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제사” 에 대한 검색결과 38,4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934)

사전(8,594)

  • 도제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내용] 에 쓰는 물건을 관리하고 보관하던 창고로, 인종 때 설치되어 1391년(공양왕 3) 혁파되었다. 관원으로는 사(使)‧부사(副使)‧판관(判官)이 있었는데, 그 품계는 확실히 알...
  • 제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국가적인 의 예에 관한 법에 등재된 여러 신위(神位)의 제수용(祭需用)으로 지급된 토지. [내용] 제위전(祭位田)이라고도 한다.『고려사』에 의하면 고려시대에도 원구(圓丘) 이하 여러 신위를 대사(大祀)‧중사(中祀)‧소사(小祀...
    이칭별칭제위전
  • 도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경주 사량(沙梁)에서 나마(奈麻) 취복(聚福)의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일찍이 출가하여 경주 남산 실(實)에서 수도하였다. 655년(태종무열왕 2) 고구려와 백제ㆍ말갈이
  • 의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백제 의자왕 때의 승려. [내용] 키가 일곱자나 되었다고 한다. 일본으로 건너가 불교를 연구하면서 난파(難波)의 백(百)에 머물렀다. 어느날 저녁 『반야심경』을 외우는데, 그 절의 혜의(慧義)가 밤중에 의각의 방을
  • 정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선종 때의 승려. [내용] 보(普)에 있으면서, 1084년(선종 1) 왕에게 구산문(九山門)에서 공부하는 승려에게도 진사(進士)의 예에 따라 3년마다 과거를 실시하도록 주청하여 허락을 받았다.

단행본(14)

  • 한국경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
    저자 : M.Z. Gibadullin, A.R. Nurieva, Ko Young Che... | 출판사 : 카잔연방대 | 출판일 : 20201214
    The educational and methodological manual reveals in a concise form the key points of th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from ancient times to the begi...
  • 天帝之子 -고구려의 왕권전승과 국가- [고구려 왕실 전승과 의례 - 정치권력으로 향한 통로 | 인하대학교]
    저자 : 조우연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91130
    전통시대 정치권력을 지탱해주는 중심축에는 儀禮와 戰爭이 있는데, 이 저술에서는 武力과 더불어 왕권을 지탱하는 다른 하나의 축인 왕권 정당화 이론으로서의 왕실 전승과 국가제사에 초점을 맞춰, 고구려에서 ‘왕’이라는 정치권력의 성격 및 제도 속에서의 위치 등에 대해 살폈다...
  • 회의 이해와 비판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저자 : 박기주 ... | 출판사 : 해남 | 출판일 : 20220919
    신고전파 경제학은 보편성을 지향하지만, 문제는 이론이 보편성을 가질수록 더 추상적이고 현실과 멀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빠르게 변하는 현실 세계를 위한 성공적인 모형은 내적으로 유연해야 하지만, 보편적 이론을 추구하는 경제학은 획일적인 틀을 제시하고 끝나버리는 경우...
  • 식민지 조선을 말한다 林繁蔵 回顧錄 [근대 조선 다크투어리즘과 계몽의 파레시아 | 동의대학교]
    저자 : 이준영 ...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출판일 : 20240531
    일제강점기 7명의 재무국장 중에 하야시 시게조(林繁蔵)는 6대 재무국장으로 7년 11개월로 가장 오랜 기간 근무한 인물이다. 하야시는 1914년 5월 16일 조선총독부 시보로 탁지부에 발령을 받으면서 관세과장 겸 임시관세조사과장(1919.9~1921.6), 사계과장(1...
  • 종묘와 궁묘: 조선 왕실의 조상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
    저자 : 한형주...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30
    유형단행본

논문(8)

고서·고문서(25,608)

  •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와 관련하여 조사한 책으로 약 14매로 구성되어 있다. 표지에 ‘비국등록(備局謄錄)’으로 표기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비변사등록』에서 발췌하여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世宗實錄樂譜 世宗莊憲大王實錄 卷第一百三十六 樂譜目錄 정인지(鄭麟趾) 5 ⊙ ○ 黃鐘宮一 本元朝釋奠樂譜黃鐘宮譜 十一宮譜同 ○ 黃鐘宮二 本樂譜黃鐘宮譜 十一宮譜同 ○ 黃鐘宮三 本樂譜姑洗宮譜 十一宮譜同 ○ 黃鐘宮四 本樂譜姑洗宮譜 十一宮譜同 ○ 黃鐘宮五
    서명世宗實錄樂譜 | 저자정인지(鄭麟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世宗實錄樂譜 世宗莊憲大王實錄 卷第一百三十七 雅樂譜 정인지(鄭麟趾) 5 樂譜 / 雅樂譜 / / 黃鐘宮一 ◎ 黃鐘宮一【出元朝林宇 大成樂譜 迎新曲黃種宮大呂以下十一宮依此而演】 樂譜 / 雅樂譜 / / 黃鐘宮二 ◎ 黃鐘宮二 【出林宇 大成樂譜 送神黃種宮大呂以下十...
    서명世宗實錄樂譜 | 저자정인지(鄭麟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여자 길림성(吉林省) 용정시(龙井市) 동성용향(东盛涌乡) 제1중심소학교 2 2 , 지내시려, 재삼, 촉구...
    대표표제어제사 | 성씨
  •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三 潘南朴趾源美齋著 孔雀舘文稿○書 弟之營一邱一壑, 今已九年之久. 水宿風餐, 徒握兩拳, 心勞才拙, 何所成就. 纔有石田數頃, 茅屋三間. 而其懸崖束峽, 草樹蒙茂, 初無逕路, 旣入洞門, 則山脚皆藏, 忽換面勢, 岡平麓嫩, 土白沙明....
    대표표제어第四 | 목차孔雀舘文稿○書

구술자료(237)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른 화자가, 본처와 첩이 등장하는 이야기를 마치자, 서둘러 다음의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다른 화자가 들려준 이야기는 큰마누라가 나쁜 인물로 등장하는 내용이었다. 이러한 내용에 동의할 수 없다는 듯이 다음의 이야기를 마치면서 최분례 화자는, “작은마누래라는 건 그...
    조사일시2009. 2. 12(목) | 조사장소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두두2리 413번지 | 제보자최분례
  • 효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10-31 | 조사장소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 제보자차인환
  • 맏이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7-28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산내면 | 제보자손진극
  • 공들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7-28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신현읍 | 제보자옥아지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제사와 관련한 이야기를 묻자 제보자가 요즘 세대와 비교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제사에 대한 몸가짐을 비롯한 변화를 비교하면 서 이야기를 구연하였는데 손을 이용하여 상황을 설명하며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1. 1. 28(금)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559 후포 4리 마을회관 | 제보자김순출

기초학문(229)

  • 신라의 城 와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채미하, 게재일 : 2009
    42474 채미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역사민속학회/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신라의 城 와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뻬스?f의 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0587 한국연구재단 역사문화연구소 2003 뻬스?f의 경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마르틴 루터의 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유준, 게재일 : 2018
    16647 김유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회사학회 2018 마르틴 루터의 경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8
  • 실학의 사회‧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성을, 게재일 : 2000
    14068 조성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00 실학의 사회‧경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1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황경(黃經)」의 도론(道論)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예호, 게재일 : 2001
    08460 김예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1 「황경(黃經)」의 도론(道論)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1,752)

  • 開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부 부동산됴샤소에셔 작일에 각위원이회동야 뎨회로 셜야 박가 츌셕고 각위원의 됴샤의견을 상의문답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8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民衆深化過程(六)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89 1935 5 12 14 8 安 在 鴻 안재홍 民衆深化過程(六) 退嬰의 由來와 經緯(二) 신문 조선일보 석간 1면 5단 사설 역사 직접자료 1권 歷史國情歷史的仁果 A19350512조선0...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俚語奇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원그대장이 호승 긔벽이잇서셔 무론셰미지라도 남의계지지 안키로 유명 엇던문관상의집에잇 문일명이 긔운이졀륜지라 양그대상을보면 랑말이 우리비록 문관이라도 문아모의 긔운은 창력와갓고 그도량과용은 이젼삼국 룡마쵸만 못지안이즉 나라의불우지...
    게재일1906년 7월 20일 | 기사분류기타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白耳義經使節 1936년 2월20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와 국제친화회는 20일 입성하는 벨기에 경절 3명의 환...
    대표표제어白耳義經濟使節 | 연월일1936년 2월20일 | 지역서울
  • 민세안재홍전집 : 鳴梁海大激戰!(上)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40 1934 9 22 15 11 安在鴻 安在鴻 忠武遺跡(十一) 鳴梁海大激戰!(上) 海上秋風,悲憤한待橫!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조간 기행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右水營, 統使, 會寧浦, 거북선, 碧...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736)

연구결과보고서(2)

기타자료(754)

  • yy3-0192 유구 2014-01-16_0.8060114_목포대박물관_영암월출산유적_1996_삼국,통신,고려,조선_표지.jpg 영암 월출산 유적 靈岩 月出山 遺蹟 1996 목포대학교박물관/영암군 246 이해준,이영문,조경만...
    발행연도1996 | 발굴기관목포대학교박물관/영암군 | 발굴지역전라남도
  • c4-0079 유구 2013-05-27_8.608645E-02_백제의 유적 정지산 표지.jpg 백제의 유적 정지산 百濟의 遺蹟 艇止山 1999 국립공주박물관/(주)현대건설 378 윤무병,한병삼,안승주,장경호,서오선,김길식,이한...
    발행연도1999 | 발굴기관국립공주박물관/(주)현대건설 | 발굴지역충청남도
  • cc2-0157 유구 2014-02-17_9.460086E-02_부안 죽막동 유적 표지.jpg 부안 죽막동 유적 扶安 竹幕洞 遺蹟 1994 국립전주박물관 337 한영희,유형식,이규산,안덕임,유병하,최옥환,김용민 유적의 위치
    발행연도1994 | 발굴기관국립전주박물관 | 발굴지역전라북도
  • 신라가 보낸 공물을 일본이 ()에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보낸 공물을 일본이 ()에 바치다 교류담당 698년(戊戌/신라 효소왕 7/발해 고왕 1/周 聖曆 1/倭 文武 2) 신라 신라→일본 ...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공물을 일본이 제사(諸社)에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98년(戊戌/신라 효소왕 7/발해 고왕 1/周 聖曆 1/倭 文武 2)
  • 신라가 보낸 신라 조를 일본이 ()에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보낸 신라 조를 일본이 ()에 바치다 교류담당 706년(丙午/신라 성덕왕 5/발해 고왕 8/唐 神龍 2/일본慶雲 3) 신라 신라→일본 ...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신라 조를 일본이 제사(諸社)에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06년(丙午/신라 성덕왕 5/발해 고왕 8/唐 神龍 2/일본慶雲 3)

연구과제(43)

주제어사전(459)

  • / [종교·철학/유학]

    조상을 추모하거나 또는 신령에게 기원을 드리는 의식. 국가의 로는 천신과 지기에 대한 것이 있는데 각각 원구와 방택에서 지냈다. 특히 사직의 를 중요하게 여겼다. 왕가의 는 종묘에서 지냈고 일반가정에서는 가묘가 있어 그곳에서 를 모셨다. 형식은 조선

  • 도절 / 都節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양계지역에 파견되었던 외관직. 1389년(공양왕 1)에 도순문사(都巡問使)가 개정된 것이다. 그 후 1390년(공양왕 2)부터는 양계에도 도관찰출척사를 두고 도절를 겸임하도록 하였으며, 고려가 멸망하기 3개월 전인 1392년 4월에 전국의 도관찰출척

  • 도총 / 都摠使 [정치·법제/법제·행정]

    도총를 지냈다. 그러다가 1393년(태조 2) 삼군도총제부가 의흥삼군부로 개편되면서 도총도 도총제로 바뀌었다.

  • / 同 [역사/근대사]

    1912년 7월 중국 상하이에서 신규식 등이 국권회복운동을 위해 조직한 단체. 신규식이 상하이에서 독립운동가와 유학생들을 규합, 1912년 7월 4일 ‘동주공제(同舟共濟)’를 표방하면서 동를 조직하였다. 독립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청년교육에 주력하면서, 1913년

  • 부총 / 副摠使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삼군도총제부의 관직. 1391년(공양왕 3) 전군·후군을 폐지하고 중군·좌군·우군으로 구성된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할 때 두어졌다. 도총, 삼군총 다음의 관직으로 통헌대부 이상의 관리가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