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04)
사전(554)
- 제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제례이다. 제(祭)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흉례(凶禮)에서 길례(吉禮)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禮曹爲相考事今此發靷敎時各門道路橋梁山川等祭奠物及燭乙良令奉常寺席子乙良令各該司進排, (국장1757/078ㄱ05~07)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제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우와 꼭 같다. 「제전」의 사설의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백오동풍(百五東風 : 寒食의 봄바람)에 절일(節日)을 당하여 임의 분묘를 찾아가서 분묘 앞에 황토(黃土)요 황토 위에다 제석(祭席)을 깔고 제석 위에다 조조반(祖祖盤)을 놓고 조조반 위에다 좌면지...
- 제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관서. [내용] 제사 지내는 일을 맡아보았다. 소속관원으로는 사지(舍知) 2인과 사(史) 6인이 있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 제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구분, 제향하고 있었으나 제전을 설정한 기록은 없다. 조선시대에는 개국초부터 주자학적인 예(禮)의 규정에 따라 국가적인 사전을 정비하고, 1392년(태조 1) 8월 고려 시조 이하 8왕을 경기 마전현(麻田縣)에 입묘(立廟) 치제하게 하고 제전을 지급하였다....이칭별칭제위전
- 제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상의 제사를 받들기 위하여 설정한 위토정의조상의 제사를 받들기 위하여 설정한 위토 | 문광부표기jejeon | MR표기che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한국무역정책연구 [중한 전략적 동반자 협력관계 시각에서 복합형 한국학 인재 양성 모델 추진방안 | 遼寧大學 (Liaoning University)]저자 : Zhang DongZhe 장동철 ... | 출판사 : 요녕대학교 출판사 | 출판일 : 202301한국 무역정책에 관한 전반적 연구로 1962년부터 수출주도형 경제전략을 추진하여 30녕 동안 선진국들 1세기동안 이록한 공업화와 산업화를 달성에 큰 역할을 수행한 무역정책을 심층있게 연구하였다. 이 책은 한국경제 특히 한국무역정책, 중한무역관계를 공부하고자하는 한국학 ...
논문(2)
- 루마니아의 발전적 사회통합에 있어 사회적 불평등과 경제적 소외문제: 체제전환 이후, 현재 루마니아 인들이 겪고 있는 사회적 부작용 실례를 중심으로 [Babeş-Bolyai (바베쉬-보여이) 대학의 한국어-문화 교육을 위한 교과 과정의 향상과 교육 교재 | Universitatea 'Babesbolyai' Cluj-Napoca]저자 : 곽동훈 | 게재정보 : 동유럽발칸연구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 국제금융기구의 대북개발지원의 방향(국제금융기구의 대북지원계획안 실증분석)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저자 : 이한희 | 게재정보 : 국제지역연구
고서·고문서(1,332)
- 제전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祭奠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2430 잡가 韓國歌唱大系 12044 1976 李昌培 弘人文化社 李基玉 18,000원 祭奠 [52] 백오동풍(百五東風)에 절일(節日)을 당하여 임의 분묘(墳墓)를 찾아가서 분묘 앞에 황토(黃土)요, 황토 위에다 제석(祭席)을 깔...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제전(祭奠)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2643 잡가 가요집성(歌謠集成) 12045 1965 李昌培 弘仁文化社 李基玉 7000원 제전(祭奠) [58] 백오동풍(百五東風)에 절일(節日)을 당(當)하여 임의 분묘(墳墓)를 찾아가서 분묘 앞에 황토(黃土)요 황토 위에다 제석...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제전(祭奠)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2278 잡가 대증보무쌍유행신구잡가(Ⅱ) 12042 1958 姜槿馨 永和出版社 姜槿馨 永新社 印刷部 제전(祭奠) [88] 세상백년 생겨날 제 열시왕 전 명을 빌고 제석님 전 복을 빌며 아부님 전 뼈을 빌고 어머님 전 살을 빌어 열...구분잡가 | 편저자姜槿馨
- 졔뎐 祭奠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261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졔뎐 祭奠 [195] 셰상 년 겨날 열시왕님 젼 명을 빌고 뎨셕님 젼 복을 빌며 아부님 젼 를 빌고 어마님 젼의 살을 빌어 열 달 서러 이 셰상 년 겨나...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구술자료(8)
- 제전(祭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흥이 돋구어지자 노래가 술술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자 생각난듯이 하나 더 부르겠다면서 이 노래를 불렀다 제법 가사가 긴 데도 거의 거침없이 흘러 나왔을 뿐아니라 나중에 노래말을 확인할 때에도 자신있게 응하여 주었다. 청승맞은 가락이 노래의 뜻과 어울리어 한층 효과...조사일시1982-07-17 | 조사장소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 제보자이동진
- 서도민요 공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서도소리발표(2) 공연녹음자료로, F-417에서 이어진 것이다. 3) 음질 상. 황해도 해서민요 서도소리 제전 양산도 변강쇠타령 서도좌창 배따라기 배뱅이굿 중난봉가 자진난봉가 사설난봉가 지관용 1980-12-21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지관용
- 선소리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음질 상 박종국 유개동이영식 정득만 박상옥 이명길 선소리 산타령 잡가 경기잡가 서도잡가 제전 공명가 선소리산타령보존회 2002-07-11 경기 수원시 17:26 00:0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종국
- 최승희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일부 대목의 소리가 수록되어있다. 2) 음질 중 춘향가 최승희 최채선 김여란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춘향가 단가 사철가 숙영낭자전 신연맞이대목 토막소리 전주국악원 군산성악회 서울경창대회 남원춘향제전국명창대회 전주대사습놀이 우조 계면조 철성 양성 수리성 고자목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승희
- 제2회 서도지방 민요의 밤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3-31 소극장 공간사랑 28:42 28:32 A면 1) 제전[독창: 지관용] (00:00) 2) 금다래타령-금다래꿍[선후창: 미상] (05:17) 3) 푸지기[독창: 장용수] (08:19) 4) 중거리[선후창: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지관용
기초학문(188)
- 체제전환기 러시아의 소유권 논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영옥, 게재일 : 200335660 김영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슬라브학회 2003 체제전환기 러시아의 소유권 논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전환에 대한 재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세진, 게재일 : 200337790 권세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정치학회 2003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전환에 대한 재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전환에 대한 재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세진, 게재일 : 200301388 권세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정치학회 2003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전환에 대한 재론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체제전환기 국가의 부패 원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엄구호03029 엄구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락 체제전환기 국가의 부패 원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6088d011246유형논문
- 체제전환국 법제의 특징과 구조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민경배, 게재일 : 200603893 민경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평화문제연구소 2006 체제전환국 법제의 특징과 구조 .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408)
- 帝展 (제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帝展 | 기사명_한글제전 | 부제_원문十七日から一般に公開さる | 게재일19251008 | 게재판석 | 게재면02 | 게재단3-4
- 帝展入選 (제전 입선)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일본 제전기사명_원문帝展入選 | 기사명_한글제전 입선 | 부제_원문洋畵部 | 부제_한글양화부 | 게재일19241012 | 게재판무 | 게재면03 | 게재단4-7
- 帝展特選 (제전특선)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帝展特選 | 기사명_한글제전특선 | 부제_원문洋画七点彫刻六点 日本画は十点 | 게재일19251017 | 게재판석 | 게재면02 | 게재단8-9
- 帝展委員 (제전위원)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帝展委員 | 기사명_한글제전위원 | 게재일19251205 | 게재판석 | 게재면02 | 게재단4-4
- 帝展 開く (제전 열다)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帝展 開く | 기사명_한글제전 열다 | 게재일19271019 | 게재판무 | 게재면02 | 게재단2-5
멀티미디어(65)
- 충무공 탄신 기념 제전이 1962년 4월 28일 박정희 의장이 참석한 가운데 충청남도 아산군에 있는 현충사에서 성대히 베풀어졌고, 경상남도 충무시에서도 기념식을 거행해 이충무공의 위업과 공덕을 추모하는 여러 가지 행사가 베풀어졌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2년 5월 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②,③,④.JPG yy3-0173_5 유물 사진 48. 암막새①~⑤ 착고기와⑥ 명문와⑦ 토제전⑧ 2014-03-20_0.8991358_사진 48. 암막새①~⑤ 착고기와⑥ 명문와⑦ 토제전⑧.JPG yy3-0173_6 유물 사진 48 암막새제목쌍봉사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토제전(96 97) 및 토제 추(98) 2014-12-01_0.5619318_사진53 건물지 출토 토제전(96 97) 및 토제 추(98).JPG yy3-0194_9 유물 사진 53 건물지 출토 토제전(96 97) 및 토제 추(98) 2014-12-제목영암 천황사 -4차 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역사 4주차. 민주적 체제전환 5주차. 민주주의의 공고화 6주차. 종교와 정치문화 7주차. 유교민주주의 8주차. 한국의 민족주의 9주차. 통일과 주변국 인식 69주차. 한국의 반미주의 고상두 교수 · 소속 :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 · 학력 : - 플로강좌제목한국의 민주화와 민주주의 | 주차별강좌한국의_민주화와_민주주의_01_1차시
- 역사 4주차. 민주적 체제전환 5주차. 민주주의의 공고화 6주차. 종교와 정치문화 7주차. 유교민주주의 8주차. 한국의 민족주의 9주차. 통일과 주변국 인식 70주차. 한국의 반미주의 고상두 교수 · 소속 :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 · 학력 : - 플로강좌제목한국의 민주화와 민주주의 | 주차별강좌한국의_민주화와_민주주의_01_2차시
기타자료(46)
- 1.국민학교아동강제전학반대에관한청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1.국민학교아동강제전학반대에관한청원 1.국민학교아동강제전학반대에관한청원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심의자료 교육과정 교과서ㆍ지도서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6대국회문교공보위원회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 주말대사가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에 보낸 문서로 한국문제전망과 예비교섭에 관한 내용.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주말대사가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에 보낸 문서로 한국문제전망과 예비교섭에 관한 내용.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1/??/??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말대사 | 수신자장관
- 제전시교육장소속지방공무원정원에관한규칙중개정규칙(48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제전시교육장소속지방공무원정원에관한규칙중개정규칙(48호) 제전시교육장소속지방공무원정원에관한규칙중개정규칙(48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제천시교육장 | 사료철명교육규칙공포원안
- 6. 교수재임용제전면폐지및교수복직에관한청원(박석무 박관용 강삼재 최각규 이철의원의 소개로 제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6. 교수재임용제전면폐지및교수복직에관한청원(박석무 박관용 강삼재 최각규 이철의원의 소개로 제출) 6. 교수재임용제전면폐지및교수복직에관한청원(박석무 박관용 강삼재 최각규 이철의원의 소개로 제출) 교육 문헌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13대문교공보위원회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 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금갑과 조부를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玉海 151 兵制 劒戰 鎧甲) 【번역】 【백제전에 이르기를】 정관 연간에 (백제가) 철갑과 조각한 도끼를 바치니 황제가 노고를 우대하여 비단을 내려주었다. (玉海 151 兵制 劒戰 鎧甲) 【원문】 (貞觀十二年冬十月) 己亥 百濟遣使貢金甲雕斧 (舊唐...대표표제어백제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금갑과 조부를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38년(戊戌/신라 선덕왕 7 仁平 5/고구려 영류왕 21/백제 무왕 39/唐 貞觀 12/倭 舒明 10)
연구과제(3)
-
한국형 발전모델의 70년사: 한국 발전 경험의 확장과 융합의 역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장훈 | 중앙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미국 수도 워싱턴 디씨에서의 한국 인문학 강화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김지수 |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 2016 | 국외 | 해외
-
마지막 왕조의 유산-대한제국 황실문화의 탄생과 소멸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서영희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50)
-
제전 / 祭奠 [생활/주생활]
상기 동안 거행하는 제사와 전의를 합쳐 부르는 말. 국상 중에 망자에게 음식을 올리는 의식은 전과 제로 구분된다. 이 둘의 구분은 매장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즉, 초종부터 시신을 안장할 때까지 올리는 음식을 전이라 부르며 그 이후는 제라고 부른다. 전에는 매일 올리는
-
김제전교비 / 金堤傳敎碑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면 신흥마을에 있는 조선후기 제19대 숙종의 교지를 기록한 비.교비. 시도유형문화재. 높이 170cm, 너비 55cm, 두께 25cm.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5호. 조선숙종의 교지를 기록한 비로 1680년(숙종 6) 10월에 건립되었다.당시 이 곳
-
민족춤제전 / 民族춤祭典 [예술·체육/무용]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민족춤위원회가 매해 3월 말부터 6월 사이 서울에서 주최한 ‘열린사회를 위한 춤 운동’ 예술축제.무용제. 1994년 제1회 행사는 ‘진보·개방’이라는 주제 아래 12개 무용단이 문예회관대극장(현 아르코예술극장)과 마로니에 공원 야외무대에서 공연을 펼
-
세민황제전 /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끝부분에 그 내용이 하권으로 이어진다는 말이 있으나, 후편으로 보이는 작품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 작품은 불법을 숭상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이세민(李世民), 즉 당나라 제2대 황제인 태
-
한국무용제전 / 韓國舞踊祭典 [예술·체육/무용]
로서 ‘국제무용의 날’(4월 29일)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에 개최된다. 해마다 행사 주제를 정해 작품들을 올렸고 초기에는 매회 전통무용을 선정해 그것을 소재로 한 새로운 시각의 창작춤 공연을 올리기도 했다. 2014년 제28회 한국무용제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