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제민창” 에 대한 검색결과 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남평‧영암‧무안‧광주‧함평 등지의 기근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충청도 지방에는 비인에 창고를 설치해 곡물 3만석을 보관, 비인‧서천‧한산‧남포‧홍산 등지의 빈민을 구제하도록 하였다. 의 설치 동기는 1763년(영조 39) 흉년이 들자 그 대책을 논의하...
  • 나리포사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빈발하고, 특히 칠산도(七山島) 근해의 해로가 매우 험난하여 나주 ()으로 합병하여 운영하다가, 1794년 강진으로 옮겼다. 이 기록은 조선 후기의 재정 및 농민들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 교제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흉년에 굶주린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함경도 원산ㆍ고원ㆍ함흥 세 곳에 설치한 환곡 창고. [내용] 예비곡식을 저장하던 것으로 사천ㆍ비인ㆍ순천 등의 ()과 같은 성격의 것이다. 1737년(영조 1...
  • 비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稅穀船)이 지나는 교통의 요지였고, 1655년(효종 6) 남포(藍浦)의 광암(廣巖)에 있던 마량진(馬梁鎭)을 이곳의 도돈관(都頓串)으로 옮겨 수군첨절제사를 두었다. 이곳에는 상비군인 유방군(留防軍)이 있었다. 영조 때는 이곳에 ()을 설치하여 3만...
    이칭별칭비상현(比象縣)
  • 나이(那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 비변사에 보고하도록 하였으며, 만일 사채(私債)·가분(加分)·나이(那移)·번질(反作) 등의 일이 있을 때에는 수령·감관(監官)·색리(色吏)는 『대동사목』에 따라 처벌받아야 했다. ()을 비롯하여 창고곡도 마찬가지로 함부로 나이하였을 때에는 처벌할 것을 규...
    관련어나이가분(挪移加分), 나이작폐(挪移作弊), 나이출납(挪移出納)

고서·고문서(41)

  • 33785 B033785 남산 南山 산악 大東地誌 권5 경상도 昆陽 倉庫 倉三邑內南山外縣倉金陽面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957 B001957 가산창 駕山倉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5 경상도 固城 倉庫 邑倉 南五里屬倉卽晉州駕山倉之屬倉在見內梁爲固城巨濟而設與元倉同爲裝載發舡鎭堡倉五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2388 B052388 도민 島民 도서 일반 正祖實錄 十年(1786) 十月 정조실록_11010005_001 ○乙巳 / 次對。 左議政李福源啓言: “前因武兼金貴澤言, 耽羅移粟時, 土産雜物, 納于羅州便否, 令道臣論啓矣。 該監司沈頤之, 枚擧三邑牒報以爲: ‘駕海之路,
    출처전거正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617 B048617 대진 大津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3 충청도 洪州 山水 ... 內島在新北面之北界大津之下行擔島新北之東小島也下有大津通水原捷路中有今翁岩詳水原元山島在保寧水營西南南北舟舡徑泊處水軍虞侯自三月至九月八防于此有水營軍餉倉舊有牧場 當宁癸丑置別將於靑島一云芿盆島周三...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便否, 令道臣往復該牧, 論理狀聞之意, 有所行會矣。 卽見全羅監司沈?之狀啓, 則枚擧三邑牒報以爲, 駕海之路, 經過七山險洋, 多有臭載之患, 故一島民情, 皆願移納於羅州, 且, 近因??於各邑, 百餘間倉舍, 一倂空虛, 羅?元穀之散在各邑者, 雖盡數移儲, 亦無狹窄之慮, 在官家無...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서부경남첨단지방산업단지내 사천 방지리 유적Ⅲ - 고려‧조선시대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와 가마터와 지에서 출토된 유물들과 유사하다. 옹기는 파수부옹, 병 등이 소량 출토되었는데 패각을 이기재로 이용하여 중첩 소성한 예들도 확인된다. 출토된 유물의 형태와 문양 등에서 북동쪽 사면의 건물지가 동쪽 사면 말단부에 축조된 제방보다 이른 시기에 조성된 것으...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2)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가뭄과 폭우 등으로 흉년을 맞게 되었을 때 기근에 허덕이는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설치했던 창고. 의 설치 동기는 1763년(영조 39) 흉년이 들자 그 대책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이었다. 이에 영조는 해당 고을에서 자체적으로 기근과 흉황에 대비하는 방안

  • 교제창 / 交濟倉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흉년에 굶주린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함경도 원산·고원·함흥 세 곳에 설치한 환곡 창고. 예비곡식을 저장하던 것으로 사천·비인·순천 등의 ()과 같은 성격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