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산대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0)
사전(33)
- 봉선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종4품 문관의 품계. [내용]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忠宣王)이 복위하여 종4품계(從四品階)로 처음 설정한 이래로 조산대부(朝散大夫)와 번갈아가면서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 문산계
- 조산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내용] 1076년(문종 30) 종5품 하계(下階)로 정하여져 전체 29등급 중 제13계였다. 1356년(공민왕 5) 종4품으로 승급되어, 봉선대부(奉善大夫)와 번갈아가면서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 ...
- 조산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문신 종4품 상계(上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종4품 상계는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는 조봉대부(朝奉大夫)로정하여져 그대로『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4...
- 조봉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문신 종4품 하계(下階)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종4품 상계는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는 조봉대부(朝奉大夫)로 정하여져 그대로『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
- 종사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8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종4품 상계는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는 조봉대부 (朝奉大夫)로, 무산계의 상계는 선절장군(宣節將軍),
고서·고문서(258)
- 趙基遠을 朝散大夫에 임명하는 敎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79 1230_01 趙基遠을 朝散大夫에 임명하는 敎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28.JPG 趙基遠을 朝散大夫에 임명하는 敎旨 敎旨 仁祖 趙基遠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趙基遠을 朝散大夫에 임명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280 1230_02 趙基遠을 朝散大夫에 임명하는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KJ028.hwp 敎旨 趙基遠爲 朝散大夫 者 崇禎二年六月十二日 童蒙敎官己五別加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安義를 朝散大夫守成均館司藝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58 0268_01 成安義를 朝散大夫守成均館司藝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61.JPG 成安義를 朝散大夫守成均館司藝에 임명하는 교지...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以性을 朝散大夫行世子侍講院司書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80 0290_01 成以性을 朝散大夫行世子侍講院司書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以性 한자 고문서 GS083.JPG 成以性을 朝散大夫行世子侍講院司書에 임명하...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成以性을 朝散大夫行世子侍講院司書에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0581 0291_01 成以性을 朝散大夫行世子侍講院司書에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旨, 成以性 한자 고문서 GS084.JPG 成以性을 朝散大夫行世子侍講院司書에 임명하...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기타자료(19)
- 후당이 고려의 한신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天成 1/日本 延長 4) 신라 후당→고려 【번역】 (동광) 4년 정월에 이르러 한신일(韓申一)에게 조산대부(朝散大夫)·시전중감(試殿中監)을, 박암(朴巖)에게 조산랑(朝散郞)·시비서랑(試秘書郞)을 제수하였다. (五代會要 30 高麗) 【원문】 (同光)至...대표표제어후당이 고려의 한신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6년(丙戌/신라 경애왕 3/발해 애왕 26/후백제 견훤 27/고려 태조 9 天授 9/後唐 同光 4, 天成 1/日本 延長 4)
- 후당이 고려의 한신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天成 1/日本 延長 4) 신라 후당→고려 【번역】 (동광) 4년 정월에 이르러 한신일(韓申一)에게 조산대부(朝散大夫)·시전중감(試殿中監)을, 박암(朴巖)에게 조산랑(朝散郞)·시비서랑(試秘書郞)을 제수하였다. (『五代會要』 30 高麗) 【원문】 (同光)至四年...대표표제어후당이 고려의 한신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26년(丙戌/신라 경애왕 3/발해 애왕 26/후백제 견훤 27/고려 태조 9 天授 9/後唐 同光 4, 天成 1/日本 延長 4)
- 신라가 후당에 김악(金岳)을 보내어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唐 同光 2/日本 延長 2) 신라 신라→후당 【번역】 여름 6월에 조산대부(朝散大夫)·창부시랑(倉部侍郞) 김악을 파견해 후당에 들어가 조공하였다. 장종이 조의대부·시위위경을 제수하였다. (三國史記 12 新羅本紀 12 景明王 8年) 【번역】 (동광) 2...대표표제어신라가 후당에 김악(金岳)을 보내어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4년(甲申/신라 경명왕 8, 경애왕 1/발해 애왕 24/후백제 견훤 25/고려 태조 7 天授 7/後唐 同光 2/日本 延長 2)
- 신라가 후당에 김악(金岳)을 보내어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後唐 同光 1/日本 延喜 23, 延長 1) 신라 신라→후당 【번역】 여름 6월에 조산대부(朝散大夫)·창부시랑(倉部侍郞) 김악을 파견해 후당에 들어가 조공 조공 : 입조하여 공물(貢物)을 전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신라의 방물을 공물로 전한 것을 말한다.하였다....대표표제어신라가 후당에 김악(金岳)을 보내어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23년(癸未/신라 경명왕 7/발해 애왕 23/후백제 견훤 24/고려 태조 6 天授 6/後梁 龍德 3, 後唐 同光 1/日本 延喜 23, 延長 1)
- 발해 사신에게 금자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후당→발해 【번역】 (장흥) 4년 7월에 앞서의 입조사(入朝使)인 성문각(成文角)을 조산대부(朝散大夫)·우신무군장사(右神武軍長史)로 삼고 주사우록사(奏事右錄事)·시대리평사(試大理評事) 고보예(高保乂)를 조산랑(朝散郞)·우효위장사(右驍衛長史)로 삼았으며 아울러 금...대표표제어발해 사신에게 금자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33년(癸巳/신라 경순왕 7/후백제 견훤 34/고려 태조 16, 天授 16/後唐 長興 4/日本 承平 3)
주제어사전(5)
-
조산대부 / 朝散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종4품 상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종4품 상계는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는 조봉대부(朝奉大夫)로정하여져 그대로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봉선대부 / 奉善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종4품 문관의 품계.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복위하여 종4품계로 처음 설정한 이래로 조산대부(朝散大夫)와 번갈아가면서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
조봉대부 / 朝奉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종4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종4품 상계는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는 조봉대부(朝奉大夫)로 정하여져 그대로 ≪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
종사품 / 從四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8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종4품 상계는 조산대부, 하계는 조봉대부로, 무산계의 상계는 선절장군, 하계는 선략장군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무산계의 상계인 선절장군은 뒤에 정
-
결송유취 / 決訟類聚 [역사/조선시대사]
수군절도사 김태정, 승의랑수전라도도사 심우정, 통정대부수전주부윤전주진관병마절제사 남언경, 조산대부행전주부판관전주진관병마절제도위 최몽신(嘉善大夫全羅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 金泰廷, 承議郎守全羅道都事 沈友正, 通政大夫守全州府尹全州鎭管兵馬節制使 南彦經, 朝散大夫行全州府判官全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