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목” 에 대한 검색결과 2,3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36)

사전(1,00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24년(중종 19)∼1606년(선조3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개설] 경상북도 예안 출신. 본관은 횡성(橫城). 자는 사경(士敬), 호는 월천(月川). 아버지는 참판대춘(大春)이며, 어머니는 안동 권씨(安東權氏)로 ...
    이칭별칭 사경(士敬)| 월천(月川)
  • TD_J6_D_0076 왕조례 太廟, 輔臣, 二昭二穆, 五廟, 追王, 遷祭, 曾祖, 曾祖行, 遷戴, 次室, 高祖, 旁親, 三宗, 從祖, 遷毁, 神主 靖宗初 太廟 靖宗, 德宗, 徐訥, 黃周元, 穆宗, 顯宗, 太祖, 惠定光三宗, 戴, 劉徵弼,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1장 1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J6_S_0017 왕조례 逆祀, 宗廟之禮, 三昭三穆, 六廟, 夾室, 昭廟, 祔, 穆廟, 諸侯, 天子, 王者, 帝王, 士庶, 匹庶, 昭廟, 之廟, 定主, 別室, 祫享, 祫享議 鄭 閔, 僖, 僖, 臧武仲, 宗有司, 僖公, 朱子, 左氏, 厲...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6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김택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兼司書)를 역임하고, 전라도 광양ㆍ운봉에서 적을 무찌른 공으로 공적이 널리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1600년 전적(典籍)을 거쳐 강원도도사(江原道都事)ㆍ전라도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황의 문인 ()에게서 배웠는데 이황의 문하생들과도 교유...
    이칭별칭 시보(施普)| 와운자(臥雲子)
  • 향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이 책은 김홍득이 1746년 이 곳에 군수로 부임한 이듬해부터 제정해, 임기가 끝나는 1750년까지 시행한 자치 규약이다. 30여 조(條)의 향규(鄕規)를 제시한 향약과 그가 목민관으로서 주민들에게 별도로 당부한 8조의...

고서·고문서(990)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ES_00115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續編終 答安順菴問目_僿說禮論編 이익(李瀷, 1681~1763) DRAC_7:1:5:49 《左氏內、外傳》“逆祀”之說, 從少至老迄, 未得其要指, 推究之久, 亦有可通者. 天子三昭三穆有六廟, 廟必有俠...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향약(鄕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經史門9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經傳疑義, 推究之久, 亦必有可通者. 雖未必其信, 然其於愚心, 則定矣. 惟《左氏內、外傳》, “逆祀”之說, 從少至老, 迄未得其要旨. 雖不能明言洞辨, 亦期期知其不可也. 一日忽又思之, 此何等重祀, 而古今無人說破, 使宗廟之禮, 半上落下, 不因不革, 彌縫而苟且焉, 可乎...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論宗廟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bs_00050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六 祭禮_【附】王朝禮 論宗廟事 論宗廟事 이익(李瀷, 1681~1763) 論宗廟事 DRAC_6:1:5:1 堯傳於舜, 舜傳於禹, 官天下之事, 君臣而已矣; 禹傳於啓, 啓傳於相, 家天下之事, 父子而...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4)

  • 하(曲下)에 방설낭자(訪薛娘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준비된 레퍼토리에 유식한 귀절로 제목을 붙이고 있었다. 정명(定命) 전에 죽은 최동자(崔童子)가 설낭자의 정명을 팔십까지 늘리고 살아 돌아와 부부가 되어 잘 산 이야기인데, 장인에게서 들은 것이라 했다. *
    조사일시1980-02-17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노형동 | 제보자양형회
  • 전남 여천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12:26 A면 1) 곡명미상(00:00): 독창. 가사(엄마 엄마 울어머니는/ 나를 물어 낳든가~) 2) 곡명미상(00:49): 독창. 가사(우리도리 조거네 우리도리 집이/~) 3) 곡명미상(02:34): 독창. 가사(가는길도 서사근게/ 동네 한동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수엽
  • 맞아요. (웃음) 여의도에 있는 그. 그래서 제가 학교 다닐 때 너무 시끄러웠어요. 그분들 그거 때문에. 사님, 그래서 저기 4년제 제가 영어 좀 배우고 싶었더라구요. 제가 영어 솔직히 중국에 있을 때는 많이 안 배웠어요. 그냥 학교 과정만 배웠기 때문에 또 저희는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류정애 [중국(한국계), 여, 1980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나중에 가니깐 아무것두 없구 빈집이야. Ÿ종?아주 오막살이집에 동산에 살았어. 동산에 집이 있어. [조사자 : 그럼 거기 오목 사람은 많고 먹을 건 없어서 어떻게 사셨어요?] 그서 같이 싣구 갔대니까 한 마차. [조사자 : 그러니까] 그거 먹었지. 그거 먹다 떨어
    조사지역경기 구리 | 조사일2014년 02월 12일

신문·잡지(225)

  • 유가론기(瑜伽論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유가론기(瑜伽論記) 瑜伽論記 유가론기 형태서지 瑜伽論記 瑜伽論記 [著者未詳] [日本] [日本] 筆寫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대표표제어유가론기조목(瑜伽論記條目) | 대표서명瑜伽論記條目 | 한글서명유가론기조목 | 서지형태형태서지
  • 천태사교의집해표지초(天台四敎儀集解標指鈔)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천태사교의집해표지초(天台四敎儀集解標指鈔) 天台四敎儀集解標指鈔 천태사교의집해표지초 형태서지 京都 伊藤次郎兵衞 1680年(延寶 8) 2冊 28×19...
    대표표제어천태사교의집해표지초조목(天台四敎儀集解標指鈔條目) | 대표서명天台四敎儀集解標指鈔條目 | 한글서명천태사교의집해표지초조목 | 서지형태형태서지
  • 13. 대통령의 십사과 우리 독립의 관계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3) 약소민족 독립문제 13. 대통령의 십사과 우리 독립의 관계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18년 6월 3일 신한민보 『신한민보』. 『근대한국국제정치관 자료집 제2권 제국-식민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pp.60-63) 기...
    대표표제어13. 대통령의 십사조목과 우리 독립의 관계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신한민보 | 출처『신한민보』. 『근대한국국제정치관 자료집 제2권 제국-식민지』(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pp.60-63) | 키워드약소국의 독립, 국제연맹, 월슨의 십사조목, 약소국의 기회, 신한민보
  • 하단(邯鄲) 왕금당(王琴堂)의 「지방자치에 대해 별로 진술한 글」을 절록(節錄)하다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하단(邯鄲) 왕금당(王琴堂)의 「지방자치에 대해 별로 진술한 글」을 절록(節錄)하다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8호 節錄斯單王琴堂條陳地方自治書 1907. 07. 01. 문원 189 575~580 미상 ...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8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별보(別報)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별보(別報)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3호 別報 1907. 02. 01. 53 154~159 편집부 대한제국 흥학(興學)을 위한 방법과 에 대한 글 흥학(興學), 학제(學制), 학소(學所), 학원...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11)

  • 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5840 남한 경성 휘문의숙 1-48 회원명부 1942―02―15 21면 연;衍 제2회 191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의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성;信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2972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1 308면 2. 학생 및 생도 (1941년 6월 말일 현재);4) 의학부 학생;(1) 1938년 입학(64명) 신성;信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성;信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4435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73면 3. 졸업생 성명;3) 의학사;(16) 1941년 12월 졸업 신성;信成 (본적)함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Letter from John R. Hodge to Jean-Louis Paul-Boncour : 편지, 1948.03.24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있음.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TCOK)이 보낸 문서에는 한국 총선과 관련해 언급한 내용이 있는데 여기에 대해 주한미군사령부(USAFIK)의 입장을 밝히고 있음. 특히 군정이 현재 한국을 통치하고 있고, 한국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애쓰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음. ...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John R. Hodge Lieutenant General, U.S. Army Commanding | 수신자M. Jean-Louis Paul-Boncour Chairman, United Nations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
  • 우산국이 신라에 귀복(歸服)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포상하여 아슬라주의 장관으로 삼았다. (󰡔三國遺事󰡕 1 紀異 1 智哲老王) 【원문】 夏六月 于山國歸服 歲以土宜爲貢 于山國在溟州正東海島 或名鬱陵島 地方一百里 恃嶮不服 伊湌異斯夫爲何瑟羅州軍主 謂于山人愚悍 難以威來 可以計服 乃多偶師子 分載戰船 抵其國海岸 誑告曰 汝若...
    대표표제어우산국이 신라에 귀복(歸服)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12년(壬辰/신라 지증마립간 13/고구려 문자명왕 21/백제 무령왕 12/梁 天監 11/倭 繼體 6)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78)

  • / [종교·철학/유학]

    1524년(중종 19)∼1606년(선조3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대춘, 어머니는 권수익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52년(명종 7)생원시에 합격했으나 대과를 포기하고 학문과 수양에만 전념하였다. 그는 일찍이 이황의 문하생이 된 후 평생 동안 가장

  • 수 / [종교·철학/유학]

    1736년(영조 12)∼1807년(순조 7). 조선 후기 유학자. 시문집으로 문인 유심춘과 아들 조술지가 편찬하고 간행한 10권 5책의《구당선생문집》이 전한다. 문집은 시·가·서·사적·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오관 / 五款 [종교·철학/천도교]

    천도교의 교인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기본의무. 주문(呪文), 청수(淸水), 시일(侍日), 성미(誠米), 기도(祈禱) 등의 다섯 가지 수도(修道)이다.

  • 단자 / 單子 [정치·법제/법제·행정]

    타인에게 보낼 물품이나 어떠한 사실을 적어 받을 사람에게 올리는 문서. 대개는 매 을 별행으로 썼다. 단자의 명칭이 붙은 문서로는 단자·선원록세계단자·돈녕단자·공신자손세계단자·호구단자·천단자·포폄단자·진상단자·하직단자·사은단자·육행단자·문안단자 등이 있다

  • 이언언해 / 易言諺解 [언어/언어/문자]

    로만 되어 있고 언해자는 알 수 없다. 서(序)·자서(自序)·목록이 있고 이어서 본문이 시작된다. 권1에는 논공법(論公法)을 비롯하여 9개 이, 권2에는 논긔긔(論機器) 등의 9개 이, 권3에는 논변방(論邊防) 등의 7개 이, 권4에는 논민단(論民團)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