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0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952)
사전(1,439)
- 조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조정의 소식. 朝奇別無可聞 來問疏論 春臺考官 望猥雜請 監科試官別擇 亞銓疏請 堂上下違牌 罷散人變通 堂上六人 堂下八九人 有敍命云矣, 조태억(趙泰億), 44-16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95(태조 4). 고려 말 조선 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배천(白川). 문하시중 배천후(門下侍中白川侯) 진(珍)의 4세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시중 상서좌복야국자좨주(檢校侍中尙書左僕射國子祭酒) 선(瑄)이며, 아버지는 판삼사사 문...이칭별칭 충의(忠毅)|은천군(銀川君)
- 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민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 [생태] 참조기‧보구치‧수조기‧부세‧흑조기 등이 이에 속한다. 참조기는 몸이 길고 옆으로 납작[側扁]하며, 꼬리자루가 가늘고 길다. 등지느러미 연조부와 뒷지느러미에 거의 연변(緣邊)까지 비늘이 있다. ...
- 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사복시(司僕寺)의 종7품 잡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여마(輿馬 : 임금이 타는 수레와 말)‧구목(廐牧 : 소‧말을 사육함.) 및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는 사복시가『경국대전』에 법제화되면서, 잡직으로 안기(安驥)‧이마(理馬...
- 祖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D3_O_0037 祖氣 도교 道家 東方 道訣注 O_13_01_02 오주연문장전산고 13권 1장 2절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3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2)
- 말레이시아: 이민전략을 통해 본 한인 사회 형성과 그 미래 [동남아시아의 한인과 한인사회: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 한국동남아연구소]저자 : 홍석준 ... | 출판사 : 도서출판 눌민 | 출판일 : 20220531이 책은 은퇴이민, 조기유학, 부동산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는 말레이시아의 이민정책과 교육정책, 그리고 이러한 정책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한인 사회를 분석한다. 말레이시아가 한국인들의 새로운 조기유학 대상지로 부상하게 된 주요 원인과 은퇴이민을 위한 M...
- 4. 한국말레이시아 문화교류: 교육교류를 중심으로(한글본) [아시아 각국과 한국의 문명교류사 연구 및 출판 | 성균관대학교]저자 : 홍석준, 리우친통... | 출판사 : 이매진 출판사 | 출판일 : 2013.04.19분야국제 | 유형단행본한류와 말레이시아에서 한류의 영향 2.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문화 이미지 5장 이민과 조기유학 1. 말레이시아의 이민정책 2. 한국인들의 말레이시아 조기유학 3.
논문(1)
- 中韩早期现实主义文学理论的起源及关联 ——兼论中国早期现实主义理论对韩国的影响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金一(延邊大學) | 게재정보 : 연변대학학보 , 게재일 : 2012.10중한 초기 현실주의 문화이론의 기원 및 관련 (김일) 본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현실주의문화이론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한국의 초기 현실주의문학이론은 서방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론의 발전과정에서 각각 러시아와 일본의 현실주의문학이론의 영향을 받았음을 ...유형논문
고서·고문서(4,835)
- 朝起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917 창가 風琴獨習 中等唱歌集 22049 1929년 9월 25일 李尙俊 京城 三誠社 李尙俊 金鎭浩 金壹圓五十錢 朝起 〈a〉李尙俊〈/a〉 〈co〉李尙俊〈/co〉 〈#56〉 [ 一, ] 일어나게 일어나게 은긔운(氣運) 아츰날...구분창가 | 편저자李尙俊
- 朝起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6068 창가 최신중등창가집 부악리 22058 1922 李尙俊 博文書館 李尙俊 沈禹澤 一圓二十五錢 朝起 〈mn〉오선보 숫자보 있음〈/mn〉 〈a〉李尙俊〈/a〉 〈co〉李尙俊〈/co〉 〈#72〉 [ 一 ] 일어나게 일어나게 맑은...구분창가 | 편저자李尙俊
- 朝起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473 창가 최신창가집 부악전 22028 朝起 〈mn〉오선악보 있음. 악보 안에 1절 가사가 적혀있다.〈/mn〉 〈#140〉 [ 一、 ] 일어나오 일어나오 맑은 긔운 아참「in날」에 새 소래가 먼저 나오 일어나오 일어나오 아참잠을 일즉 면 일...구분창가
- 朝起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490 창가 風琴獨習 中等唱歌集 22165 1913 李覺鍾 光東書局 南宮濬 申永求 定價 金四十錢 朝起 〈#39〉 [ (一) ] 일어나오[起] 일어나오[起] 은[淸] 긔운(氣運) 아츰날[朝日]에 소[鳥聲]가 먼저[先] 나...구분창가 | 편저자李覺鍾
- 先朝紀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60 詩集 卷六 ITKC_MP_0597A_0060_020_0890 先朝紀事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六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61)
- 조기 세는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과거 법성포의 조기잡이와 관련된 면담을 진행했다. 법성포는 조기잡이 어업을 하는 사람보다 조기를 사서 되파는 상고선이 많았다고 한다. 이때 조기를 어판장에 내려놓으면 노인들이 조기를 세면서 소리를 했다고 한다. 제보자의 말을 듣고 그때 들었던 소리를 들려달라고 하...조사일시2009. 3. 7(토) | 조사장소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진내리 564번지 옹성마을당산제보존회관 | 제보자전금연
- 조기장수의 재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이야기는 어희적인 재담쪽으로 전개되었다. 곽성용씨가 계속 들려 둔 것이다. *조사일시1981-07-17 | 조사장소충청남도 아산군 음봉면 | 제보자곽성용
- 조기배 그물 당기는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7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둔덕면 | 제보자장종천
- 조기잡이 그물질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재형씨의 ‘울음재의 유래’에 이어 한 노래다. 제보자와 처음 만나던 날(8월 7일)에도 이 노래를 해 봤으나,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여서 끝을 맺지 못 했다. 집에서 정리한 뒤 다시 부른 것이다. 원래는 앞소리를 메기면 여럿이 뒷소리를 받는 식으로 불렀으나...조사일시1979-08-08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둔덕면 | 제보자장종천
- 우리집 서방님 조기잡이 갔는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민요 33과 같은 장소에서 읊은 노래다. 제보자가 가사만 불러 주겠다기에 원래 곡조를 붙여 부르는 노래인데도, 말하는 것을 녹음하였다. 금슬이 좋은 아내는 노래(Ⅰ)을 부르고 금슬이 나쁜 아내는 마지막 말을 바꾸어 노래(Ⅱ)를 부른다고 한다.*조사일시1979-08-0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하청면 | 제보자임봉진
기초학문(238)
- 조기교육과 어머니 역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혜선, 게재일 : 200308209 조혜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여성학회 2003 조기교육과 어머니 역할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8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조기의 어법과 민속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고광민, 게재일 : 200725789 고광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07 조기의 어법과 민속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조선왕실의 조기교육(早期敎育)기관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육수화, 게재일 : 200741498 육수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사학회 2007 조선왕실의 조기교육(早期敎育)기관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조기 문식성 검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애화, 게재일 : 201141048 김애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조기 문식성 검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1
- 근대일본 노사협조기관의 성립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식, 게재일 : 201249611 김종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현대일본학회 2012 근대일본 노사협조기관의 성립과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672)
- 織組起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년에 모모졔씨가 일인 경뎐씨와 발긔야 샤직동에 염직회샤 셜치은 다 아바어니와 경뎐씨가 열심으로 기간에비단 긔계와 직공은 쥰비야 작일부터 비단을 직죠 그 직죠법이 심히 민활다야 관광쟈 만타더라게재일1906년 10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打租器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상공부에셔 농를 량하야 각군에 훈령한말은 이왕긔 하엿거니와 농부에셔 타작하 긔계를 일본에 쳥구하야 타죠를 시험하데 한국에 타죠하 방법에 비하면 우지완하다더라게재일1902년 8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篠崎傅美(篠崎傅美)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篠崎傅美(篠崎傅美) 서울 篠崎傅美 篠崎傅美 漢江通 7-1 약품_의료기 - 매약(賣藥) 소매 24.8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대표표제어篠崎傅美(篠崎傅美) | 지역서울 | 품목약품_의료기 | 영업종목매약(賣藥)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篠崎半助(篠崎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篠崎半助(篠崎商店) 서울 篠崎半助 篠崎商店 本町 1-51-12 종이_문고_도서 - 문방구 도소매 791.01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篠崎半助(篠崎商店) | 지역서울 | 품목종이_문고_도서 | 영업종목문방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統監歸朝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등통감이 귀국다 려항풍설도 잇거니와 동씨 일본국회에 참여기위야 귀국터인데 금일은 일본 텬쟝졀인고로 여긔셔 일반관요와 경츅을 고 곳 발졍면 일본셔 동삼삭을 지고 명년 이삼월이나 다시 도한다데 기간에 통감대판은 쟝곡쳔 령관이 겸기로 예뎡얏다더...게재일1906년 11월 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13)
- 깊이있게다룬다. 이수업을 통해 한국의 음식문화뿐 아니라, 음식을 둘러싼 한국인의 일상과 그변화에대한이해가가능할것이다. 1주차. 한국인의 쌀, 쌀의 한국인1 2주차. 한국인의 쌀, 쌀의 한국인2 3주차. 조상을 위한 물고기, 조기 4주차. 조기를 쫓아 다닌 사람들,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깊이있게다룬다. 이수업을 통해 한국의 음식문화뿐 아니라, 음식을 둘러싼 한국인의 일상과 그변화에대한이해가가능할것이다. 1주차. 한국인의 쌀, 쌀의 한국인1 2주차. 한국인의 쌀, 쌀의 한국인2 3주차. 조상을 위한 물고기, 조기 4주차. 조기를 쫓아 다닌 사람들,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깊이있게다룬다. 이수업을 통해 한국의 음식문화뿐 아니라, 음식을 둘러싼 한국인의 일상과 그변화에대한이해가가능할것이다. 1주차. 한국인의 쌀, 쌀의 한국인1 2주차. 한국인의 쌀, 쌀의 한국인2 3주차. 조상을 위한 물고기, 조기 4주차. 조기를 쫓아 다닌 사람들,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조선전기 조기[石首魚]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시계열 통합 신증/세종/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076_조선전기_조기[石首魚] 경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황조기[黃石秀魚]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923_18세기_중반_황조기[黃石秀魚] 경제_192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591)
- 조기남;趙奇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412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5면 (2) 졸업생일람 조기남;趙奇男 東京市 芝公園共立女子藥學專門學校 고보15회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기동;曺基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1314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71면 조기동;曺基東 전남 장성군 북이면 백암리 본과 제11회 193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기일;曺基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1429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76면 조기일;曺基一 전남 장성군 북이면 백암리 본과 제12회 193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기붕;趙基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6836 북한 황해 해주고등보통학교 교우회잡지 제1호, 1926―09 170면 1. 회원명부;2) 5년 西 조기붕;趙基鵬학교소재지역황해 | 학교명해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기현;趙基賢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9260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43면 조기현;趙基賢 본과 제2회 192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김종욱 | 동국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
몽골의 차세대 한국학 교육, 연구, 협력 강화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강선화 | International University Of Ulaanbaatar | 2022 | 국외 | 해외
-
혁신적인 교육, 연구, 독일 지역내 협력을 통한 한국학의 역량강화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Yonson Ahn | Johann Wolfgang Goethe University | 2021 | 국외 | 해외
-
프랑크푸르트 한국학의 글로칼화를 통한 한국학 교육역량 강화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Yonson Ahn | Johann Wolfgang Goethe University | 2018 | 국외 | 해외
-
미국문화의 수용과 한국매체의 발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윤상길 | 신한대학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10)
-
조기 / 調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복시의 종7품 잡직. 정원은 1인이다. 여마(輿馬)·구목(廐牧) 및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는 사복시가 ≪경국대전≫에 법제화되면서, 잡직으로 안기(安驥)·이마(理馬)·마의(馬醫) 등과 함께 제도화되었다.
-
국조기략 / 國朝記略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태조부터 광해군까지의 사실(事實)과 인물에 대하여 수록한 전기. 5권 5책. 필사본. 선조대의 사실이 내용의 대부분이며, 첫머리에 목조(穆祖)에서 환조(桓祖)까지의 선계(璿系)가 덧붙어 있다. 편자와 편년은 미상이나, 내용으로 보아 영조 초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
조기원 / 趙基遠 [종교·철학/유학]
1574년(선조 7)∼1652년(효종 3). 조선 중기 유생‧의병. 고조는 조윤령, 증조는 조희, 조부는 조광헌이다. 부친 조정과 모친 김극일의 딸사이에서 5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 조영원‧조홍원‧조형원‧조흥원이 있다. 동몽교관, 사헌부감찰, 황간현감 등을
-
태극구조기본춤 / 太極構造基本춤 [예술·체육/무용]
한국무용가 임학선이 제시한 춤 방법론. 임학선이 무용 창작을 위해 고안한 기본 춤 방법론인 태극구조기본춤은 한성준류에 대한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 「명우 한성준의 춤 구조 연구」(1992)를 확대, 발전시킨 개념이자 원리로, 1998년 「태극구조의 기본춤」이라는 작품으
-
해동야언 / 海東野言 [언론·출판]
저자 허봉(1551-1588). 필사본. 5권 2책. 각 책의 표제는 '해동야언 건', '해동야언 곤'이라고 쓰여 있다. 각각 66면 33장, 132면 6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동야언>은 본래 태조기부터 명종기까지의 기사를 수록하고 있는데 본 연민본은 태조기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