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문명” 에 대한 검색결과 1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7)

사전(4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75) (1680-1732) 의 영정. 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80(숙종 6)에 나서 1732(영조 8)에 죽었다.
    이칭별칭 숙장(叔章)| 학암(鶴巖)| 문충(文忠)
  • 효순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5(숙종 41)∼1751(영조 27). 조선 진종(眞宗: 追尊王孝章世子)의 비(妃). [내용] 아버지는 풍양조씨(豊壤趙氏)로 좌의정 문명(文命)이다. 1727년(영조 3) 세자빈에 간택되어 효장세자(孝章世子)와 가례(嘉禮)를 올리고,...
    이칭별칭 효순(孝純)
  • 박필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州判官)을 지내고, 남원부사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부임하지 않았다. 1724년 평소부터 그의 치적을 들은 이조의 전랑인 ()이 천거해, 선산부사가 되었다. 1728년 선산부사로 있을 때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우방장(右防將)으...
    이칭별칭 경운(景運)| 양정(襄靖)|금릉군(錦陵君)
  • 강필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강변에 있던 경창(京倉)을 성안으로 옮길 것을 상소하는 등 여러 수비책을 제시하였다. 난이 평정된 뒤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그때 상신(相臣)이던 ()ㆍ송인명(宋寅明) 등이 탕평책을 주장할 때 이에 맞서 반대하였기 때문에 관운이 순탄하지...
    이칭별칭 사경(思卿)| 모헌(慕軒)
  • 기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잊지 않고 보내준 선물. 記惠六種 仰佩盛眷 珍感不知爲喩 餘希.侯 一向康重 不宣, (), 39-13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12)

  • 冬,及齊平。子服景伯如齊,子貢爲介,見公孫成曰:“人皆臣人,而有背人之心,況齊人雖爲子役,其有不貳乎?子,周公之孫也,多饗大利,猶思不義。利不可得,而喪宗國,將焉用之?” 成曰:“善哉!吾不。”【哀十五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曰:“善哉!吾不。”【哀十五年】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0440_050_0420_2014_009_X...
    권차명論語古今注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47466 B047466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7年 2月 6日_018 ○又下敎曰, 前良娣父, 令該, 大靜縣充軍倍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140 B016140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8年 8月 10日_034 。 上入仁政殿, 御寶座。 諸臣以次入侍, 引儀朝服趨入。 樂止。 引儀讀箋又曰, 左議政等云云, 引儀讀訖出。 樂作。 趙明翼跪告上前曰, 傳敎遂出。 兩人捧函而出。 樂止。 校理趙明澤,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516 B016516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8年 8月 10日_034 。 上入仁政殿, 御寶座。 諸臣以次入侍, 引儀朝服趨入。 樂止。 引儀讀箋又曰, 左議政等云云, 引儀讀訖出。 樂作。 趙明翼跪告上前曰, 傳敎遂出。 兩人捧函而出。 樂止。 校理趙明澤,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8237 B028237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年 5月 11日_010 ○以李匡輔爲正言, 趙漢緯爲司書, 申致謹爲副修撰, 朴成珩單付直講還付事承傳, 爲御營提調, 吳重周爲兼喬桐府使, 僉知朴東亨單付, 副司直趙遠命單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형 증손, 할아버지는 상정, 아버지는 인수이다. 어머니는 김만균의 딸이다. 17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학암집≫ 4책이 남아 있다.

  • 경의군 / 敬義君 [역사/조선시대사]

    1719(숙종 45)∼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추존왕. 영조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빈 이씨이고, 사도세자의 형이며, 비는 좌의정 의 딸 효순왕후이다. 1724년(영조 즉위년) 경의군에 봉하여지고, 이듬해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 나이 10세에

  • 조운익 / 趙雲翊 [종교·철학/유학]

    1765년(영조 41)~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 조부는 조재호이다. 부친 조관진과 모친 유성제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득일의 딸이다. 1802년(순조 2) 한림소시에 참여하여, 김시근‧서유순‧홍병철 등과 함께 선발되었고, 1804년(순조 4

  • 감란록 / 勘亂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송인명·박사수가 1728년 무신란(이인좌의 난)의 전말에 관한 자료를 발췌하여 1729년에 간행한 역사서. 6권 4책. 고활자본. 영조는 난이 평정된 뒤 정석삼(鄭錫三)·이광좌(李光佐)·() 등의 주장에 따라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에게 명하여

  • 분무공신 / 奮武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728년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 또는 그 훈호를 받은사람. 1등은 병조판서 오명항으로,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 2등은 박찬신·박문수·이삼··박필건·김중만·이만빈 등 7인으로 수충갈성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3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