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제승방략” 에 대한 검색결과 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6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사 이일(李鎰)이 다시 시의(時宜)에 맞게 정리, 증수한 것이다. 그러나 현존하는 『』은 1670년(현종 11)에 함경북도병마평사(咸鏡北道兵馬評事) 이선(李選)이 중간한 것이다. [내용] 내용은 권1과 권2의 상반까지에는 도내 각 진(鎭)...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야인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함경도 8진(鎭)과 이에 소속된 각 보(堡)의 방수(防戍)를 논한 병서(兵書).
    정의조선시대 야인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함경도 8진(鎭)과 이에 소속된 각 보(堡)의 방수(防戍)를 논한 병서(兵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seung bangnyak | MR표기Chesŭng pangny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진관체제(鎭管體制), 자전자수(自戰自守), 주진(主鎭), 거진(巨鎭), 제진(諸鎭) 정치군사·국방/병법·훈련법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박재광 [정의] 유사시에
    관련어진관체제(鎭管體制), 자전자수(自戰自守), 주진(主鎭), 거진(巨鎭), 제진(諸鎭)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병서(兵書) 한문 한국 조선 세종 또는 선조 성낙수 박종국 2016 김종서, 이일, 이선 미상 1588, 1670(중간) 2권 1책(98장) 목판본 ...
  • 이일(李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 등의 난이 일어나자 순변사로 상황 정리를 맡았다. 1601년 부하 살해의 혐의를 받고 붙잡혀 호송되던 중 정평에서 사망하였다. 좌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장양(壯襄)이다. 저서로는 『증보(增補)』이 있다. 『明宗實錄』; 『宣祖實錄』; 『再造...
    유형분류인물

연구과제(1)

  • 조선시대 군사학사전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조혁상 | 홍익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

  • /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병가류(兵家類) 김종서(金宗瑞) 저, 이일(李鎰) 증수, 영인본, 조선총독부, 1936, 2권 1책. 북방야인 여진족의 침구에 대해 함경도 8진의 방어를 논한 병서. 이 책은 김종서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것을 1588년 이일이 증수하였으며 1670년에

  • 이일 / 李鎰 [종교·철학/유학]

    1538(중종 33)∼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 1558년(명종 13) 무과에 급제해 경성판관 등을 거쳐 1583년(선조 16) 전라좌수사·경원부사를 지냈다. 지중추부사, 비변사당상, 훈련원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증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