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러수호통상조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7)
- 조러수호통상조약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고, 이후 러시아 군함을 타고 서울로 출발하였다. 1884년 윤5월 15일(러시아 6월 25일, 양력 7월 7일) 조선 전권공사 외무독판(外務督辦)인 김병시(金炳始)와 러시아 전권공사 5등관인 베베르 사이에 조러수호통상조약(朝露修好通商條約)이 체결되었다. 여기에는...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위패(韋貝)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아관파천(俄館播遷), 조러수호통상조약(朝露修好通商條約), 조러육로통상장정(朝露陸路通商章程) 정치외교/외교사안 인물 러시아/중국/대한민국 청/조선 청/조선 한승훈 남자 1841년 7월 5일 1910년 1월 8일 러시아 리바...동의어까를 이바노비치 베베르(Karl Ivanovich Weber, Карл Иванович Вебер), 칼 프리드리히 테오도르 폰 베베르(Karl Friedrich Treodor von Weber) | 관련어명성황후(明成皇后), 아관파천(俄館播遷), 조러수호통상조약(朝露修好通商條約), 조러육로통상장정(朝露陸路通商章程)
- 마주영(馬丟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마주영 마주영 馬丟寧 니콜라이 마튜닌(Н.Г. Мтюнин, Nikolai G. Matiunine) 김홍륙(金鴻陸), 독차사건(毒茶事件), 압록강삼림채벌권(鴨綠江森林採伐權), 조러수호통상조약(朝露修好通商條約) 정치외교/외교사안관련어김홍륙(金鴻陸), 독차사건(毒茶事件), 압록강삼림채벌권(鴨綠江森林採伐權), 조러수호통상조약(朝露修好通商條約)
- 묄렌도르프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하지만 청불전쟁이 발발하면서 조선에 대한 일본의 세력이 강성해지는 상황에서 조선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서는 러시아를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1884년 국교수립을 위해 천진 주재 러시아 공사 베베르가 조선에 들어오자 조러수호통상조약(朝露修好通商條約) 체결에 적...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통상조약(通商條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약은 조미수호통상조약(1882년)·조독수호통상조약(1882년)·조러수호통상조약(1884년)·조불수호통상조약(1886년) 등이 있었다. 정해식 편, 『구한말조약휘찬』, 국회도서관입법조사국, 1964. 최덕수 외, 『조약으로 본 한국 근대사』, 열린책들...상위어조약(條約) | 동의어통상항해조약(通商航海條約) | 관련어조러통상조약(朝露通商條約), 조오수호통상조약(朝墺修好通商條約), 조이수호통상조약(朝伊修好通商條約), 한청통상조약(韓淸通商條約)
고서·고문서(3)
- 조러수호통상조약 체결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러수호통상조약 체결에 관한 건 조선과 러시아 사이의 통상 조약 Handelsvertrag zwischen Rußland und Korea. Ben...대표표제어조러수호통상조약 체결에 관한 건 | 발신자Ben Büler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를린
- 거문도 위치 및 거문도 점령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르크 베를린 No.241 A.6192 보고 거문도의 위치를 확인하라는 훈령 접수. 거문도 소개. 기르스는 러청불화, 영청협조의 결과로 초래될 위험을 인식하고 대응책을 마련. 조러수호통상조약 체결. 육로조약을 준비중. 해군참모총장과 협조. 그러나...대표표제어거문도 위치 및 거문도 점령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 보고 | 발신자슈바이니츠 | 수신자비스마르크 | 발신지상트페테르부르크 | 수신지베를린
- 조독수호통상조약과 타 체약국의 수호통상조약 내 거중조정 조항에 대한 독일 외무부의 메모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다고 함. 거중조정, 중재 조독수호통상조약,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영수호통상조약, 조이수호통상조약, 조일수호조규, 조러수호통상조약대표표제어조독수호통상조약과 타 체약국의 수호통상조약 내 거중조정 조항에 대한 독일 외무부의 메모 | 발신자베를린외무부 | 수신자베를린외무부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베를린
기초학문(1)
-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조선정책과 조러수호통상조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민경현, 게재일 : 200850157 민경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08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조선정책과 조러수호통상조약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8
기타자료(1)
- 47-2. 별첨 2―대한제국 내의 외국인 조계(租界)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자수호조약, 조일무역규칙, 조계, 조미수호통상조약, 제물포조약, 조청 상민수륙뮤역장정, 조청교역장정, 조영수호통상조약, 조독수호통상조약, 조러수호통상조약, 조러육로통상조약, 한강선적규칙 프랑스어 2_CFD47-2.pdf (탈초)2_CFD47-2.pdf ...집필자미상(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로 추정) | 작성연도미상 | 작성월일미상 | 발신자미상(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로 추정) | 수신자미상(루비에,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 으로 추정)
주제어사전(2)
-
조러수호통상조약 / 朝露修好通商條約 [정치·법제/외교]
1884년 조선과 러시아 사이에 체결된 조약. 1884년 윤 5월 15일(러시아 6월 25일, 양력 7월 7일) 조선 전권공사 외무독판인 김병시와 러시아 전권공사 5등관인 베베르 사이에 조러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다. 여기에는 전문 13조의 조러수호통상조약, 부속통상장
-
베베르 / К. И. Вебер [정치·법제/외교]
1841-1910. 조선 주재 러시아 공사. 1866년 러시아 외무부 소속으로 북경에서 업무를 시작하였다. 1884년 베베르는 조러수호통상조약을 직접 체결하였다. 이를 계기로 조선과 인연을 맺은 베베르는 초대 조선 주재 러시아공사에 임명되어 1885년부터 1897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