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미조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25)
- 조미조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2년(고종 19) 조선과 미국 간에 체결된 통상협정조약. [역사적 배경] 미국은 1844년 미청망하조약(美淸望廈條約)으로 청나라의 문호를 개방하고, 1854년 페리(Perry, M.C.) 제독의 일본원정 결과 체결된 미일조약으로 일본...
- 조미조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82년 조선과 미국이 국교와 통상을 목적으로 체결한 조약.정의1882년 조선과 미국이 국교와 통상을 목적으로 체결한 조약.[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o-Mi Joyak | MR표기Cho-Mi Choy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조미조약(朝美條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미조약 조미조약 朝美條約 조약(條約) 한미수호통상조약(韓美修好通商條約) 연미론(聯美論), 북양대신(北洋大臣), 조선책략(朝鮮策略), 통상(通商) 정치외교/외교사안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한철호상위어조약(條約) | 동의어한미수호통상조약(韓美修好通商條約) | 관련어연미론(聯美論), 북양대신(北洋大臣), 조선책략(朝鮮策略), 통상(通商)
- 조미수호통상조약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알렸기 때문이었다. 슈펠트와 이홍장은 1880년 6월 15일 천진에서 조선과 미국의 조약 체결을 의제로 회담을 개시하였다. 조미조약 체결을 위한 예비교섭은 1881년 10월부터 시작되었다. 김윤식은 1882년 봄에 조선에서 조미 양국의 전권대신이 협상 및 조약 조인을...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각국약장합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약의 정형문구의 이동(異同)을 밝힌 각국조약동이합편(各國條約同異合編)‧장정‧세칙‧지계정식(地契程式)의 순서로 수록되어 있다. 또한 조계장정‧조미조약(朝美條約)‧조아통상장정(朝俄通商章程)의 한문으로 된 원문을 수록하고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
고서·고문서(26)
- Милостивый Государь, Петр Семенович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미국이 조선과 조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중국이 개입하고 있다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군사사문서보관소 | 발신일1881.06.25.
- 1887년 조미조약(朝美條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외교-외교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조미조약 체결을 위한 슈펠트의 조선 행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미조약 체결을 위한 슈펠트의 조선 행 조미조약 체결을 위한 슈펠트의 조선 행 Brandt 1882.04.25 1882.03.09 ...대표표제어조미조약 체결을 위한 슈펠트의 조선 행 | 발신자Brandt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를린
- 조미조약의 거중조정 조항에 관한 모닝 포스트지 통신원의 지적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미조약의 거중조정 조항에 관한 모닝 포스트지 통신원의 지적 보고 메테르니히 뷜로 1904.02.10 1904.02.12 런던 ...대표표제어조미조약의 거중조정 조항에 관한 모닝 포스트지 통신원의 지적 보고 | 발신자메테르니히 | 수신자뷜로 | 발신지런던 | 수신지베를린
- 임오군란 발발 및 일본공사관 피습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7.31 도쿄 베를린 A.4796 보고 1882년 6월 조미조약 체결을 통해 조선이 외국과 조약체결 의사가 있음을 확인하고 브란트를 파견하여 6월 30일에 조선과 조약 체결에 성공했지만, 이번 일본공사관 습격사건을 통해 조선 내 반외세 세력이 존재할...대표표제어임오군란 발발 및 일본공사관 피습에 관한 건 | 발신자Eisendecher | 수신자독일 황제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신문·잡지(2)
- 교원신문_1949_111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년 11월 10일 45 조윤경 미국, 청국, 일본, 독일, 영국, 로씨야, 이태리, 불란서 (2) 조미조약 기타 렬강들과의 조약 (가) 조미조약 미국 자본가들은 오래 전부터 조선을 자기의 식민지로 만들려고 나서 들었다. 1871년 신미양요에서 침략...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49_1110_02 | 날짜1949년 11월 10일
- 교원신문_1949_1107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년 11월 7일 44 조윤겸 조미조약, 강화조약, 명치유신, 신미양요, 병인양요, 샤만호 사건 1868년에 독일 국기를 단 기선 1척이 4백 명의 군인을 싣고 조선에 □□하였다. 이것은 독일인 옵페르트를 위시한 미국인 불란서인 등으로 조직된 순전한...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49_1107_02 | 날짜1949년 11월 7일
주제어사전(2)
-
조미조약 / 朝美條約 [역사/근대사]
1882년 조선과 미국 간에 체결된 통상협정조약. 1882년 5월 22일 제물포 화도진(花島鎭)에서 조선 전권대신 신헌, 부대신 김홍집과 미국 전권공사 슈펠트 사이에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다른 조약에 비해 무엇보다 불평등이 배제된 주권 독립국가간의
-
조독수호통상조약 / 朝獨修好通商條約 [역사/근대사]
1883년에 체결된 조선과 독일 사이의 통상, 우호, 항해 조약. 이 조약은 조선정부와 독일정부가 처한 특수한 사정으로 두 차례에 걸쳐 수정, 조인되는 번복을 겪었다. 1882년에 조미조약, 조영조약이 체결되자 북경주재 독일공사 브란트(Brandt, M. von)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