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관빈” 에 대한 검색결과 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6)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로 ≪회헌집≫ 20권이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1691-1757) 1691(숙종 17)∼1757(영조 3...
    이칭별칭 국보(國甫)| 회헌(晦軒)| 문간(文簡)
  • 구성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이르렀다. 1749년(영조 25)에 왕명으로 ()ㆍ박문수(朴文秀)ㆍ김성응(金聖應)ㆍ김상로(金尙魯) 등과 함께 『속병장도설(續兵將圖說)』을 편찬하였다. 『영조실록(英祖實錄)』 『조선...
    이칭별칭 백형(伯衡)
  • 한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중앙관리들의 탄핵에 과감한 언론을 행사하였다. 1764년 영조의 산림(山林) 억제 정책에 적극 동조하여 헌납에서 승지로 승진하였다. 안동부사로 나갔다가 대사간‧승지 등을 지냈다. 1772년 대사헌으로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던 (...
    이칭별칭 인묵재(忍默齋)
  • 속병장도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49년(영조 25) () 등이 편찬‧간행한 병서. [내용] 불분권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은 1742년 간행된 『병장도설』의 체제를 본떠서 중앙군의 진법‧조련‧편성‧기구 등을 설명한 병서이다. 중...
  • 정준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약하다는 대간의 탄핵을 받아 교체되었다. 1745년에 동지부사(冬至副使)에 임명되어 ()ㆍ민병상(閔丙祥) 등과 함께 중국을 다녀왔다. 이듬해 복명(復命)시 백두산 동쪽에 거주하던 호인(胡人)의 부락 중 하나인 등등기(鄧鄧磯)가 침략할 기미...
    이칭별칭 택중(擇中)| 향북당(向北堂)

고서·고문서(70)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1∼1757). 1719년 승지로 특채되고, 1720년(경종 즉위) 대사간·대사성·승지를 거쳐 이듬해 이조참의에 올랐다. 1753년 대제학으로 죽책문의 제진을 거부하여 단천으로 이배되었다. 그해 풀려나와 이후 좌빈객·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철저한

  • 조정빈 / 趙鼎彬 [종교·철학/유학]

    1681년(숙종 7) ~ 졸년 미상. 조선 후기 유생. 증조부는 조계원, 조부는 조희석, 부친은 조태채, 외조부는 심익선이다. 동생으로 과 조겸빈이 있다. 1705년(숙종 31) 식년시에서 진사 3등 10위로 합격하였다. 성균관에서 수학하였다.1713년(숙종 3

  • 회헌집 / 悔軒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 20권 10책. 금속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다. 권1∼8에 부 4편, 시 1,278수, 권9∼13에 소차 108편, 계 1편, 의 1편, 권14에 서 48편, 권15에 서 5편, 기 6편, 제발 6편, 설 6편, 잠 2편,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