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례기척”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32)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그 1척은 주척(周尺)으로는 1.126척, 영조척으로는 0.899척이다. 今二十六日改銘旌時所入大紅無紋大段上下軸內九尺泥金五錢蠄頭一貼金豆錫小圓環菊花同玉軸大紅索眞絲大每緝眞墨上下軸所結紅絲帶, (빈전1674/196ㄱ02~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조정에서 지정하던 관척(官尺). [내용] 예기(禮器)와 제물(祭物)을 법규에 맞게 만들기 위한 기준으로 태종 때 허조(許稠)에 의하여 제청되어 사용되어왔다. 『경국대전』 공전 도량형에는 1척의 길이가 0.823황...
  • 영조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않고 지켜져 와서 다른 척도 체계의 고증에도 중요한 참고가 된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영조척 1척이 황종척(黃鐘尺)으로 0.899척에 해당된다고 하였으며, 『증보문헌비고』에는 1영조척이 0.899황종척, 1.499주척(周尺), 1.09(), 1...
    이칭별칭목공척(木工尺)
  • 예기척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각종 예기(禮器)를 제작하는 데 사용하는 자. ()이라고도한다. 山陵欑宮褥次慈旨樻內外袱玄薰有辛卯納采時兩色匹段依禮器尺度裁斷用之勿爲新織, (빈전1683/019ㄱ01~03)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TD_F2_S_0001 尺 도량형 周尺, 黃鍾尺, 營造尺, , 布帛尺 年號, 月日 我邦, 京中, 水標橋, 三陟府, 各邑, 名山 英廟, 陳理, 明昇, 柳磻溪 大典 S_04_01_67 성호사설 4권 1장 67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4권 1장 6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4)

  • 萬物門1_尺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尺 《大典》曰: “以周尺準黃鍾尺, 則周尺長六分六釐; 以營造尺準黃鍾尺, 則長八寸九分九釐; 以準黃鍾尺, 則長八寸二分三釐; 以布帛尺準黃鍾尺, 則長一尺三寸四分八釐.” 周尺便是黃鍾, 貳之者, 何也? 所謂者, 又不知何從而起也. 準於布帛尺, 則周尺不過四寸有奇也. 世...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5626 B00562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0年 5月 20日_009 修, 魂宮都監堂上徐有隣, 郞廳洪元燮, 以次進伏訖。 上命墓所都監堂上入侍。 賤臣承命出, 與朴明源偕入進伏。 上謂有隣曰, 祭器及?爵製樣, 何以爲之耶? 有隣曰, 依數爲之矣。 上曰, 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人事篇八]器用門_尺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ㆍ성균관대본(나)ㆍ성호기념관본ㆍ연세대본(나)에는 ‘釐’로 되어 있다.; 以布帛尺準黃鍾尺, 則長一尺三寸四分八里 里: 규장각본ㆍ미의회도서관본ㆍ성균관대본(나)ㆍ성호기념관본ㆍ연세대본(나)에는 ‘釐’로 되어 있다..” 周尺便是黃鍾, 貳之者, 何也? 所謂“”者, 又不知何從...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棺飾 四 【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曰:“翣,以木爲筐,如扇而方,兩角高,【廣二尺高二尺四寸,衣以白布,柄長五尺】 黼翣畫黼,【卽斧文】 黻翣畫黻,【卽亞文】 畫翣畫雲氣,其緣皆爲雲氣,皆畫以紫,【深赤色】 準格。” 【丘氏云:“準格者,依宋制也。宋有紹興格等令式。”】 ○沙溪曰:“翣用,則高出棺上,當用周尺。” ○鏞案 《家...
    권차명喪禮四箋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2)

  • / [과학기술/과학기술]

    왕실의 제사용 그릇을 만들 때 쓰던자. 태종때에 예기를 규격에 맞게 제조하기 위하여 이 자를 만들어 쓰기 시작하였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예기척 1척의 크기는 황종척으로 8촌 2분 3리이다. 황종척은 악기에 쓰는자로 그 1척은 주척으로는 1.126척, 영조척으로는

  • 영조척 / 營造尺 [과학기술/과학기술]

    종척, 1.499주척(周尺), 1.09(), 1.15종서척(縱黍尺) 또는 1.18횡서척(橫黍尺)에 해당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