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리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
사전(4)
- 조리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제주도 지방에서 행해졌던 줄다리기. [내용] 『신증동국여지승람』과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에 그 기록이 전한다. 줄다리기를 조리희라고 쓴 것은 이두식 표기인 듯하다. 『동국세시기』의 기록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이칭별칭줄다리기
- 탐라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예양이 있으며, 방언을 이해하기 힘들다. 밭머리에 무덤을 쓰되 풍수나 점을 사용하지 않고, 음사(淫祠 : 부정한 귀신을 제사 지냄)를 받들며, 장수한 사람이 많다. 날씨가 항상 온난하며 산에 포악한 짐승이 없다. 또, 8월 15일은 남녀가 모여 조리희(照里戲 :...
- 추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일도 있다. 농촌의 소년들 사이에는 콩서리를 하는 일도 있다. 콩을 통째로 꺾어다 불을 피운 속에 넣어두었다가 익으면 꺼내어 먹는데 맛이 별미이다. 밭 콩보다는 논두렁 콩이 더 맛이 있어 초가을에 흔히 한다. 제주도에서는 조리희(照里戱)가 있...이칭별칭가배|가위
- 가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祈豊)행사이다. 이 밖에 전라남도 남해안 지방에서는 부녀자들의 강강술래놀이가 벌어지고, 경상북도 의성 지방에서는 가마싸움을 벌였으며 씨름을 하는 지역도 많다. 제주도에서는 부녀자들이 추석날 조리희(照里戱)라는 줄다리기형식의 놀이를 했다는 내용이 ≪동국세시기≫에...
고서·고문서(24)
- 3 第三統統首김聲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年庚戌一所生婢 春石乙年丙午等丁卯戶口相准 第二戶 寡李姓年伍拾柒甲戌本慶州父化俊祖千日曾祖碩辰外祖崔允旭本慶 州女年貳拾辛亥等丁卯戶口相准 第三戶 業武김致坤年肆拾柒甲申本김海父日得祖元守曾祖三先外祖李喜哲 本慶州妻權氏年肆拾陸乙酉本安東父支平祖仁錫曾祖雲峯外祖張萬喆 本仁同婢九月年丙辰等...연도_면이름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九和津里
- 1 第一統統首김大川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曾祖萬世外祖李熙 春本慶州女年拾陸甲午等丙午戶口相准 第五戶 牧子宋學祿年肆拾捌壬戌本鎭川父德裕祖元栽曾祖國龜外祖千益仲 本慶州妻鄭召史年肆拾貳戊辰本延日父日煥祖瑞命曾祖善外祖申達本咸 昌女年拾貳戊申等丙午戶口相准연도_면이름1849년_동면(東面) | 면이름동면(東面) | 마을이름第五牧場里
- 5 第五統統首千光運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祖學生張得俊本仁同妻宋氏年參拾貳戊寅本鎭川父學生德裕祖學生元載曾 祖學生國龜外祖學生千益仲本慶州女年捌壬寅婢春每年癸酉前逃亡婢甲心今 故等丙午戶口相准 第五戶 山行將鰥夫張春伊年伍拾庚申本仁同父應烈祖成翰曾祖高世外祖李熙春 本慶州女年拾壹己亥等丙午戶口相准연도_면이름1849년_동면(東面) | 면이름동면(東面) | 마을이름第五牧場里
- 15 第十五統統首김正文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91년_하부면(下府面) 1891년 하부면(下府面) 第十內隍里 15 第十五統統首김正文 第一戶沈軍김正文年肆拾貳庚戌本慶州父德奉祖后益曾祖用和外 祖李喜烈本完山率人女崔召史年肆拾壹辛亥本慶州等戊子 戶口相准 第二戶寡鄭召史年伍拾參己亥本東萊父三用祖七元曾祖己五...연도_면이름1891년_하부면(下府面) | 면이름하부면(下府面) | 마을이름第十內隍里
- 16 第十六統統首李太才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拾肆戊子本金海父士節祖奉伊曾祖成澄外祖李希男本月城率子時占年參拾伍丁巳率子岳只年貳拾伍丁 卯率女召史年陽金世元戶去率女召史年拾壹辛巳率女召史年伍丁亥戊子戶口准 第三戶 驛吏鰥夫姜老郞年參拾肆戊午本晋州父正兵仁春祖仁發曾祖貴尙外祖金堂長本金海率母金召史年柒拾參己卯率 女召史年拾壬午率女召史年伍丁亥戊...연도_면이름1771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四肝谷里
주제어사전(1)
-
조리희 / 照里戱 [생활/민속]
조선시대 제주도 지방에서 행해졌던 줄다리기. 『신증동국여지승람』과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에 그 기록이 전한다. 줄다리기를 조리희라고 쓴 것은 이두식 표기인 듯하다. 『동국세시기』의 기록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제주도 풍속에 매년 팔월 보름날 남녀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