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덕린” 에 대한 검색결과 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1)

사전(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58(효종 9)∼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택인(宅仁), 호는 옥천(玉川). 아버지는 충의위(忠義衛) 군(頵)이다. [내용] 1678년(숙종 4) 사마시에 ...
    이칭별칭 택인(宅仁)| 옥천(玉川)
  • 심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弔祭 : 상례를 치르고 제사함)를 주관하던 중 규례를 그르쳐 파직되었다. 1787년 가례도감제조ㆍ도승지를 거쳐 1788년 예조판서가 되었다. 이 때 서원남설의 폐단을 지적하다 유배된 ()ㆍ황익재(黃翼再) 등을 용서하는 데 반대하다 뜻이 관철되지 않자...
    이칭별칭 사상(士常)| 기기재(??齋)| 정정(貞定)
  • 주곡동옥천종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에 있는 조선 후기의 주택. [내용]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42호. 한양조씨 옥천(玉川) ()의 고택으로 1600년대 중엽에 창건된 집으로 추정하며 사당은 1...
    연계항목주곡동옥천종택(注谷洞玉川宗宅)
  • TD_I9_O_0011 格言 언어 淺近, 易行, 高遠, 難行, 座右, 銘心, 言行, 處心, 作事, 素其位, 妄想, 妄言, 妄動, 妄人, 順理, 天分, 知己, 深交, 擧止, 自警 趙東谿, 龜命, 張文饒, 邵子, 凌登名, 子思子, 壁疏, 古人心相...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5권 3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9_O_0048 俗語古書相符 언어 鄙諺, 古書, 俗語, 俚俗恒談, 俗諺 宋 , 顧炎武 侯鯖錄, 古語, 書, 鶴林玉露, 夏歸藏 O_23_03_14 오주연문장전산고 23권 3장 14절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3권 3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49)

  • 1701년 옥천(玉川)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727년 옥천(玉川)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추안급국안 : ()‧최하징(崔夏徵)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334 014 乙巳 推案及鞫案 ()‧최하징(崔夏徵) 등 신문기록 ○ 10월 20일 사간 상소문 乙巳十月日司諫上疏 伏以臣於前月二十三日伏奉承政院成貼旨以臣等司諫 院司諫令臣斯速乘馹上來者臣承命震越不知所以伏命 臣至愚極陋無寸長可錄而前後五朔之間三叨...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4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62766 B062766 도배 島配 도서 일반 英祖實錄 十二年(1736) 九月 영조실록_11209020_002 ○諫院【獻納李光運。】 申前啓, 又啓: “啓, 關係重大, 而李宗延初不通議可否, 汲汲擅停, 略無畏忌, 護私黨蔑公議, 請罷職不敍。” 又啓請依前島配, 竝...
    출처전거英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2764 B062764 도배 島配 도서 일반 英祖實錄 十二年(1736) 九月 영조실록_11209019_001 ○庚戌 / 上行晝講。 掌令宋守謙申前啓, 不允。 正言李宗延申前啓, 不允。 島配事停。
    출처전거英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군이다. 1691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설서·교리·사간, 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옥천문집』18권이 있다.

  • 조술도 / 趙述道 [종교·철학/유학]

    1729년(영조 5)∼1803년(순조 3).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조군, 조부는 이다. 부친 조희당의 5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으로 조준도·조운도·조근도·조진도가 있다. 부인은 김주우의 딸이다. 이상정과 김낙행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운교문답》,

  • 한필수 / 韓必壽 [종교·철학/유학]

    1696년(숙종 22)∼1751년(영조 27). 조선 후기 유학자. 한철충 후손, 증조는 한극창이다.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충효를 중시하는 가문의 전통을 계승하여,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성품이 온화하였다. 유고로는《인묵재유고》가 있다.

  • 근시재문집 / 近始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김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708년(숙종 34) 그의 증손 석윤(錫胤)이 편집하고, 1783년(정조 7)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정범조(丁範祖)·이보(李簠)의 발문이 있다

  • 권구 / 權渠 [종교·철학/유학]

    1672년(현종 13)∼1749년(영조 25).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군수 권단. 부친 선교랑 권징과 모친 졸재 유원지의 딸 풍산유씨의 1남 6녀 가운데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이의의 딸 재령이씨이다. 갈암 이현일 문하에서 수학, 권두경·이재·권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