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광벽”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6(명종 21)∼1642(인조 20).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여완(汝完), 호는 북계(北溪). 아버지는 수복(壽福)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 서흥군(瑞興君) 춘억(春億)의 딸이다. 유성룡(柳...
    이칭별칭 여완(汝完)| 북계(北溪)
  • 북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858년(철종 9) 후손 병섬(秉暹)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종로(鄭宗魯)의 서문과 권말에 강직(姜稷)ㆍ장병규(張炳逵)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
  • 연악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서원. [내용]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언성(朴彦誠)‧김언건(金彦健)‧강응철(康應哲)‧()‧강용량(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 향임(鄕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계층을 이룬 이러한 향족을 향품(鄕品) 또는 품관이라고도 불렀다. 이들은 좌수나 별감, 감관 등 각종 향임직을 독점, 세습하여 향권을 장악하였다. 광해군대에 과거 시험장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에, 당사자인 이 "문(文)도 아니고 무(武)도 아니며 다만 향임으로...
    상위어유향소(留鄕所), 향청(鄕廳) | 하위어고감(庫監), 별감(別監), 좌수(座首), 창감(倉監), 향장(鄕長), 향정(鄕正) | 동의어감관(監官), 향원(鄕員) | 관련어향족(鄕族), 유향품관(留鄕品官), 향안(鄕案), 유향분기(留鄕分岐)

고서·고문서(9)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566(명종 21)∼1642(인조 20).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수복, 어머니는 이춘억의 딸이다. 유성룡의 문인이다. 1626년(인조 4) 덕행으로 천거되어 경릉참봉에 제수되었다. 청암찰방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북계집』 2권이 있다.

  • 연악서원 / 淵岳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언성(朴彦誠)·김언건(金彦健)·강응철(康應哲)·()·강용량(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