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긍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
사전(68)
- 조긍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73년(고종 10)∼1933년. 조선 말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중근(仲謹), 호는 심재(深齋). 아버지는 병의(柄義)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조긍섭은 11세 때에 『근사록(近思錄)...이칭별칭 중근(仲謹)| 심재(深齋)
- 박장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소년시절 고향의 보성학원(普成學院)에서 신학문을 배웠고, 18세 때부터는 조긍섭(曺兢燮)의 문하에서 도학(道學)에 정진하였다. 청년시절 송준필(宋浚弼)‧하겸진(河謙鎭) 등 당시의 명망 있는 유학자들을 방문했으며, 시흥(始興)의 녹동서원(鹿洞書院)에서 열린 학술 강습회에...이칭별칭 문경(文卿)| 중산(中山)
- 오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서한을 보내는 일을 추진하는 등, 독립운동에 적극적 관심을 보였으나, 스승의 허락을 받지 못해 실행하지는 못하였다. 이후 그는 「기분(記憤)」을 지어 3‧1운동을 탄압한 일제의 잔인함에 대하여 울분을 터뜨렸다. 또한 조긍섭(曺兢燮)의 「복변(服辨)」에서 망국...이칭별칭 이견(而見)| 석농(石農)
- 편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편찬(編纂). 至於編摩之役 區區豈敢自外 而此間事勢 委實難動, 조긍섭(曺兢燮), 44-7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위실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정말, 확실하게. 至於編摩之役 區區豈敢自外 而此間事勢委實難動, 조긍섭(曺兢燮), 44-7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8)
- 심제선생문집(深齊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864년 조상래(趙相來)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퇴보하고 세속의 바쁜 일에 얽매여 더욱 가련한 신세라고 했다. 선백(先伯)이 남긴 문집을 조긍섭(曺兢燮)이 대략 교정하였다하고, 상대방을 찾아가 질정을 할 수 없는 것이 안타깝다고 했으며, 마침 손자가 외가댁에 가게 되어 이에 대신 문후(問候)하게 하면서 몇 자 붙인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899년 정의림(鄭義林) 서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한 번 가보겠다는 기약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어서 자신은 이웃고을의 아이들이 가득히 공부하러 와서 몸이 얽매여 있으며, 순견 안국정이 죽은 후에는 쓸쓸하다는 것과 황철원이 금년에 또 왔는데, 그 행위가 독실하여 영남의 조긍섭과 더불어 일대의 아름다운 선비라...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최병심(崔秉心)의 『금재선생문집(欽齋先生文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박한 것이다. 「고팔역사우」는 〈연도〉1919년〈/연도〉 〈인명〉고종〈/인명〉이 죽었을 때 멸망한 국가의 임금에게 복제가 있을 수 없다는 〈인명〉조긍섭〈/인명〉이 주장하자 이에 대해 반박한 글이다. 〈연도〉1961년〈/연도〉 손자 〈인명〉최규만〈명〉과 그의 문인들이 편...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 고금당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하기도 하였다는 내용이다. 曺兢燮이 1908년에 쓴 글로 그의 문집인 『巖棲集』에도 실려 있다. 卷五 海東續樂府 徙海家, 定朝鮮, 海州黍, 御天龍, 塚上薇, 舞傞傞, 蕩春臺, 進白粥, 山谷嫗, 祭田雨, 戒桃花, 少㣲星, 春逰詞, 素沙捷, 關顯聖, 柳氏婦, 論介巖,...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2)
- 심재 조긍섭의 비공화론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71590 한국연구재단 동양한문학회 2010 심재 조긍섭의 비공화론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유가 아비투스의 상대화와 근대적 문장관의 출현--1920년대 조긍섭 변영만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영규, 게재일 : 201254828 한영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한문학회 2012 유가 아비투스의 상대화와 근대적 문장관의 출현--1920년대 조긍섭 변영만의 논쟁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2
주제어사전(13)
-
조긍섭 / 曺兢燮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학자(1873∼1933). 11살 때 《근사록》을 10일 만에 베껴 쓰는 놀라운 글재주를 보였고, 1910년 합병소식을 듣고부터는 두문불출하면서 아무도 만나지 않았으며, 동서의 학설을 비교 궁리하여 《곤언》을 저술하였다. 일정한 스승은 없었으나 타고난 성품
-
가례집해급도식 / 家禮集解及圖式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신몽삼이 『가례』에 관한 선유들의 학설을 인용하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인 예서.주해서. 9권 5책. 석인본. 1928년에 후손 화식(和植)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은 통례로 사당·심의제
-
간취당유고 / 澗翠堂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정우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935년 그의 증손 종호(鍾浩)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유필영(柳必永)의 서문 2편이 있고, 권말에 김창숙(金昌淑)·조현규(趙顯珪)와 종호 등의 발문
-
다곡유집 / 茶谷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허시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932년 그의 8세손 민(玟)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종8대손 채(埰)와 조긍섭(曺兢燮)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8세손 봉년(鳳年)과 민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
백치유집 / 百癡遺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정사화(鄭思和)의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29년 정사화의 아들 정훈석(鄭薰錫)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긍섭(曺兢燮)의 서문과 권말에 이후(李垕)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52수, 서(書) 15편, 기(記) 1편, 잡저 4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