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용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7)
사전(284)
- 제용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등을 두었다. 태종 9년(1409)에 제용감으로 승격시켜 국탕장(國帑藏)의 관리를 맡기면서 판사ㆍ감ㆍ소감을 새로 두고, 사를 판관으로,부사를 주부로 고쳤다가 1414년 감ㆍ소감ㆍ승을 정ㆍ부정ㆍ판관으로 고쳤다. 세종 때부터는 백관에게 내려주는 조복과 공복을 제용감에서 만...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제용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관한 업무를 관장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고려 공양왕 때의 제용고(濟用庫)를 답습하였으나 1409년(태종 9) 관제개혁 때 제용감이라 개칭하여 1904년까지 존속되었다.『경국대전』에는 정3품관서이었으나 영조 이후에는 종5품관서로 격하되었다. 관원으로는 정...
- 제용감(濟用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제용감 제용감 濟用監 호조(戶曹) 제용고(濟用庫) 정치행정/관직·관품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고동환 1409년(태종 9) 1904년(광무 8) 호조(戶曹) [정의] 조선시대 명...상위어호조(戶曹) | 관련어제용고(濟用庫)
- 제용감공인(濟用監貢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제용감공인 제용감공인 濟用監貢人 공인(貢人) 제용고(濟用庫), 제용감(濟用監), 공물아문(貢物衙門), 대동법(大同法), 선혜청(宣惠廳), 사주인(私主人) 경제재정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주희 대...상위어공인(貢人) | 관련어제용고(濟用庫), 제용감(濟用監), 공물아문(貢物衙門), 대동법(大同法), 선혜청(宣惠廳), 사주인(私主人)
- 사섬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폐지되어 제용감(濟用監)에 합병되었다가 1645년에 호조판서 정태화(鄭太和)의 건의에 따라 다시 설치되었다. 여기에 소속된 관리로는 정(正) 1인, 부정(副正) 1인, 첨정(僉正) 1인, 주부(主簿, 조6품) 2인, 직장(直長, 종7품) 1인 등이 있었다. 그러...
단행본(1)
-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궁궐 안 사람들의 옷 이야기 | 성균관대학교]저자 : 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국학자료연구실 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12.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발끝까지 꾸미기 4. 왕실복식을 책임진 기구 (1) 상의원, 왕실의 보물창고 (2) 제용감, 또 다른 내탕고 (3) 호조, 왕실의 윤활유
고서·고문서(254)
- 早秋濟用監池上,陪諸公飮【家大人時爲判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0160 早秋濟用監池上,陪諸公飮【家大人時爲判官】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584년 김부륜(金富倫)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584년 10월 30일에 이조에서 왕명을 받아 봉직랑 행 제용감직장인 김부륜을 통선랑 행 제용감직장에 임명한 문서이다. 문서발급은 11월에 이루어졌으며, 사유는 ‘갑 10 별가’로 기록되어 있다. 봉직랑은 종5품 상계, 통선랑은 정5품 하계, 직장은 종7품직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682년 이구징(李耈徵)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682년 5월 13일에 이구징을 통훈대부 제용감정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의 관품이고, 제용감정도 정3품직이다. 일반적으로 품계와 관직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행수법에 의해 ‘행’과 ‘수’를 관직명 앞에 붙이는데, 이 문서의 경우 두 품계가 동일...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월 경주이씨 양월문중
- 1583년 김부륜(金富倫)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583년 7월 28일에 이조에서 왕명을 받아 봉직랑 행 돈녕부봉사 김부륜을 봉직랑 행 제용감직장에 임명한 문서이다. 제용감은 왕에게 진상하는 직물․인삼 및 왕이 하사하는 의복․사포․나견․능견․주단․포화․채색․입염․직조물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는 관사이다. 봉직랑은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대구어(大口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0382 B040382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世宗實錄 六年(1424) 冬十月 세종실록_10610010_004 ○命永除咸吉道鏡城司宰監納大口魚、連魚、全鮑, 濟用監納楮貨, 因郡人前大護軍金天乙陳言也。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8)
- 前濟用監을 昨春에 本社로 自上恩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前濟用監을 昨春에 本社로 自上恩賜 옵신 事 內外國人의 아바오 至今지 本社의 視務 處所어늘 今에 何許無賴輩가 新聞에 廣告기를 蠶農所가 도로 되엿다고 無嚴無據 謊說을 自下誣布엿시니 僉位 照亮시오 人工養蠶合資會社게재일1901년 4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前濟用監을 昨春에 本社로 自上恩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前濟用監을 昨春에 本社로 自上恩賜 옵신 事 內外國人의 아바오 至今지 本社의 視務 處所어늘 今에 何許無賴輩가 新聞에 廣告기를 蠶農所가 도로 되엿다고 無嚴無據 謊說을 自下誣布엿시니 僉位 照亮시오 人工養蠶合資會社게재일1901년 4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 前濟用監을 昨春에 本社로 自上恩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前濟用監을 昨春에 本社로 自上恩賜 옵신 事 內外國人의 아바오 至今지 本社의 視務 處所어늘 今에 何許無賴輩가 新聞에 廣告기를 蠶農所가 도로 되엿다고 無嚴無據 謊說을 自下誣布엿시니 僉位 照亮시오 人工養蠶合資會社게재일1901년 4월 22일 | 기사분류광고
- 대한뎨국 인공양잠 합자회샤 무소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대한뎨국 인공양잠 합자회샤 무소 음력 이 일일에 즁셔 슈진동 이젼 제용감으로 옴겻오니 쳠군 죠량시오 츄고 본 무소안에서 인공양잠 견습소를 셜시고 견습을 모집오니 호기를 원 쳠원은 이 십일에 본 무소로 오시오 샤쟝 김가진 견습소쟝 민병셕 ...게재일1900년 5월 1일 | 기사분류광고
- 대한뎨국 인공양잠 합자회샤 무소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대한뎨국 인공양잠 합자회샤 무소 음력 이 일일에 즁셔 슈진동 이젼 제용감으로 옴겻오니 쳠군 죠량시오 츄고 본 무소안에서 인공양잠 견습소를 셜시고 견습을 모집오니 호기를 원 쳠원은 이 십일에 본 무소로 오시오 샤쟝 김가진 견습소쟝 민병셕 ...게재일1900년 5월 2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15)
-
제용감 / 濟用監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왕실에 필요한 의복이나 식품 등을 관장한 관서. 왕실에서 쓰는 각종 직물·인삼의 진상과 국왕이 사여하는 의복 및 사(紗)·나(羅)·능(綾)·단(緞)·포화(布貨)·채색입염·직조 등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였다. 1409년(태종 9) 관제개혁 때 제용감이라 개칭하
-
도염서 / 都染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 선공시의 속사로 하였다. 관원으로는 사 2인을 두었다. 1310년(충선왕 2) 다시 도염서에 영과 정을 두었다. 조선시대에도 명칭과 기능은 계승되었다. 1460년(세조 6) 제용감에 합쳐진 뒤 폐지되었다.
-
부봉사 / 副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봉상시·내의원 등 여러 관서의 정9품 관직. 봉상시에 1인, 내의원에 2인, 군기시(軍器寺)에 1인, 군자감(軍資監)에 1인, 제용감(濟用監)에 1인, 선공감(繕工監)에 1인, 관상감(觀象監)에 3인, 전의감(典醫監)에 4인, 사역원(司譯院)에 2인, 풍저
-
이현록 / 李顯祿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후원 현손, 주 증손, 할아버지는 산휘, 아버지는 섭, 어머니는 윤협의 딸이다. 헌릉참봉, 장원서봉사, 제용감봉사, 금구현령, 전주부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
김시혁 / 金始㷜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6∼1750). 김선여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득원, 아버지는 제용감봉사 김홍주, 어머니는 주서 남궁배의 딸이다. 1708년(숙종 34) 식년 병과 급제 후, 경종 대에 수원부사로 물러났다가 영조 때 정미환국 후 복직되어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