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미수호통상조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
사전(50)
- 조미수호통상조약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미국 동아시아 함대 제독 슈펠트(R. W. Shufeldt, 薛裴爾)는 1880년 3월 대서양과 인도양을 거쳐 나가사키(長崎)에 도착하였다. 슈펠트는 1880년 5월 부산에 정박한 가운데 부산주재 일본영사 곤도 마스케(近藤真鋤)를 통해서 수교를 요청했지만 동래부사 심동...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조미수호통상조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82년 조선과 미국이 국교와 통상을 목적으로 체결한 조약.정의1882년 조선과 미국이 국교와 통상을 목적으로 체결한 조약.[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o-Mi Suho Tongsang Joyak | MR표기Cho-Mi Suho T’ongsang Choy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신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10(순조 10)∼1884(고종21). 조선 후기의 무신‧외교가.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초명은 관호(觀浩). 자는 국빈(國賓), 호는 위당(威堂)‧금당(琴堂)‧우석(于石). 할아버지는 훈련대장 홍주(鴻周)이며, 아버지는 부사 ...이칭별칭 국빈(國賓)| 위당(威堂), 금당(琴堂), 동양(東陽), 우석(于石)| 장숙(壯肅)
- 김윤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위하여 북양대신(北洋大臣) 이홍장(李鴻章)과 7차에 걸친 회담을 하고, 그 결과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이 체결되었다. 청나라 체류 중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문의관(問議官) 어윤중(魚允中)과 상의, 청나라에 파병을 요청하는 동시에 흥선대원군을 제거할 수...이칭별칭 순경(洵卿)| 운양(雲養)
- 음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약(朝美修好通商條約)체결을 위한 사전교섭, 1882년 임오군변이 발생 당시 청나라측의 개입진상 등이 소상히 기록되어 있어서 이런 문제들을 밝히는 근본사료가 된다. 그러나 임오군변의 소식이 전해진 뒤의 청군(淸軍) 개입문제, 특히 흥선대원군의 난의 괴수설 및 그에...
고서·고문서(30)
- Его Высоко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у А.А. Пещурову и др.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조미수호통상조약의 체결 과정과 체결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해군함대문서보관소 | 발신일1881.06.04. 외
- 조미수호통상조약 1조 내용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미수호통상조약 1조 내용 보고 슈테른부르크 뷜로 1904.03.03 1904.03.22 워싱턴 베를린 A.54 A.4...대표표제어조미수호통상조약 1조 내용 보고 | 발신자슈테른부르크 | 수신자뷜로 | 발신지워싱턴 | 수신지베를린
- 조미수호통상조약의 효력 발위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미수호통상조약의 효력 발위에 관한 건 조선 독립 승인 Beust Bismarck 1883.01.28 1883.01.28 워싱턴 ...대표표제어조미수호통상조약의 효력 발위에 관한 건 | 발신자Beust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워싱턴 | 수신지베를린
- 조미조약의 거중조정 조항에 관한 모닝 포스트지 통신원의 지적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베를린 No.106 A.2353 보고 모닝 포스트(Morning Post)지의 워싱턴 통신원이 조미수호통상조약의 거중조정 조항을 지적. 조선문제 정리할 때 워싱턴 정부의 입장을 강화할 근거가 될 수 있음. 만주문제와 더불어 일본과 의견차 기점이 될 수...대표표제어조미조약의 거중조정 조항에 관한 모닝 포스트지 통신원의 지적 보고 | 발신자메테르니히 | 수신자뷜로 | 발신지런던 | 수신지베를린
- 서정기(西征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인명>이홍장(李鴻章)</인명>이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의 체결을 강력히 권고하고 그 초안까지 준비하고 있었기에 조선 조정에서 이에 대한 자문을 구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청나라에 파견되어 있던 조선의 공학도(工學徒)들을 점검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4)
- 한반도 미군 철군 관련(3)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통령의 “미국이 소련을 불러들였다는” 연설문 내용과 관련하여 그것은 사실이 아니며, 38도선 이남을 차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왔음을 강하게 주장함. 이승만, 무쵸, 원조, 미군 철군, UN 한국위원회, 조미수호통상조약, KMAG 18-8.미국무부_한반...대표표제어한반도 미군 철군 관련(3) | 자료유형서신/정책보고서 | 집필자미국무부(Muccio 외) | 출처FRUS,1949,vol.7(pp.980-981,984-985,989-992,1000-1005,1019-1020) | 키워드이승만, 무쵸, 원조, 미군 철군, UN 한국위원회, 조미수호통상조약, KMAG
- 황해일보_1952_030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원용준 황해일보 미국, 일본, 중국, 쏘련 조국해방전쟁, 3·1운동, 조미수호통상조약, 포츠마스조약, 정전담판 미 제국주의자들은 3·1운동 당시에 소위 『3·1운동 전말 조사단』을 조선에 파견하고 그 □□을 미국 상원에 보고자 한 일이 있었다....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301_02 | 책임주필원용준
- 황해일보_1952_030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 미국, 일본, 쏘련, 쏘베트 조선로동당 3·1운동, 조국해방전쟁, 샤-만호 사건, 조미수호통상조약 미 제국주의자들은 3·1운동 당시에 소위 『3·1운동 징발 조사단』을 조선에 파견하고 그 □□을 미국 상원에 보고자 한 일이 있었다. 그것은...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301_02
- 해방일보_1950_0707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유·엔총회, 최고인민회의 모쓰크바3상회의, 조쏘협정, 강화조약, 조미수호통상조약, 을사보호조약, 한미경제협정 1950년 7월 7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쏘련사회주의공화국동맹 간의 경제적 및 문화적 협조에 관한 결정의 비준서가 교환된 때로부터 1주년이 되는...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707_03
기타자료(1)
- 47-2. 별첨 2―대한제국 내의 외국인 조계(租界)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자수호조약, 조일무역규칙, 조계, 조미수호통상조약, 제물포조약, 조청 상민수륙뮤역장정, 조청교역장정, 조영수호통상조약, 조독수호통상조약, 조러수호통상조약, 조러육로통상조약, 한강선적규칙 프랑스어 2_CFD47-2.pdf (탈초)2_CFD47-2.pdf ...집필자미상(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로 추정) | 작성연도미상 | 작성월일미상 | 발신자미상(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로 추정) | 수신자미상(루비에,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 으로 추정)
연구과제(1)
-
한국 근대 국제법 전문용어 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유바다 | 고려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9)
-
조미수호통상조약 / 朝美修好通商條約 [정치·법제/외교]
1882년 5월 조선과 미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 예비교섭은 1881년 10월부터 시작되었다. 김윤식은 1882년 봄에 조선에서 조미 양국의 전권대신이 협상 및 조약 조인을 희망한다는 뜻을 이홍장에게 전달하였다. 이홍장과 슈펠트는 1882년 3월 1일(양력 4월 18일
-
송근수 / 宋近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8∼1903). 1882년(고종 19) 조미수호통상조약체결교섭에 반대하여 사직소를 올렸고 기독교의 폐해를 지적하였다. 대사헌·병조판서·좌의정 등 요직을 두루 지냈다. 저서로《송자대전수차》가 있다
-
미국 전권대신 薛裴爾 조회문 / [정치·법제]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한 슈펠트(Robert W. Shufeldt)이다.
-
조선 파견 미국 흠차대신 福德 신임장 / [정치·법제]
미국 대통령 아서(Chester A. Arthur)가 1883년(고종 20) 2월 1일자로 푸트(Foote)를 주조선 미국2등 흠차대신으로 삼아 조미수호통상조약 비준에 따른 조미우호관계 사업을 담당하게 하겠다는 내용으로 고종에게 보내온 신임장 한역본. 규장각에 관련문
-
무역규칙 / 貿易規則 [역사/근대사]
1882년에 조인된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 관세부과를 규정함으로써 일본에 대해서 관세를 부과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