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구석” 에 대한 검색결과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9)

  • 장륙당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판본. 1685년(숙종 11) 아들 태동(泰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수흥(金壽興)의 서문, 권말에 박세채(朴世采)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全)』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1615-1665) 1615(광해군 7)∼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근묵≫ 중 의 필적.
    이칭별칭 우서(禹瑞)| 장륙당(藏六堂)
  • 초학자훈증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9년(인조 17) 이식(李植)이 아동교육을 위하여 한자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한 책. [내용] 3권 1책. 목판본. 저자의 아들 단하(端夏)가 전라감사 ()의 도움을 얻어 1664년(현종 5)에 간행하였다. 책머리...
  • 조태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量田) 등의 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편서로 ≪주서관견 籌書管見≫이 있고, 글씨로는 <이충무공고하도유허비 李忠武公高下島遺墟碑>‧<왕자연령군명비 王子延齡君明碑>‧<완산백비 完山伯碑>‧<길성군허유례비 吉城君許惟禮碑> 등이 있다. 肅宗...
    이칭별칭 덕수(德?)| 소헌(素軒), 하곡(霞谷)| 문정(文貞)
  • 인조실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상(李一相)‧황호(黃㦿), 이방낭청(二房郎廳)은 편수관 조형(趙珩)‧유도삼(柳道三)‧변시익(卞時益), 기주관 채충원(蔡忠元)‧홍수(洪鐩)‧김좌명(金佐明)‧이경억(李慶億), 기사관 ()이다. 삼방당상(三房堂上)은 지춘추관사 한흥일(韓興一)‧박서(朴遾)...

고서·고문서(20)

  • 15109 B01510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孝宗實錄 九年(1658) 夏四月 효종실록_10904020_002 ○以鄭知和爲吏曹參議, 曺漢英爲大司諫, 金徽爲承旨, 徐元履爲江華府留守, 金禹錫爲持平, 金壽興爲獻納, 閔點爲副修撰, 李時術爲輔德, 李時楳爲開城府留守, 爲...
    출처전거孝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1019 B051019 도민 島民 도서 일반 孝宗實錄 四年(1653) 十一月 효종실록_10411022_002 ○以爲校理, 洪茂績爲刑曹判書, 金汝水爲五衛將。 汝水前爲濟州牧使, 侵虐島民, 貪黷無比, 將施贓律, 廷臣多有救之者得免, 遂配中道。 至是, 以笠巖築城時, 頗...
    출처전거孝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許積曰: “禁府罪人朴泂之子擊錚公事, 自刑曹移送本府矣。 若無別敎, 則因其子擊錚, 而更爲推問, 無前規, 請勿施。” 上謂太和曰: “泂之事如何?” 對曰: “觀狀啓, 則所犯不輕矣。” 戶曹判書鄭致和曰: “東萊商倭出來, 則有開市之擧, 東萊 ...
    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貿載二十日回還本十一午時到草島 ...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 第十四統統首崔多保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外祖不知女年 貳拾參戊寅等丁酉戶口相准 第三戶 黃山道驛吏鰥夫朴泰天年陸拾壹庚子本密陽父得千祖士男曾外祖崔 龍大本慶州女年貳拾壹庚辰等丁酉戶口相准 第四戶 黃山道驛吏鰥夫裵殷錫年伍拾玖壬寅本김海父日孫祖權支二祖不知女寡召 史年參拾參戊辰等丁酉戶口相准 第五戶 老除鰥夫黃學三年陸拾壹庚...
    연도_면이름1840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三十三下垈里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4891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86면 1. 卒業生;21) 21회(64명: 1930년 3월 졸업) ; 경북 문경군 龍岩面 池東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615(광해군 7)∼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남 증손, 할아버지는 존성, 아버지는 계원이다. 어머니는 신흠의 딸이다. 정홍명의 문인이다.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언, 교리, 헌납, 이조좌랑, 전라감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장륙당유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