長 [종교·철학/유학]
1661년(현종 2)∼1726년(영조 2). 조선 후기 유학자. 조희익의 후손이다. 이현일의 문인으로서 퇴계의 학맥을 이었으며, 모여 이명윤과 교유, 정규양·정만양·정석달 등과는 편지로 학문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창주서원에 조상치·조한보·조한영과 함께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