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광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0)
사전(602)
- 김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86(성종 17)∼?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군거(君擧). 할아버지는 수형(壽亨)이고, 아버지는 경력(經歷) 언홍(彦弘)이며, 어머니는 이봉손(李奉孫)의 딸이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이칭별칭 군거(君擧)
- 조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씨의 폐위를 주장했던 박원종(朴元宗)을 처벌할 것을 상소했는데, 이 때문에 대사간 이행(李荇)의 탄핵을 받아 귀양을 가게 되었다. 이에 대해 조광조는 대사간으로서 상소자를 벌함은 언로를 막는 결과가 되므로 국가의 존망에 관계되는 일이라 주장, 오히려 이행 등을...이칭별칭 효직(孝直)| 정암(靜庵)| 문정(文正)
- 趙光祖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112 趙光祖 인물 自悟, 潛心, 道學, 不事章句 金宏弼 儒先錄 D_14_01_74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7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7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趙光祖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016 趙光祖 인물 天分異甚, 猗蘭播芬, 皓月揚輝, 學有淵源, 孝廉, 薦拜, 司紙, 乙科, 超拜, 大司憲, 興起斯文, 神武變, 賜死, 領議政 乙亥 漢陽, 綾城 孝直, 靜菴, 寒暄先生, 堯舜, 文正 D_11_05_26 대동...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5장 2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최희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정지(汀之), 호는 덕촌(德村). 직제학 담(霮)의 후손이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내용] 중종 때 무과에 급제하였는데 때마침 여진족인 속고내(...이칭별칭 정지(汀之)| 덕촌(德村)
고서·고문서(136)
- 조광조 치제문(趙光祖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조광조 치제문(趙光祖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6 第六統統首趙光祚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01년_범서면(凡西面) 1801년 범서면(凡西面) 第十一曲淵里 6 第六統統首趙光祚 第一戶 右領軍官趙光祚年肆拾肆戊寅本咸安父業武聖九祖學生致雲曾祖學生舜建外 祖洪潤石本南陽妻金姓年肆拾貳庚辰本金海父岳祖盈金曾祖玉暹外祖驛吏宋進儀本 懷德率子院生朔不伊年拾陸丙午率婢...연도_면이름1801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十一曲淵里
- 정암선생문집(靜菴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정암선생문집(靜菴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구술자료(3)
- 조광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평 관련 역사인물들과 관련된 일화가 없는지 묻자, 여러 사람을 들면서 간단한 사항을 말씀하시던 중 조광조에 관한 전설을 구연하 셨다.조사일시2009. 2. 25(수) | 조사장소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1리 346번지(제보자의 자택) | 제보자신영범
- 정담 조광조의 지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계속해서 해달라고 했더니 “부앙헌 얘기를 하면 부앙헌 사람이 된다.”고 하면서 “우스운 얘기를 해도 되느냐□고 묻고 “자신도 돈 주고 배웠노라.”고 여러 말을 허고는 조사자가 권하는 음료수를 마시면서 이야기를 꺼냈다.*조사일시1985-06-02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산내면 | 제보자홍일남
- 인민의용군의 탈출과 국군으로 참전한 전쟁의 기억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싶으면 다 하는 판이거든. 판사를 하든지, 군 수를 하든지.(웃음) [청중 2: 대학생이 없어] 유일하니 그 양반이 그때 당시 회천서 대학생이 둘이 었을 것이여. 조광조 유 선생이 1번이고, 내가 알고 있기는 해진 씨가 2번이거든. 그때 대학을 둘 이 다니고, 그 다음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3년 5월 22일
기초학문(1)
- 중종대 법조의 정치원리와 조광조의 경장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재윤, 게재일 : 200938539 문재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중종대 법조의 정치원리와 조광조의 경장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6)
- 민세안재홍전집 : 靑年老年(四)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117 1925 9 5 4 4 民世學人 安在鴻 靑年老年(四) 신문 조선일보 1면2단 논단 사회 직접자료 선집외 趙光祖, 앗시리아, 바빌론, 페니키아, 西班牙, 葡萄牙, 希臘, 埃及 A19250905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일화를 소개한 글 정광필(鄭光弼), 조광조(趙光祖), 김안로(金安老), 이사균(李思勻) 조양보번역문.pdf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8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과 일화를 소개한 글 남치근(南致勤), 서림(徐林), 백인걸(白仁傑), 김식(金湜), 조광조(趙光祖), 인순왕후(仁順王后), 윤임(尹任), 윤원형(尹元衡), 민제인(閔齊仁), 김광준(金光準), 송희규(宋希奎), 박광우(朴光佑), 유희춘(柳希春), 이황(李滉), 허자...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우리 한국의 교육내력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충렬왕, 안유, 최충, 우탁, 백이정, 이제현, 국초(國初), 성균관, 사학, 훈민정음, 중종, 조광조, 김정, 김식, 기준, 김안국, 현량과, 신무문의 화, 남곤, 심정, 명종, 주세붕, 백운동, 백록동, 백운서원, 소수서원, 손조, 갑오경장, 공립, 사립, 허명...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개성신문_1953_1129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1월 29일 217 김명호 림봉상 조선경비대 조광조 부대장이 지휘하는 조선경비대 ○○○ 부대 용사 써클원들은 지난 24일 저녁 해방된 연안읍 내 시민들을 위안하는 예술 써클공연을 성대히 진행하였다. 가렬 처절하던 지나간 전쟁기간 중에도 군무의...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3_1129_03 | 날짜1953년 11월 29일 | 책임주필김명호
멀티미디어(51)
- 조광조 배향 서원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X 없음 시계열 통합 사단법인 한국서원연합회;민족문화대백과사전;두산백과;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현지 안내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시계열 통합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김육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기타자료(1)
- (한국교육의 맥4) 조광조와 심곡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교육의 맥4) 조광조와 심곡서원 (한국교육의 맥4) 조광조와 심곡서원 (한국교육의 맥4) 趙光祖와 深谷書院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 교육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금장태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47)
-
조광조 / 趙光祖 [종교·철학/유학]
1482-1519. 조선 중종 때의 유학자. 김굉필에게서 배웠다. 1515년 성균관에 천거되었고, 1517년 임금의 경전강론을 하였다. 1518년 현량과를 실시했으며, 훈구관료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실천적이 도학적 태도는 향약의 실시와 소격서의 폐지론으로
-
장잠 / 張潛 [종교·철학/유학]
1497년(연산군 3) 6월 26일∼1552년(명종 7). 조선 중기 유학자. 부친은 장충순이다. 조광조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조광조가 죽음을 당한 후 은거하여 죽정정사를 짓고 학문에 몰두하였다. 묘갈명은 족손인 장현광이 지었다. 그의 문집으로『죽정일고』가 전해진다.
-
사장학 / 詞章學 [종교·철학/유학]
문장과 시부를 중시한 학문. 조선 중종 때 도학을 중시하는 조광조 일파에 대해 한문학도 무시할 수 없다고 나선 문학 중심의 학파를 지칭한다. 대표적 인물로는 김일손, 남효온, 조위, 남곤 등이다.
-
기묘사화 / 己卯士禍 [정치·법제/정치]
1519년(중종 14) 11월 조광조·김정·김식 등 신진사류가 남곤·심정·홍경주 등의 훈구 재상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을 폐하고 왕위에 오른 중종은 연산군의 악정을 개혁함과 동시에 쫓겨난 신진사류를 등용해 파괴된 유교적 정치 질서의 회복과 교학,
-
심곡서원 / 深谷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심곡로(상현1동)에 있는 서원. 1650년(효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광조(趙光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하여 위패를 모셨다. 조광조의 무덤이 이곳에 있기 때문에 일찍부터 서원을 세우기 위한 논의가 있었으나, 재력이 부족하여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