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부” 에 대한 검색결과 18,9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541)

사전(1,74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는 영(令)‧경(卿)‧대사(大舍)‧사지(舍知)‧사(史)가 있었다. 장관인 영은 2인으로, ≪삼국사기≫ 직관지에는 651년(진덕여왕 5)에 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신라본기에는 584년 3월에 령 1인을 두었다고 하고 있다. 따라서 설치당시에는 1인이었다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사옹원(司饔院)에 소속된 종8품 잡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조(調)는 음식물의 조리를 뜻하는 것으로 이들은 일종의 조리사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시대 공부(貢賦)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정의신라시대 공부(貢賦)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obu | MR표기Cho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G0_D_0016 외교(기타) 遣使, 鐵甲, 優勞, 錦袍, 金甲 百濟, 唐 百濟, 唐 武王, 太宗 史 D_10_01_11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1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2_D_0180 調 관직 貢賦, 調位府, 三司, 中外, 錢穀, 出納, 會計 泰封 眞平王, 王太祖 羅史, 百官志 D_10_01_12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1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6,390)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경상북도 김천시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조중 2 2 , 부친, 김씨, 저, 찾는...
    대표표제어조부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최 여자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龙县) 팔가자 4 2 , 최씨, 큰아들, 최씨, 둘째, 해방전, 광응학교, 문...
    대표표제어조부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빈 남자 충청남도 부여군 흑룡강성(黑龙江省) 가목사시(佳木斯市) 건축공사 6 5 , 명함, 빈씨, 자식,...
    대표표제어조부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경상북도 군위군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용담구(龙潭区) 길림가10위9조13동루85호 2 2...
    대표표제어조부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경상북도 의성군 길림성(吉林省) 혼강시(浑江市) 홍기향(?旗?) 선명촌일대(?明村一?) 5 5 , 김씨,...
    대표표제어조부 | 성씨

구술자료(38)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2-01-1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제보자공병덕
  • 점곡 자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정익 씨가 ‘집 지키미 이야기’를 하면서 조부자를 언급하였다. 이야기가 끝나고, 조사자가 ‘조부자 이야기’를 청했다. 권오규 씨와 두 분이 함 께 들은 것을 이야기했다.
    조사일시2011. 6. 4.(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 도동3리경로당 | 제보자김점익(#), 권오규(#1)
  • 부지런한 잣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의 집에 찾아갔을 때, 몇 번을 불러도 인기척이 없었다. 집이 아주 큰 기와집인데, 제보자가 어느 방에 계시는지 알 수 가 없었다. 그래 서 마루에 올라 큰 소리로 여러 번 부르자 나오셨다. 아주 추운 날이어서 방안에만 계셨다고 그러셨다. 조사자의 방문 목적을...
    조사일시2010. 12. 29(수) | 조사장소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수동1길 14 | 제보자조형영
  • 권수한 증 묘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선이 이야기□에 계속해서 구연한 풍수설화이다. 권시 자손들은 부정(否定)하는 전설이라고 한다.*
    조사일시1979-02-25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 제보자안평국
  • 하마비를 움직인 아기장수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단술샘 이야기가 너무 짧다고 생각한 듯 앞의 이야기에 바로 이어서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자기집안의 내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은근히 내세우는 듯했다. 사실이라는 것을 강조하려고 지명과 인명을 가능한 한 분명히 하려고 노력했다.*
    조사일시1984-02-09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 제보자장정섭

기초학문(27)

  • 모-손자녀가족 모의 손자녀양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34174 한국연구재단 한국가정관리학회 2005 모-손자녀가족 모의 손자녀양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유아의 기질과 모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모와 손자녀 친밀감의 중재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진지혜, 게재일 : 2012
    46692 진지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년학회 2012 유아의 기질과 모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모와 손자녀 친밀감의 중재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2차 시흥운동``의 전개와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곤택, 게재일 : 2012
    10286 임곤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2차 시흥운동``의 전개와 의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국 현대 시조의 위상과 '2차 시흥운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곤택, 게재일 : 2012
    10683 임곤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韓國批評文學會 2012 한국 현대 시조의 위상과 '2차 시흥운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모-손자녀가족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34173 한국연구재단 한국가정관리학회 2005 모-손자녀가족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74)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에셔 경무고문 환산즁쥰씨의 공함을 인야 의졍부와 탁지부로 죠회기 경무고문관 보자 고하송지죠가 상월삼십일에 직고되고 즁촌건랑을 통역관보로 고빙얏 월봉은 삭 칠십오원과 가비 삭 이십오원으로 뎡얏스니 죠량라 얏다더라
    게재일1905년 12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淸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안동현에셔 아인이 쳥인 삼십여명을 령솔고 의쥬로 월강야 산셩 슈목을 작벌려 다고로 쳥공관으로 죠회엿더니 쳥공의 죠복을 거즉 그럴리유가 업슬듯나 봉텬쟝군에게로 훈칙야 단속케 마고 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4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俄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룡쳔군 룡암포에 거류 아인을 것어가라고 외부에셔 아공관으로 죠회말은 이왕긔엿거니와 아공가일작에 외부로죠복대를 드른즉 룡암포에 거류 아인등은 삼림 뎨이쟝회샤 샤원과 역부등이오 가를 셜시다은 잠시 거류이니 삼림을 임의 착슈터인즉 아인이 부득불 ...
    게재일1903년 5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所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 일본공 가등증웅씨를 궁부에셔 고문관으로 고빙고로 본월이십삼일간에 동경에셔발졍야 나온다더라
    게재일1902년 2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外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향쟈에 일본공 림권죠씨가 외부에 죠회기를 쥬일한공를 한셔긔으로 셔리케 는고로 교셥무가 양 지체고  유학에 야 학비를 지발든지 불너 환국케 든지 량단간 귀졍라고 일본 졍부에셔 훈령엿다 지라 의부에셔 죠복기를 셔긔 졍용이가 일본에 오...
    게재일1902년 11월 6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

기타자료(168)

  • 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381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35면 환;煥 경남 통영군 산양면 인평리 제2회 1940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4800 남한 전북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2-45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년~1945년 n.r. 8면 2. 1931년 3월 23일 제2회 졸업생 영;英 소화6년 3월...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문;門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6379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107면 30. 제30회 졸업생(69명) 소화18년 12월 24일 문문;門文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문;門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2005 남한 경남 진주농업학교 2-48 진농원예부 졸업앨범 1942 3면 문문;門文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복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4334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24면 조복길;吉 전라북도 옥구군 서수면 서수리 381;경북 상주군 상주공립보통학교 사범과 제4회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363)

  • / 調 [생활/식생활]

    조선시대 사옹원에 소속된 종8품 잡직. 정원은 2인이다. 조(調)는 음식물의 조리를 뜻하는 것으로 이들은 일종의 조리사이다.

  • 조보 / [언론·출판/출판]

    조선시대 승정원에서 재결 사항을 기록하고 서사하여 반포하던 관보. 조칙. 조정의 결정 사항, 관리 임면, 지방관의 장계를 비롯하여 사회의 돌발 사건까지 실었다.

  • 지 / 京 [역사/조선시대사]

    1851년 무렵에 통판(通判) 이승경(李承敬)이 한성부에 관련된 각종 내용을 기록한 지지(地誌). 1책. 필사본. 내용을 보면 한성부(漢城府)의 기지(基址)주 01)와 공해(公廨)주 02)의 규모, 이방·호방·예방·형방·병방·공방의 조직과 업무, 관리들의 인사규정·업무

  • 흥론 / 時調興論 [문학/현대문학]

    국민문학파가 민족주의 문학 운동의 실천 방법으로 제시한 현대 시조 창작 운동. 카프(KAPF,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결성으로 갑자기 대두하기 시작한 프로문학의 세력 확장에 대항한 최남선(崔南善)과 이광수(李光洙)를 중심으로 한 기성 문단의 반격이 국민문학론인데,

  • 김흠부묘출토유물 / 金欽婦墓出土遺物 [생활/의생활]

    조선 중종대의 문신 김흠조(金欽祖) 부부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 일괄. 분묘의 형태는 동묘이곽형(同墓異槨形)의 합장묘였는데, 출토유물 중 복식류는 단령(團領) 7점, 직령(直領) 2점, 답호(조끼류) 11점, 철릭 13점, 상의류 6점, 바지류 8점, 모자 1점, 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