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24)
사전(202)
- 제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벌(東伐)할 것이라는 말을 듣고 수가를 사신으로 보냈는데, 범저가 헌옷을 입고 가서 만나자, 수가는 그가 재상임을 알지 못하고 추울까 걱정하여 제포(.袍)를 주었다.후에 그가 재상 장록임을 알고는 잘못을 빌자, 범저는 제포를 준 정을 생각해서 용서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함...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제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진해시 웅천동에 있었던 포구. [내용] 중종 때 삼포왜란이 일어났던 곳의 하나이다. 1443년(세종 25)에 계해조약에 의하여 왜인들에게 삼포(三浦 : 부산포ㆍ제포ㆍ염포)의 왕래를 허가하였다. 왜인들의 상주를...
- 제포(薺浦)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872 지명 제포(薺浦) 제포 薺浦 현재의 경상남도 진해시 웅천동에 있던 포소(浦所). 역학훈도(譯學訓導) 1명을 두어 관왜(館倭)를 접대하도록 하였고, 일본어를 익히는 왜학생도(倭學生徒) 10명을 두었다. 조선 초기에 왜구회...유형분류지명
-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형태로 창립했다. 정식 명칭은 세계경제포럼이(World Economic Forum: WEF)지만 스위스 다보스에서 매년 초 총회가 열려 다보스포럼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2002년에는 9‧11테러에 맞선다는 의미로 다보스 대신 뉴욕에서 열렸다.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이칭별칭다보스포럼
- 송거(宋琚)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41년 6월 영등포만호 시절 제포(薺浦)에 갔다가 돌아올 때에 왜선(倭船) 1척과 만났는데 스스로 미리 겁내어 적에게 묶이고 인신(印信)과 군기(軍器)는 물론 조방장(助防將)과 군인 전체가 행방불명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궐정에서 추문할 때에도 사실대로...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591)
- 첫申告(신고)4형제포상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첫申告(신고)4형제포상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2175일 창간 북괴, 간첩...대표표제어첫申告(신고)4형제포상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북괴, 간첩, 무장간첩, 교전, 사살, 생포, 기관단총
- 巨濟捕虜收容所(거제포로수용소)서 도드將軍拉致主謀者(장군납치주모자)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巨濟捕虜收容所(거제포로수용소)서 도드將軍拉致主謀者(장군납치주모자)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대표표제어巨濟捕虜收容所(거제포로수용소)서 도드將軍拉致主謀者(장군납치주모자)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괴뢰, 체포, 북한, 월북, 공작
- 京畿道庄土文績_제88책 : 京畿道安山郡又糸江廣州郡諸浦口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1. 安山楓島廣州京江主人基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8102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88책 : 京畿道安山郡又糸江廣州郡諸浦口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88-001 1. 安山楓島廣州京江主人基地 주인기지목록 1 52.8x25.1 한지, 관인 무 1장, 52.8x25.1cm...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88책 : 京畿道安山郡又糸江廣州郡諸浦口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2. 光緖十六年-庚寅-二月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8103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88책 : 京畿道安山郡又糸江廣州郡諸浦口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88-002 2. 光緖十六年-庚寅-二月日前明文 경강주인권매매문기 1 71.7x128 한지, 관인 무, 좌촌 1장, 71...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88책 : 京畿道安山郡又糸江廣州郡諸浦口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3. 光緖十二年-乙酉-七月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8104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88책 : 京畿道安山郡又糸江廣州郡諸浦口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88-003 3. 光緖十二年-乙酉-七月日前明文 경강선주인권매매문기 1 51.2x81 한지, 관인 무, 좌촌 1장, 51...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1)
- 징발된 부친의 배를 타고 바다 피난생활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군들이 빠질 때는 인민군들 후퇴한다고 사람들이 좋아했겠네요.] 총이고 뭣이고 다 버리고 도망가고 굴같은데나 방어진지에서 무조건 손들고 나왔어. 거제도 포 로 수용소 안에도 업청나게 많았다. 그때 참 그 반공포로들하고 거제포로수용소에서 같은 인민군 들인데 반공포로하고조사지역경남 진주 | 조사일2013년 7월 31일
신문·잡지(25)
- 劃减弟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부대신 고영희씨의 아오 고영쳘씨가 붕화와 고원에 임얏슬에 그 차인이공젼미납것이 이여환이 잇지라 대신이 각군미납됴를 됴샤다가 그아오의 미납됴가 잇것을보고 대신으로잇셔 아오의 미납됴를 엇지쳥장치 안으리오야 즉시 그봉급즁으로 졔감얏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영국 군에셔 강제포 오십좌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국 군에셔 강제포 오십좌를 만들어 병션 쳑에 대포 네좌식 실어 둘터인대 대포 좌에 즁슈 오십돈(일쳔륙근가량)식이오 쟝은 영국으로 십쳑이오 은힘은 일쵸시간에 이쳔 삼 륙십쳑이오 갑슨 십만원식이니 셰계에 뎨일 멀니 가 대포가 륙십리 밧게 못가...게재일1900년 1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20. 거제포로수용소 사태 해결과 알렉산더 방한을 대하는 미 정계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20. 거제포로수용소 사태 해결과 알렉산더 방한을 대하는 미 정계 국제 문헌 현대 남한, 미국, 거제도, 인도,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중국, 영국 기타자료 ...대표표제어20. 거제포로수용소 사태 해결과 알렉산더 방한을 대하는 미 정계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2년 6월 | 작성일12일
- 강원로동신문_1947_1126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47년 11월 26일 357 한성(韓星) 원산시 중앙리 37 강원로동신문사 광 평강군, 평강군 제포면 세포리 조영섭, 광 농맹 평강군 제포면 세포리에 거주하는 조영섭 농민은 지난 이앙시기부터 추수에 이르기까지 다른 농민들보다...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1126_03 | 날짜1947년 11월 26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방적월보_1969_2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제포공업의 과거와 미래 박정기 역 15 최근 동남아각국의 면방공업 사정 C. Campbell 25 기...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기타자료(5)
-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이 대통령과 국무총리에 보낸 제28차 유엔총회 한국문제에 관한 보고 제4호 중 제1위원회 의사일정과 추가안건 제출에 관한 내용.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나와있음. 회의 개막 직후 아 측 결의안 공동제안국에는 3개국이, 공산 측 결의안에는 동독이 추가됨. 추가안건 제출에는 쏘련이 후진국 원조 공여등 안건을 제출한 데 이어 불란서도 의제포함을 요청함. 알제리아 등 19개국과 미국 또한 추가안건을 제출함.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외무부장관 | 수신자대통령 각하, 국무총리 각하
- 70. Technical memorandum ORO-T-6 (EUSAK) : 비망록 / Commanding General Eighth United States Army Korea 수신, 1951.07.2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neral EUSAK 숙명여자대학교 1951. 7. 26 극동군사령관 리지웨이 장군이 미8군 사령관에게 운영분석사무소가 작성한 기술회장 ORT-T-6, "국제포로심문결과 정보에 의한 심리전 전단지와 방송에 대한 사전평가" 사본을 정보제공차원...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General Headquarters Far East Command | 수신자Commanding General EUSAK
-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이 대통령과 국무총리에 보낸 제28차 유엔총회 한국문제에 관한 보고 제4호 중 전략관계사항으로 공동제안국 관계, 제1위원회 토의 시기, 남북한대표 통보에 대한 문서.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대한 문서. 공동제안국 관계에서는 아 측 공동제안국 추가 가담이 공식 발표됨에 따라 모두 24개국임. 공산 측 공동제안국은 동독의 가담으로 33개국임. 제1위원회 토의 시기는 한국문제포함 13개의 안건이고, 한국문제 토의순위는 세 번째임. 남한은 외무부장관을, 북한은...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외무부장관 | 수신자대통령 각하, 국무총리 각하
- 진해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웅천향교지Ⅱ 75.진해 서중동고분군 76.진해 서중동 토기산포지 77.진해 성내동 토기산포지 78.진해 안한백묘비 79.진해 제포진성 80.진해 제덕당산 81.진해 탁유상비 82.진해 제포진지 83.진해 쌍효각 84.진해 안흥규비 85.진해 제덕 토기산포지 86.진해...발행연도1999 | 발굴기관창원대학교박물관/경상남도‧진해시 | 발굴지역경상남도
- 영양왕 25) 세 번째로 고구려를 정벌하면서 내린 조서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漢祖尙且親戎 隗囂餘燼 光武猶自登隴 豈不欲除暴止戈 勞而後逸者哉 朕纂成寶業 君臨天下 日月所照 風雨所沾 孰非我臣 獨隔聲敎 蕞爾高麗 僻居荒表 鴟張狼噬 侮慢不恭 抄竊我邊陲 侵軼我城鎭 是以去歲出軍 問罪遼·碣 殪長蛇於玄菟 戮封豕於襄平 扶餘衆軍 風馳電逝 追奔逐北 徑踰浿水 滄海舟楫 衝...대표표제어영양왕 25) 세 번째로 고구려를 정벌하면서 내린 조서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10)
-
제포 / 薺浦 [경제·산업/산업]
조선시대 왜인의 무역 및 거주를 허용하였던 삼포 중 하나. 부산포와 함께 1424(세종 6)에 개항장이 되었다. 선초에는 왜인에게 회유정책을 써서 관대하게 대우하였으나 1424년에는 부산포·내이포를 8년에는 염포를 개항장으로 삼고 왜선의 왕래와 무역을 삼포로 제한하였
-
수군첨절제사 / 水軍僉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의 수군절도사 관하에 있던 종3품 무관직. 수군의 거진을 이루는 주요 포구를 근거로 하면서 인근의 제진(諸鎭)을 이루는 제포(諸浦)의 수군만호(水軍萬戶)를 관장하였다.
-
삼포 / 三浦 [지리/인문지리]
조선 전기 일본인들의 왕래와 거주를 허가하였던 동남 해안의 세 포구(浦口). 지금의 부산진(釜山鎭)에 해당하는 동래의 부산포(釜山浦, 또는 富山浦),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 해당하는 웅천(熊川)의 제포(薺浦, 또는 乃而浦), 지금의 경상남도 방어진과
-
역학훈도 / 譯學訓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의 사역원 및 지방 관서의 외국어 통역 및 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던 종9품 관직. 사역원에 한학훈도 4인, 몽학·왜학·여진학훈도 각 2인씩을 두었고, 부산과 제포에 왜학훈도 1인, 평양과 의주에 한학·역학훈도 각 1인씩을 두었다. 조선 후기에는 제포의
-
안골포 / 安骨浦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동동에 있었던 포구. 남해연안에 위치하여 있으며, 석성(石城)으로 둘러싸여 있는 수군(水軍)의 진영이 있던 곳이다. 안골포 석성의 둘레는 1,714척(尺)이며, 성 안에 시내가 있고 우물이 하나 있었다. 수군만호가 한 사람 있었으며, 제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