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5차 개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6)
- 이기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라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같은 해 12월 자유당 중앙위원회 의장에 올라 명실공히 자유당의 제2인자가 되었다. 1954년 3월에 개최된 제5차 자유당전당대회에서 자기 중심의 당편제(黨編制)를 완료, 5‧20총선에서 대승을 거두고 무소속을 포섭하여 재적 3분의 2를...이칭별칭 만송(晩松)
- 부주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제5차개헌 때 채택하였던 정부형태하에서의 차석 국무위원. [내용] 임시정부 헌정사에서는 제4차개헌(1927.3.5) 때부터 주석제를 채택하여 부주석을 두지 않았으나, 제5차개헌(1944.4.22) 때 주석‧부주석제로 바뀌...
- 심계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국가의 결산을 검토하던 헌법기관. [내용] 감사원(監査院)의 전신이다. 제헌「헌법」 때부터 제5차 개헌(1962년 12월 26일) 이전까지 존재하였던 헌법기관으로 검사하는 것을 주임무로 하였다. 제헌 「헌법」 제95조에 “국가의 수입‧지...
- 주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45년 11월 23일 광복된 조국으로 돌아올 때까지 27년 동안 한민족의 정신적 대표기관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해 왔다. 임시정부는 5차에 걸쳐 임시헌법을 제정‧개정하였는데, 주석제는 제4차 개헌 이후, 주석‧부주석제는 제5차 개헌 이후 채택되었으므로 주석이란...이칭별칭수석 국무위원
-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시약헌, 5장, 본문 42개조-제4차 개헌) 및 주‧부석제(대한민국임시헌장, 전문, 7장, 본문 62개조-제5차 개헌)로 달리하면서 27년간의 장구한 기간 동안 국내외 동포들에게 상징적 대표기관으로서 독립운동을 전개해 왔다. 이러한 점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독립운동사상...
신문·잡지(1)
- 제6장 제5차헌법개정 제7장 제6차헌법개정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3) 1962년·1969년 개헌관련 제6장 제5차헌법개정 제7장 제6차헌법개정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0년 송우 『한국헌법개정사』(집문당, 1980)(pp.197-284) 저술 88 이 글은 제5차, 제6차 헌법개정 과정에 대...대표표제어제6장 제5차헌법개정 제7장 제6차헌법개정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송우 | 출처『한국헌법개정사』(집문당, 1980)(pp.197-284) | 키워드제5차 헌법개정, 제6차 헌법개정, 국가재건최고회의, 3선개헌, 헌법심의위원회
주제어사전(2)
-
제5차 개헌 / 第五次改憲 [정치·법제/법제·행정]
1962년 11월 민정이양을 위한 헌법개정안이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의결된 후, 12월 17일 국민투표에 의해 확정, 26일 공포되어 이루어진 헌법개정. 제3공화국의 헌법이 된 이 개헌안의 주요내용은 대통령제 채택, 소선거구제 채택, 국회의 단원제와 정당국가화에 따른
-
부주석 / 副主席 [역사/근대사]
대한민국임시정부 제5차개헌 때 채택하였던 정부형태하에서의 차석 국무위원. 임시정부 헌정사에서는 제4차개헌 때부터 주석제를 채택하여 부주석을 두지 않았으나, 제5차개헌 때 주석, 부주석제로 바뀌면서 부주석이 만들어졌다. 부주석 제도는 민혁당의 주석인 김규식이 임시정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