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상우” 에 대한 검색결과 1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5)

사전(33)

  • 시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7권 3책. 목활자본. 1845년(헌종 11) 6대손 상규(橡圭)한규(韓圭)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내희(宋來熙)의 서문과 권말에 한규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40(인조 18)∼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직(子直), 호는 동강(東岡). 기(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희보(希輔)이고, 아버지는 예조판서 형(珩)이다. 어머니는 목장흠(睦長欽...
    이칭별칭 자직(子直)| 동강(東岡)| 효헌(孝憲)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현종~숙종 최양규 이범직 2008 자직(子直) 동강(東岡) 효헌(孝憲)...
  • 이필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딸이다. 1706년(숙종 32) 형조판서 ()로부터 학행으로 천거받아 성균관에 들어갔고, 1710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713년에는 시강원설서에 이르렀다. 평소에 경사(經史)를 탐독, 이에 정통하였고 널리 백가서(百家書)에 두...
    이칭별칭 정숙(鼎叔)| 도곡(陶谷)
  • 양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술. 記惠兩種海. 適及彈鋏之中 又帶一壺陽露 開嘗飮德, (), 29-1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49)

  • 1677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77년(숙종3)3월 4일에 가 보낸 답장이다. 과거에 낙방하고 돌아가는 수신자를 위로하고, 자신이 남평(南平)에서 유배생활을 할 때 서로 만났다가 멀리 이별하게 되니 서글펐다고 회고한 내용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682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82년(숙종8)11월 2일에 가 보낸 답장이다. 객지에서 감기에 걸렸다고 하자, 잘 조섭하여 내일 과거시험장에 반드시 들어가라고 권유했으며, 감기를 다스릴 꿀은 거의 다 떨어져 1종(鍾)만 보낸다는 내용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3839 B013839 강도 江都 도서 정치행정 肅宗實錄 二十三年(1697) 閏三月 숙종실록_12303123_003 ○備邊司請給江都米三百石、賑廳錢一千兩於開城府。 從留守狀請也。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595 B038595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29年 5月 2日_021 ○兵批, 以爲副摠管, 丁時梯爲同知, 柳斗齊爲部將, 朴正龜爲宣傳官, 副護軍趙泰東·金鎭圭, 副司果金興慶·韓永祚, 以趙裕錫爲慶德宮假衛將, 李晩雄爲多大浦僉使, 爲知事, 申慶汝...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530 B07253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0年 2月 4日_010 ○引見時, 持平所啓, 請罪人金重夏嚴鞫處斷事。 前正言朴世·李三碩特罷之命事。 又所啓, 東萊爲府, 乃南藩重地, 接待殊俗, 爲任不輕, 從前擇差, 意非偶然, 新除授韓構, 爲人浮浪, 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애국계몽기 우언문학에 표현된 일본의 형상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상우, 게재일 : 2004
    08375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어문학회 2004 애국계몽기 우언문학에 표현된 일본의 형상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
    유형논문 | 게재일2004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1326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79면 9. 제22회 졸업자명부 1936년 3월 7일 ; 1936년 3월 7일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7887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16-1935) n.r. 11면 ; 경기 3회 1915년 3월 24일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40(인조 18)∼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기 증손, 할아버지는 희보, 아버지는 형. 어머니는 목장흠의 딸이다. 이경석의 문하에서 수학, 1657년(효종 8) 사마시에 합격한 뒤 송준길의 문인이 되었다. 내의원제조,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

  • 정퇴서원 / 靜退書院 [교육/교육]

    (李舜臣)·강봉수(姜鳳壽)를 모셨다. 1692년에 ()·강백년(姜栢年)·윤현(尹俔), 1705년에 조이후(趙爾後)를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 8)에 훼철된 뒤 복원하지 못하였다.

  • 조구명 / 趙龜命 [종교·철학/유학]

    1693년(숙종 19)∼1737년(영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 조부는 , 아버지는 조태수이다. 모친은 심권의 딸이다. 1735년(영조 11) 동몽교관이 되었다. 사축서별제, 공조좌랑이 되었다. 1737년(영조 13) 9월 영조가 그에게 외읍에 시험해 보도록

  • 도산문집 / 道山文集 [종교·철학/유학]

    」·「합도(合圖)」·「도설(圖說)」·「도해(圖解)」 등은 심성에 대한 원리를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에 의거해 도식화한 것이다. 1906년에 쓴 「인극도설후서(人極圖說後敍)」에서 ()의 심성도(心性圖)를 정양(靜養)이 수정한 것을 다시 수정해 작성한 것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