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제봉집” 에 대한 검색결과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인‧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617년(광해군 9) 고경명의 아들 고용후(高用厚)가 편집‧간행하였다. 『』은 1980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국역 제봉전서』라는 제목...
  • 유서석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조 선조 때에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무등산 기행문. [구성 및 형식] 순한문으로 기술되어 있다. 원문은 그의 문집인 『()』에 수록되어 있다. 「유서석록」의 제목에서 ‘서석’은 광주(光州)의 옛 이름이다. 이 글은...
  • 고씨삼강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각(追遠閣)이 있다. 『()』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문화재도록』(광주광역시, 1997) 『광주시의 문화유적』(...
    연계항목고씨삼강문(高氏三綱門)
  • 조유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종실록(明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이칭별칭 중실(仲實)
  • 포충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592)와 고경명의 문과급제교지(1558) 등 고문서 6매, 고경명친필 마상격문(馬上檄文), ≪ ≫(252매), ≪정기록 精氣錄≫(71매) 등의 목판 493매 등의 유물이 있다. 1974년 5월 22일에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고서·고문서(15)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고경명(高敬命)의 『()』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은 목판본 본집 5권 遺集 1권․續集 1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집의 5권과 속집은 모두 시로 이루어져 있고, 유집은 부, 잡저, 表箋, 敎書, 檄文, 시 등을 담고 있다. 『』은 시집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練光亭) 02_085_065.jpg (練光亭) 練....亭: 이 시는 高敬命의 《‧皇華和稿》에 〈練光亭〉이라는 동일제명으로 실려 있으나 자구상 일부 출입이 있음. 시 전문은 다음과 같음. “練光高閣臨江渚, 十里平湖寒鏡開....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渡(大同江) 02_085_066.jpg 渡(大同江) 渡...江: 외규에는 “次副使韻渡大同江”.. 高敬命의 《‧皇華和稿》에 ‘渡大同江’이라는 동일제명으로 실려 있으나 자구상 일부 출입이 있음. 《‧皇華和稿》에 실린 시 전...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浮碧樓) 02_085_065.jpg (浮碧樓) 浮....樓: 高敬命의 《‧皇華和稿》에 〈浮碧樓〉라는 동일제명으로 실려 있음. 箕城東畔浿江頭, 中有縹渺 渺: 高敬命의 《》에는 “緲”.之飛樓。 靑山一望 望: 高敬命의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인·의병장 고경명의 시문집. 목판본. 1617년(광해군 9) 고경명의 아들 고용후가 편집간행하였다. 본집 5권 5책, 속집 1권 1책, 유집 1권 1책, 합 7권 6책. 본집은 모두 시문집으로 이항복과 유근의 서문, 명나라 예부주객 장응회의 서문, 제봉문

  • 유서석록 / 遊瑞石錄 [문학/한문학]

    조선조 선조 때에 고경명(高敬命)이 지은 무등산 기행문. 순한문으로 기술되어 있다. 원문은 그의 문집인 『()』에 수록되어 있다. 「유서석록」의 제목에서 ‘서석’은 광주(光州)의 옛 이름이다. 이 글은 1574년(선조 7) 초여름에 친구들과 함께 증심사(證

  • 고경명 / 高敬命 [종교·철학/유학]

    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여러 고을에 격문을 돌려 6,000여 명의 의병을 담양에 모아 진용을 편성했다. 밀려오는 왜적과 대항해 싸우다가 아들 고인후와 유팽로·안영 등과 더불어 순절했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 속집·유집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