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광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5)
- 취원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조광익(曺光益)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8대손 위문(偉文)이 편집하고, 고종 때 후손 한규(漢奎)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목만중(睦萬中)ㆍ이휘령(李彙寧)의 서문과, 권말에 종6세손 채신(采臣)의 발문...
- 조광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37(중종 32)∼1580(선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가회 (可晦), 호는 취원당(聚遠堂) 또는 죽와(竹窩). 아버지는 윤신(允愼)이며, 어머니는 이조판서를 지낸 장말손(張末孫)의 손녀이...이칭별칭 가회(可晦)| 취원당(聚遠堂), 죽와(竹窩)
- 밀양오방리강동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오방리에 있는 작은 언덕. [내용] 경상남도 기념물 제120호. 조선 선조 때 평안도사(都事)를 지낸 취원당(聚遠堂) 조광익(曺光益)의 효행과 우애를 기리는 비각이 새겨져 있다. 강동구의 ‘江東...연계항목밀양오방리강동구(密陽五方里江東邱)
- 어유간보(魚游澗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1,109척, 높이 15척 석축(石築)의 보성(堡城) 이시언(李時言), 조광익(趙光翼), 남구만(南九萬) [정의] 조선시대 함경북도 경성부에 속한 보(堡). [개설] 어유간보는 함경북도에서는 내지에 해당하는 경성에 속한다. 처음에는 경원(慶源)으로...동의어어유간진(漁游澗鎭) | 관련어어유간동(魚游澗洞), 어유간천(於遊間川)
- 임진자(壬辰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서리(書吏)·제원(諸員)·고직(庫直)·각수(刻手)·소로장(銷罏匠) 등 18명의 명단이 있다. 『신정자수』에 수록된 관련 인물은 모두가 교서관 관원으로 감동은 교리 백사민(白師敏), 사준은 조광익(趙光益)·고시준(高時俊)·김우현(金禹鉉)·김신행(金信行)의 4명, 서...상위어금속활자(金屬活字) | 동의어사주갑인자(四鑄甲寅字), 오주갑인자(五鑄甲寅字) | 관련어갑인자(甲寅字), 『국조보감(國朝寶鑑)』, 『신정자수(新訂字數)』, 『주자사실(鑄字事實)』, 『청구시초(靑丘詩鈔』
고서·고문서(11)
- 조광익(曺光益) 화회문기(和會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밀양 오방 창녕조씨‧오봉서원
- 全羅道庄土文績_제23책 : 全羅南道薪智島所在庄土人民提出圖書文績類 88. 乾隆伍拾捌年-癸丑-二月十二日金處玉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배면 1793년(정조 17) 2월 12일 金智宅 전주 金智宅 전주 金處玉 金處玉 鄭臥巖/黃甲伊 曺光翼 전라 강진 신지도 長中里 家後 전라도 강진 신지도(군/현) (면/방)...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강음현(江陰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石, 則臣與差使員安城郡守趙光翼、濟物萬戶崔嵂, 一同躬親監督, 分載六隻, 本月二十七日朝發船矣。” 傳曰: “知道。”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8 第八統統首姜事瑨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戶口相准 第四戶 吳應世故代子黃山道驛吏順業年拾陸乙酉本海州父應世祖碩奉曾祖通政弼才外 祖姜周民本晋州母姜姓年伍拾捌癸卯等丁酉戶口相准 第五戶 黃山道驛吏鄭吾作年參拾貳己巳本東萊父時奉祖光益曾祖通政貴貞外祖張 麻堂本仁同妻朴姓年貳拾陸乙亥本密陽父昌連祖大根曾祖嘉善興碩外祖李仁喆 本慶州等丁酉戶口...연도_면이름1840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三十五肝谷里
- 12 第十二統統首김後孫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丙午戶口相准 第二戶 黃山道驛吏吳得用年伍拾捌壬子本海州父莫乃祖裕世二祖不知率人女김召 史年伍拾捌壬子丙午戶口相准 第三戶 黃山道驛吏鄭孝德年伍拾庚申本東萊父斗去非祖光益曾祖貴貞外祖李 命杜伊本慶州妻김姓年肆拾柒癸亥本김海父應宅祖光喆曾祖夢守外祖김世 奉本慶州等丙午戶口相准 第四戶 黃山道...연도_면이름1849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十二)肝谷里 *第三十二의 오기이다.
기초학문(5)
- 여가 소비와 정체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광익, 게재일 : 201242746 조광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관광연구소 2012 여가 소비와 정체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여가 소비와 문화자본의 관계 - 여가 스포츠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광익, 게재일 : 201050499 조광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여가 소비와 문화자본의 관계 - 여가 스포츠 활동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매스 미디어의 여가 관광 담론 분석: 일간지의 사설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광익, 게재일 : 200633321 조광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관광학회 2006 매스 미디어의 여가 관광 담론 분석: 일간지의 사설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한국 사회의 신관광 현상에 대한 이해: '힐링관광'의 사회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광익, 게재일 : 201657292 조광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관광학회 2016 한국 사회의 신관광 현상에 대한 이해: '힐링관광'의 사회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현대 사회에서의 여가의 의미에 대한 문화산업론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광익, 게재일 : 200722078 조광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관광학회 2007 현대 사회에서의 여가의 의미에 대한 문화산업론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07
주제어사전(2)
-
조광익 / 曺光益 [종교·철학/유학]
1537(중종 32)∼1580(선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윤신, 어머니는 장말손의 손녀이다. 이황의 문인,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156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1569년(선조 2) 형조좌랑에 이어 감찰을 지내고 1576년 중시에 장원급제
-
밀양오방리강동구 / 密陽五方里江東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오방리에 있는 작은 언덕. 경상남도 기념물 제120호. 조선 선조 때 평안도사(都事)를 지낸 취원당(聚遠堂) 조광익(曺光益)의 효행과 우애를 기리는 비각이 새겨져 있다. 강동구의 ‘江東’이란 평안도 ‘江東縣’에서 비롯되며, 그 사연은 다음과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