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
사전(59)
- 제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여러 관서의 정‧종4품 관직. [내용] 무록관(無祿官)으로 정원은 관청에 따라 인원을 달리하였다. 그 소속관청을 보면 사옹원에 2인, 예빈시에 2인,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에 4인을 두었는데, 이 중 1인은 사복시정‧선공감정‧군기...
- 제검(提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제검 제검 提檢 무록관(無祿官), 사옹원(司饔院),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 예빈시(禮賓寺), 전설사(典設司), 전연사(典涓司), 전함사(典艦司) 별검(別檢), 별제(別提), 별좌(別坐)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상위어무록관(無祿官), 사옹원(司饔院),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 예빈시(禮賓寺), 전설사(典設司), 전연사(典涓司), 전함사(典艦司) | 관련어별검(別檢), 별제(別提), 별좌(別坐)
- 朴齊儉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356 朴齊儉 인물 臺綱壞, 憲長, 諂事, 請謁 明宗 麗史 D_14_04_18 대동운부군옥 14권 4장 1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4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동제검자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루며 서기전 1세기부터 서기 1세기 무렵의 후기단계에는 검자루와 검코가 결합한 형식이 출현하였다. 中國東北地方の初期金屬器文化の樣相 上(秋山進午, 孝古學雜誌 53-4, 1968) 평양 정백동 출토 동제검파...이칭별칭동제검파(銅製劍把)
- 진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병마사 박제검(朴齊儉)에게 사로잡혀 처형당하였다.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서·고문서(35)
- 目眵䁾(莫結反目赤)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三十二 目眵䁾(莫結反目赤)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211 目眵䁾(莫結反目赤) 聖濟總錄論曰目者腑臟之精華肝之外候津液之道也若府藏挾熱內熏於肝衝發於目使液道熱澁結滯於眥臉則成眵䁾聖濟總錄【澤瀉丸】治藏府挾熱衝發於目津液結滯而成眵䁾 澤瀉茺蔚子菟...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거도(居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亦非不重, 而牧場內冒禁耕作, 情勢雖曰矜憐, 畢竟山赭馬縮, 勢所必至, 故旣其嚴防或濫執卜稅, 或全奪包穀, 無賴之類, 猶貪其利, 抵死不止者, 徒爲奸猾沾漑之資, 益滋愚蚩冤恨之端, 則冒犯之民習, 偸利之吏竇, 不能禁斷, 已多年所。 所謂姜悌儉·金興采一種凶肚逆腸之徒, 覘窮民抱冤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양후서(德陽侯恕)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獻興寧府爲晉康府賜文經武緯嚮理措安功臣號⁄高宗元年封忠獻妻任氏爲綏成宅主王氏爲靜和宅主任氏本將軍孫洪胤妻也 忠獻殺洪胤聞其美私之王氏康宗庶女也忠獻移入別第劒戟兵衛彌滿數里朝士追隨者甚衆前此無宰相隨之者至是簽書樞密院事琴儀樞密院副使鄭邦輔始從之行時人鄙之 忠獻遣將軍李光裕遷熙宗于喬桐光裕還言 王 .....출처전거高麗史 권129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第二十二章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龍飛御天歌 卷第四 第二十二章 9 赤帝니․러나․시릴․∘白帝갈․해주․그․니。火德之王神婆ㅣ알․외․․니 王은 于况切.興也라 下同이라. 婆는 蒲禾切.老女稱也라 黑龍․이사․래주․거白龍․살․아:내시․니。子孫之慶∘神物․이․․니 赤帝將興에 白帝劍戮이라 火德之王을 神...서명龍飛御天歌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227 神宗 熈寜四年十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之 和叔曾布皆不赴 明日 中書送舍人院吏於京府杖之曰 何為擅用官錢餞外官 中書熟狀 董氈以明堂恩加光祿大夫 食邑二千戶 學士院奏董氈舊階特進 食邑二千五百戶 上以讓中書曰 非學士院覺舉 幾為外國笑 其檢正官皆上簿 堂吏皆責降 由是諸檢正皆怒責勝之 以不申堂而直奏 罷直院] 5대ㆍ송, 조공책봉,...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문종(文宗) 25
신문·잡지(14)
- 籾强制檢査實施後 米穀界에 미치는 影響 平商서 널리 調査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籾强制檢査實施後 米穀界에 미치는 影響 平商서 널리 調査 1936년 2월18일 평양 평양 평양상공회의소가 인(籾)의 강...대표표제어籾强制檢査實施後 米穀界에 미치는 影響 平商서 널리 調査 | 연월일1936년 2월18일 | 지역평양
- 조선검찰요보_1944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等に就て, 街頭闇賣一齊檢擧と之に伴ふ遵法運動に就て, 京畿道內自由勞務者の闇賃金狀況 1 特殊事件-僧侶の殺人及公務執行妨害事件, 機關士等列車を停止して窃盜, 全南道 廳職員等の瀆職事件 25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4
- 조선검찰요보_1944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て, 經濟檢察機關の連 絡に就て 2 調査-國防保安法第十六條に規定する犯罪調 9 特殊事件-京城府永登浦町に於ける六人殺し, 水原陸軍●●工事場に於ける勤...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4
- 국제기술협력_1974_10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심상면 23 귀국보고논문(초)-생물학적 제제검정 차연호 25 귀국보고논문(초)-사철딸기 생리상태에 대하여 성일장 2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4
- 소년아동_1980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오늘도 숙제검사를 100점 맞았어요 허성파 62 오락실-나이알아맞추기, 동물갈라놓기, 릉형그리기 63 눈이옵니다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0
기타자료(2)
- 32. Telegram from CINCUNC to CINCFE Tokyo Japan : 전문, 1951.11.25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n 숙명여자대학교 적군에 잡혀간 전쟁포로에 관한 유엔의 제검토 요청문건임. G-1으로부터 11월22일 작성된 비공식 문건내용임. 관련 보고서는 한국의 휴전협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언급함. 또한 시기 적절하게 보고서가 발간될 경우 주...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INCUNC (ADV) | 수신자CINCFE Tokyo Japan
- 영천 은해사 거조암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범위에서 실시되었다. 따라서 발굴조사된 유구만으로 시기적 배치구성 및 공간체계를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이번 발굴조사범위에 여러 발굴 건물지의 유구가 걸쳐 있어 개별 건물지의 규모 및 성격 파악도 분명치 않다. 이런 제검토는 이번 발굴조사범위 바깥으로 추후...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8)
-
제검 / 提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여러 관서의 정·종4품 관직. 무록관으로 정원은 관청에 따라 인원을 달리하였다. 그 소속관청을 보면 사옹원에 2인, 예빈시에 2인, 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에 4인을 두었는데, 이 중 1인은 사복시정·선공감정·군기시정이 겸하였다. 그리고 또 전설사(典設司)에
-
동제검자루 / 銅製劍─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에 사용된 청동제 검자루.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의 동검·초기철검은 검신(劍身)과 검자루가 별도로 만들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검자루는 나무나 동(銅) 또는 양자가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동제 검자루는 ‘T자’형과 대쪽형〔長鼓形〕의 두 종류
-
예빈시 / 禮賓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빈객의 연향과 종실, 재신들의 음식물 공급 등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 ≪경국대전≫에 정(정3품)·부정(종3품)·첨정(종4품)·판관(종5품)·주부(종6품)·직장(종7품)·봉사(종8품)·참봉(종9품) 각 1인과 제검(4품)·별좌(5품)·별제(6품)를 합
-
사옹원 / 司饔院 [생활/식생활]
1인, 주부 1인, 직장 2인, 봉사 3인, 참봉 3인 등이고, 자문직으로는 도제조 1인, 제조 4인, 부제조 5인인데 1인은 승지가 겸임, 제거·제검을 합쳐 4인을 두었다.
-
제거 / 提擧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옹원·내의원 등 여러 관서의 정·종3품 관직. 무록관으로 조선 초기에는 내의원·상림원·충호위·복흥고·주자소·사옹원 등에 다수 설치되어 있었으나 1448년(세종 30) 이후에 대부분 폐지되고 사옹원에만 두게 되었다. ≪경국대전≫이 편찬되는 과정에 제거·제