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물포조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2)
사전(64)
- 제물포조약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관으로서 김병시(金炳始)를 임명하여 하나부사 공사가 있던 인천으로 보냈다. 이들과 하나부사는 군란의 선후처리에 관하여 교섭한 후 제물포조약 및 조일수호조규속약에 조인하였다. 제물포조약의 내용은 조선 측이 (1) 20일 이내에 흉도를 잡아 그 우두머리를 엄벌할 것 (2...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제물포조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측 요구에 의해 대구ㆍ함흥 개시(開市)를 삭제하고 공사관 호위병수를 일부 수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본 측 요구대로 6개 조항의 제물포조약을 조인하였다. 이 조약은 임오군란의 뒤처리를 위한 것이었지만, 이 때 조선에서의 상권을 보다 확고히 다져두고자 하는 일본의...
-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866 제도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제물포조약 濟物浦條約 1882년 8월 30일 임오군란으로 발생한 일본 측의 피해 보상 등 사후 처리를 위해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 임오속약(壬午續約). 1882년 구식 군대의 하급 군...유형분류제도
- 이진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임오군란 직후 유배된 민간인. [내용] 1882년(고종 19) 7월 17일에 제물포조약이 체결되자 일본의 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는 7월 26일 영돈녕부사 김병국(金炳國)을 방문하여 이 조약 제1조에 규정된 군변관련자의 처...
- 전보(塡補)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658 개념용어 전보(塡補) 전보 塡補 부족한 것을 메워서 채운다는 의미의 단어.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체결 당시 일본 측은 임오군란으로 인해 일본이 입은 피해와 조선으로의 군대 출병 준비에 소요된 일체의 경비를 조선 측에 ‘배...유형분류개념용어
고서·고문서(27)
- 조선에서의 폭동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A.6224 런던 No.481 워싱턴 No.14 전달 조선의 군중봉기에 관한 8월 31일자 도쿄 주재 독일대사의 보고서 사본을 첨부하여 발송. 임오군란, 폭동, 제물포조약, 협상 * '대사'가 아니라 '공사'가 아닌지?대표표제어조선에서의 폭동 | 발신자수상대리 | 수신자재외공관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런던 워싱턴
- 제물포 조약 체결 이후 일본의 동향에 관한 건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르크 A.6556 No.38 전달 조선에서의 정치적 격동에 관한 베이징 주재 제국공사의 1882년 8월 29일자 보고서를 첨부하여 전달. 임오군란, 제물포조약, 흥선대원군, 납치, 보고서 훈령 3(1870.1.23)대표표제어제물포 조약 체결 이후 일본의 동향에 관한 건 | 수신자Wentzel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함부르크
- 임오군란 직전 백낙관의 상소 첨부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조선폭동에 관한 북경 주재 공사의 보고서 전달. 임오군란, 제물포조약, 보고서 No.3(1877.1.23) A. h 829 J. No. 3639대표표제어임오군란 직전 백낙관의 상소 첨부 | 수신자Wentzel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함부르크
- 전권대신 겸 수신사 박영효의 일본행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8 No.45 전달 10월 25일부 북경 주재 공사의 조선사절 일본파견에 관한 보고를 동봉하여 전달. 임오군란, 제물포조약, 조사시찰단, 보고서 No.3(1877.1.23) J. No. 3912 L 12/12대표표제어전권대신 겸 수신사 박영효의 일본행 | 수신자Wentzel | 발신지베를린 | 수신지함부르크
- 전권대신 겸 수신사 박영효의 일본행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함부르크 베를린 No.68 A.7626 전달 1882년 9월 29일부 북경 주재 공사의 조선문제에 관한 보고를 동봉하여 삼가 반환. 임오군란, 흥선대원군, 제물포조약, 보고서 No.44(1882.12.12)대표표제어전권대신 겸 수신사 박영효의 일본행 | 발신자Wentzel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함부르크 | 수신지베를린
기타자료(1)
- 47-2. 별첨 2―대한제국 내의 외국인 조계(租界)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자수호조약, 조일무역규칙, 조계, 조미수호통상조약, 제물포조약, 조청 상민수륙뮤역장정, 조청교역장정, 조영수호통상조약, 조독수호통상조약, 조러수호통상조약, 조러육로통상조약, 한강선적규칙 프랑스어 2_CFD47-2.pdf (탈초)2_CFD47-2.pdf ...집필자미상(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로 추정) | 작성연도미상 | 작성월일미상 | 발신자미상(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로 추정) | 수신자미상(루비에,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 으로 추정)
주제어사전(4)
-
제물포조약 / 濟物浦條約 [역사/근대사]
1882년 8월 30일 임오군란으로 빚어진 양국 간의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조선과 일본 사이에 맺어진 조약. 6개조의 본조약과 2개조의 수호조규속약으로 되어 있다. 제물포조약은 일본의 야심을 그대로 조문화한 불평등조약이다. 또한 과거 그들이 메이지 초기에 서구 제국주
-
김홍집 / 金弘集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관료·정치가(1842∼1896). 임오군란 후 한국전권부관으로서 제물포조약에 서명하였다. 내각총리대신 때 ‘홍범 14조’ 발표, 청일전쟁 후 갑오개혁 단행, 을미사변 후 과격한 개혁 실시, 아관파천으로 친러파에 밀린 후 난도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
이유원 / 李裕元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88). 이계조의 아들이다. 1865년 《대전회통》 편찬 총재관을 지내고,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영의정에 올랐다. 1882년 전권대신으로서 일본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와 제물포조약에 조인하였다. 저서로 《임하필기》·《가오고략》 등
-
제물포 / 濟物浦 [지리/인문지리]
도로 옮겼다. 제물포는 1876년(고종 13)의 강화도조약과 1882년의 제물포조약이 체결된 뒤 개항장으로서 급속히 변모해 나갔다. 제물포는 1876년(고종 13)의 강화도조약과 1882년의 제물포조약이 체결된 뒤 개항장으로서 급속히 변모해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